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의 구조와 기능
1.1.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
자궁은 방광과 직장 사이의 여성 하복부에 위치하는 생식기관이다. 자궁은 내부가 비어 있는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약 7.5cm, 폭은 약 5cm, 두께는 약 2.5cm 정도로 사람의 손바닥 정도 크기이다. 자궁의 내부 공간인 자궁내강은 앞뒤로 납작한 삼각형 모양의 틈새 공간으로, 위쪽으로는 난관을 통해 골반강과 연결되며 아래쪽으로는 자궁경부를 통해 질과 연결된다. 양쪽 난관 끝에는 난소가 위치하며, 배란된 난자는 난관을 통해 자궁 내로 들어가 착상하게 된다. 자궁경부는 자궁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좁은 부분으로, 자궁내강에서 질로 연결되는 통로인 자궁경관을 형성한다. 자궁경부는 대부분 치밀한 아교질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궁을 골반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1.2. 자궁의 기능
자궁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생식, 즉 임신이다. 자궁은 남성으로부터의 정자가 유입되는 통로이고, 수정된 수정란이 착상하는 장소이며, 태아가 태반을 형성하는 장소이고 그 태반을 성장·발달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분만을 담당하게 된다. 자궁은 하복부 중앙에 위치하며 앞으로는 방광, 뒤로는 직장이 있고, 자궁의 양 옆으로는 여성호르몬을 분비하고 난자를 배란하는 난소가 있으며, 배란된 난자를 자궁으로 받아들이는 난관이 자궁으로부터 양쪽으로 나와 있다.
2. 자궁근종 이해
2.1. 자궁근종의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이다.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40~5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매우 일반적인 질환이지만,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들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막 하층에 발생하는 점막 하 근종, 자궁근층 내에 깊숙이 위치하는 근층 내 근종,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는 장막 하 근종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따라서 자궁근종은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2. 자궁근종의 종류
자궁근종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점막 하 근종(Submucous myoma)이다. 이는 자궁내막 하층에 발생한 근종으로, 가장 예후가 좋지 않다. 합병증이 가장 많고,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쉬우며, 육종변성의 위험이 크고 감염, 화농, 괴사가 되기 쉽다. 또한 방사선 치료에 내성이 있다.
둘째, 근층 내 근종(intramural myoma)이다. 이는 자궁근층 내 깊숙히 위치하는 것으로, 자궁의 크기 자체가 커짐으로써 자궁내막의 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월경양이 증가하게 된다.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다.
셋째, 장막 하 근종(subserous myoma)이다. 이는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한다. 근종이 늘어져서 줄기(pedicle)를 형성하기도 한다.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발생 위치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증상과 예후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2.3. 자궁근종의 원인과 위험요인
자궁근종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근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추정설이 존재한다. 자궁근종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불균형,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이상, 성장인자의 이상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의 발생은 나이, 인종, 가족력, 임신력, 비만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궁근종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연령이 많을수록(40세 이상), 가족 중에 자궁근종이 있었던 사람이 있는 경우, 임신경험이 없는 여성, 비만한 여성, 흑인, 폐경 된 여성, 장기간 피임약을 사용한 경우 자궁근종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반면 5회 이상 임신을 경험한 경우, 장기간 피임약을 사용한 경우 자궁근종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자궁근종의 증상
3.1. 월경 이상
자궁근종 환자들에게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월경 이상을 들 수 있다. 월경 이상은 자궁근종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특히 점막하 근종이 있는 경우 월경 과다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자궁근종으로 인해 월경 양이 많아지고 월경 기간이 길어진다. 월경 양이 많아지면 혈병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간혹 생리 주기가 아닐 때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자궁근종이 성장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