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손실의 시대 건설업의 역사가 반복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재난과 감염병 관련 사례 분석
2.1.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사례
2.1.1. 일본 - 지진/쓰나미
2.1.2. 푸에트리코 - 허리케인
2.1.3. 페루 - 홍수
2.1.4. 뉴올리언스 - 허리케인
2.2. 감염병으로 인한 피해 사례
2.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2.2. 메르스
2.2.3. 인플루엔자
3. 재난 및 감염병의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3.1. 재난과 관광산업
3.2. 감염병과 관광산업
4. 재난 및 감염병 극복을 위한 대응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류가 고대 시대부터 현대까지 문명을 발달 시켜왔듯이 관광을 비롯한 모든 분야들 또한 같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종교, 탐험, 그리고 호기심으로 인한 여행, 즉 관광이 이루어졌고 현대에는 문화, 축제, 휴식을 위한 관광이 주 목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자신의 인생에 한 부분이 되는 만큼 목적지와 목적 그리고 계획을 수립해서 여행 및 관광을 차질 없이 이룰 수 있게 철저한 준비를 하기도 한다." 관광에 대한 계획을 준비할 때 주제 와 테마를 중심으로 생각하지만 지역의 상황 또한 본인의 안전을 위해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여 관광의 목적지를 설정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빠르게 다양한 뉴스를 확인할 수가 있고 이러한 소식을 바탕으로 관광지가 정해진다." 따라서 세계 곳곳에 일어나는 자연재해 및 재난 등 글로벌 이슈를 확인하여 위험 지역은 피해 하서 관광을 간다." 쓰나미,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자연재해와 화재 및 테러리즘 같은 위험한 재난을 피해 이동을 한다." 따라서 각 이슈로 인해 해당 지역의 관광객의 수가 변동할 수 있다."
2. 재난과 감염병 관련 사례 분석
2.1.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사례
2.1.1. 일본 - 지진/쓰나미
현재까지도 일본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수많은 관광객이 찾는 국가 중 하나이다. 도쿄는 2009년 전년도 입국자에 비해 약 17%가 감소하였지만, 2009년 7월 중국인 여행자의 비자 금지 해제와 2010년 나리타 및 도쿄 하네다 공항 확장으로 2009년 6,790만 명에서 다시 관광객이 8,600만 명으로 증가로 26.8% 상승하며 일본 역대 가장 많은 외국인이 입국하였다. 관광객으로 인한 수익금 또한 120억 달러에서 153억 달러로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하지만 2011년 9.0 규모의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일본은 큰 타격을 받았고 다시 2009년보다 약간 낮은 수치로 하락하였다. 큰 재난과 피해로 인해 관광객의 수는 다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재난 전문가에 의한 추가 피해가 없을 거란 보도와 빠른 피해 복구로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까지는 엄청난 성장세를 보였다.
2.1.2. 푸에트리코 - 허리케인
푸에르토 리코는 연평균 5백만 명에 가까운 관광객이 방문하여 2020년 기준 세계 랭킹 46위에 차지하고 있다. 푸에르토 리코는 카리브 해에 위치한 섬나라이며 각종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고 미국령이기에 많은 미국인이 방문하는 해변 휴양지이다. 과거에 세운 도시, 한국, 성벽 등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유산이 있으며 카리브 크루즈도 정박하는 나라이다. 2015년부터 17년까지는 약 5백만 명의 관광객과 38억 달러 정도의 수익을 냈지만 2018년에는 허리케인 마리아의 습격으로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관광객 또한 4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기존에 거주하던 주민들조차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큰 피해를 받아 경제난에 빠졌지만 미국 연방정부가 푸에르토 리코에 전폭적으로 경제 지원을 해주어서 재난을 피했던 주민들은 다시 대거 귀향했으며 미국 정부는 관광업에도 많은 지원을 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에 다시 약 490만 명의 관광객이 푸에르토 리코를 찾으면서 회복에 성공하였다.
2.1.3. 페루 - 홍수
페루는 세계 유명 관광지 중 한 나라이다. 역사와 문화,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이 남아있는 나라이며 유명 유적지인 마추 피추 등 고대문화가 자연에 남겨져 있어 많은 여행자와 관광객이 찾고 있는 곳이다. 여행과 관광 문화가 발전하면서 페루를 찾는 관광객도 2000년대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관광객이 상승하는 것과 달리 수익률이 떨어지는 시기도 있었다. 페루의 관광지 마추 피추는 매달 68,000명이 방문할 정도로 관광객이 많았지만 2010년대 초반 그리고 2017년도에 홍수 피해로 인해 수익률이 하락하였다. 2010년 마추 피추가 위치한 페루의 도시 쿠스코는 21세기 이후 최악의 폭우를 맞이하였고 만 명 이상이 상망하고 피해 받았고 약 2,500명의 관광객은 해당 지역에 고립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또한 2017년에는 2010년보다 더 큰 규모의 홍수와 산사태가 일어나 18만 명의 수재민이 생기고 농...
참고 자료
경영사.김종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5.
경영학원론.김태웅.이우헌.신영사.2014.
한국의 근대경제학 1915~1956.김학은.연세대학교대학출판문화원.2015
2015 한국금융경제시장총람.한국금융경제연구원.2014.08.30
한국기업가사연구.황명수.단국대학교출판부.1999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 [企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Japan Sees Record Foreign Visitors in 2010”, Independent, 2011.01.27.,https://www.independent.co.uk/travel/news-and-advice/japan-sees-record-foreign-visitors-in-2010-2195668.html
Tourism in Puerto Rico”, WorldData.info,
https://www.worlddata.info/america/puerto-rico/tourism.php
전봉기, “마추픽추 폭우, 관광객 고립‥한국인 10여명”, MBC 뉴스, 2010101.27,
https://imnews.imbc.com/replay/2010/nwdesk/article/2552554_30521.html
김철희, “자연재해 피해 줄이기 위해 인프라 확충 나선 페루”, 경제정보센터, 2017.09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cidx=11219
“New Orleans tourism another casualty of Hurricane Katrina”, nzherald.co.nz, 2005.09.10.,
https://www.nzherald.co.nz/business/new-orleansnbsptourism-another-casualty-of-hurricane-katrina/K6RPLAHVQJ4RN47YKFMOGQXEQU/#
강현수, “2021 관광의 뉴 노멀, 새로운 도약의 원천이 되다”, 웹진 문화관광, 2021.12
http://www.kcti.re.kr/webzine2/webzineView.action issue_count=127&menu_seq=3&board_seq=3
David Simpson, “How badly will influenza affect tourism economy?“, CABI, 2009.05.05.,
https://www.cabi.org/leisuretourism/news/19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