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신에게도전하다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생명과학 신에게도전하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메리 셸리와 프랑켄슈타인
1.1. 작가 소개
1.2. 프로메테우스 신화
1.3. 프랑켄슈타인 소설의 주제와 해석
1.4. 프랑켄슈타인의 문화적 영향

2. 과학과 윤리의 관계 고찰
2.1. 과학과 윤리의 상충과 조화
2.2. 인간배아복제 기술과 윤리적 쟁점
2.3. 신기술 발전과 윤리의식의 필요성

3. 호모 데우스: 인간의 미래
3.1. 인류 역사와 미래 예측
3.2. 기술 발전과 인간의 변화
3.3. 윤리와 가치관의 재정립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메리 셸리와 프랑켄슈타인
1.1. 작가 소개

메리 셸리(Mary Wollstonecraft Shelly, 1797~1851)는 오늘날 SF 소설의 선구가 된 괴기소설로 유명한 영국 소설가이다. 그녀는 남편과 바이런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인간과 똑같은 능력을 갖춘 기괴한 형상의 거대한 인조인간을 다룬 작품 "프랑켄슈타인"을 탄생시켰으며, 이는 오늘날 과학소설(SF)의 선구작이 되었다. 그 밖에도 전염병에 걸려 인류가 단 한 사람만 남고 전멸하는 이야기 "마지막 사람", 자서전적인 작품 "발렌틴" 등을 발표했다. 메리 셸리는 당시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글쓰기, 특히 과학적 지식에 입각한 공상과학소설을 시도함으로써 전통적인 성 역할을 전복시켰고, 어머니이자 여성운동의 선구자였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 권리 옹호"에 이은 "여성의 상상력 옹호"를 주창했다.


1.2.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 속 인간을 사랑하고 창조한 신이다. 프로메테우스는 '먼저 생각하는 자'라는 뜻으로, 인간을 사랑했던 그는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고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였다. 이에 분노한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코카서스의 바위에 묶어 매일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먹히는 형벌을 내렸다. 프로메테우스는 신들의 영역이었던 불을 인간에게 주었다는 점에서 창조주이자 봉기자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즉,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을 사랑하고 그들의 발전을 위해 힘쓰는 영웅적 인물로 묘사된다. 셸리가 "모던 프로메테우스"라는 부제를 달아 《프랑켄슈타인》을 발표한 것은 프랑켄슈타인이 신의 영역에 도전하여 창조주의 역할을 하려 했다는 점에서 프로메테우스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셸리가 구상한 《프랑켄슈타인》의 배경이 되며, 인간 창조의 테마를 잘 드러내고 있다.


1.3. 프랑켄슈타인 소설의 주제와 해석

프랑켄슈타인 소설의 주제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은 과학의 발전 인간의 알고자 하는 무한한 욕망, 창조에의 욕망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즉,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로 인간이 다른 생태계와의 균형과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인간 위주로 무분별하게 발명과 개발을 거듭해온 것에 대한 반성과 경계를 제안한다.

둘째, 베르쏠드 슈니하우드는 프랑켄슈타인에서 셸리가 과학과 지식에 기초한 생명 창조의 과정을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근거로 하여 여성의 임신 출산에 비유하여 서술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는 셸리가 남녀 간의 성적 결합에 근거한 생식을 모든 창조행위의 모델로 삼고, 출산 관련 용어들을 핵심 코드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셸리가 특히 자신의 남편 퍼시 셸리의 낭만적 상상력의 과잉을 비판하고 제어하려 시도했음을 보여준다.

셋째, 기존 연구들에서는 프랑켄슈타인이 창조해낸 괴물을 당시 사회에서 차별받던 여성이나 소외도고 배척당하던 생김새나 혈통이 다른 소수의 외국인 타자와 동일시하거나 혹은 자아 내재적 타자로 보고 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창조된 뒤 인간들로부터 배척당하게 된 괴물이 제기하는 문제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정히 존재하는 타문화, 타자,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타의 문제를 상기시킨다.

넷째, 최근에는 괴물을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읽는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 관점에서 괴물은 기존 비편에서 일단 괴물이 창조된 후부터는 보통 인간으로 보는 것과 달리 "괴물의 생성과 물질성을 적시하면 괴물을 동물적 인간이 아니라 테크놀로지로 만들어낸...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3565&cid=40942&categoryId=34424
https://namu.wiki/w/%EB%A9%94%EB%A6%AC%20%EC%85%B8%EB%A6%AC
손현주(2014). 다시 읽는 『프랑켄슈타인』-“모던 프로메테우스”와 여성의 생명 창조력-. 71(1).117-149
황혜영 (2018).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읽고 생각하기. 교양교육연구, 12(1), 205-223

멋진 신세계, 1932, 올더스 헉슬리
과학은 반역이다, 2006, 프리먼 다이슨
인간배아복제 및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 2007, 김상호, 대구가톨릭대 학교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특성 유지와 분화에 있어서 STELLAR (DPPA3/STELLA/PGC7) 유전 자의 기능 분석, 2007, 임지영, 한양대학교
탑스타뉴스, 2019.04.30., 한수지 기자
데일리메디, 2019.04.22., 양보혜 기자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2005, 세포응용연구사업단
대한민국 헌법
HIV/AIDS 감염인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 전달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서비스 지원을 중심으로, 2004, 함일우, 중앙대학교
UPI뉴스, 2019, 남국성 기자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2009, 김향미, 고려대학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