소개글
"일상생활과 밀접한 국제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플라스틱 문제와 환경보호
1.1. 동영상 시청 후 소감
1.2. 환경문제 원인과 일상생활의 연관성
1.3.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과 사회의 역할
1.4.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제도
2. 어른과 아이의 차이
2.1. 어른과 아이의 정의
2.2. 어른과 아이의 특성 비교
2.3.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어른과 아이의 차이
2.4.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어른과 아이의 행동 차이
3. 윤리 및 사회 사상
3.1. 한국 윤리 사상
3.2. 동양 윤리 사상
3.3. 서양 윤리 사상
3.4. 윤리 학파 간 비교
4. 생활과 윤리 과목의 학습 방법
4.1. 교과목의 특성
4.2. 효율적인 학습 방법
4.3. 수능 대비 전략
5. 윤리와 사상 과목의 학습 방법
5.1. 교과목의 특성
5.2. 효율적인 학습 방법
5.3. 수능 대비 전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플라스틱 문제와 환경보호
1.1. 동영상 시청 후 소감
시청 후 소감에서 2020년 11월 6일 방송된 '엄마들의 플라스틱 독립운동' 영상을 보며, 처음부터 나오는 플라스틱을 비롯한 환경문제 관련 내용이 마음 아픈 것이었다는 점을 느끼게 되었다.
아이가 거북이 코에 빨대가 꽂히고 물고기가 플라스틱을 먹는 모습을 보며 언젠가 자신도 보았던 쓰레기로 고통받는 생명체들이 떠올라 마음이 아팠다. 또한 신의주 화장품 공장에서 나온 쓰레기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것을 보고, 쓰레기 문제가 단순히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라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영상에서 아이들과 함께 나온 엄마들이 맘카페에서 시작한 활동은 인상 깊었는데, 무기력해지고 우울한 엄마들에게 자연과 더불어 희망을 품을 수 있게 해주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또한 쓰맘쓰맘 회원들이 얼마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었는데, 단순히 분리수거만 열심히 하면 될 것으로 생각했던 자신의 안일한 모습을 깨닫게 해주었다.
1.2. 환경문제 원인과 일상생활의 연관성
처음 시작부터 동영상 내용에서 환경문제의 원인과 일상생활의 밀접한 연관성을 느낄 수 있었다. 아이가 거북이 코에 빨대가 꽂히고 물고기가 플라스틱을 먹는 장면에서 쓰레기로 인해 고통받는 생명체의 모습이 연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신의주 화장품 공장에서 나온 쓰레기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것을 보며 환경문제가 전 세계적인 문제라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신용카드 한 장이 2주 동안 인간이 먹는다는 사실은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의 몸에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몰랐던 내용이었다. 또한 쓰맘쓰맘 회원들이 5일간 플라스틱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할 때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휴지까지 생각하는 등 일상생활 속 작은 부분에서도 플라스틱 사용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배달 음식과 관련하여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테이크아웃 컵의 양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와 맞먹는다는 내용에서는 깜짝 놀랐다.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이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깨닫게 된 계기였다.
비닐봉지 역시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지므로 플라스틱에 포함된다는 사실도 몰랐는데, 이번 영상을 통해 알게 되었다. 마트에서 장을 보면서 플라스틱으로 포장된 물품이 많은 것을 보고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플라스틱이 우리 일상에 얼마나 많이 관여하고 있는지 알게 된 것은 이번 영상을 통해 크게 깨달은 바이다. 편리함에 따른 플라스틱 과다 사용이 환경문제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실히 인식하게 되었다.
1.3.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과 사회의 역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개인은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분리배출을 잘 실천하여 환경보호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은 관련 법과 제도를 마련하고 실행에 옮겨야 한다. 분리배출 제도의 개선, 플라스틱 사용 규제, 환경 친화적 제품 개발 및 보급 등의 정책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
또한 교육을 통해 환경 의식을 높이고, 지역사회와 시민사회가 연대하여 환경운동을 펼치는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과 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야만 환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4.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제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제도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대응책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등 다양한 법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먼저 분리배출 표시제도는 재활용할 수 있는 폐기물의 분리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2003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에 따라 제품의 용기나 포장재에 재질 성분을 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고 있다. 2012년에는 기존 도안을 개선하여 소비자 눈높이에 맞추는 등 지속적인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제품의 생산자가 그 제품의 폐기물 처리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제품 설계 및 생산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도에 따라 포장재, 전자제품, 자동차 타이어 등 다양한 품목이 대상이 되고 있다.
다음으로 쓰레기 종량제는 배출된 쓰레기량에 따라 수...
참고 자료
KBS, [30회] 다큐온: 엄마들의 플라스틱 독립운동, 2022년 12월 2일 접속,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20-0388&program_id=PS-2020185513-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8
분리배출표시, 헷갈렸다고요?,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2.08.14.
[더오래]아동과 어린이, 뭐가 다르지?…법마다 연령기준 뒤죽박죽, 중앙일보, 2021.06.07.
임난영, 2006, 어른을 위한 그림책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p.23~25
정태연 외, 2002,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권 2호, p.5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