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의 지방자치제의 발전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의 지방자치제도 발전과정
2.1.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출범(1948-1987)
2.2.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외형적 성장기(1988-2003)
2.3.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심화와 질적 발전(2003-현재)
3. 지방자치제의 개념과 특성
3.1. 지방자치의 의미
3.2. 지방자치제도의 구성요소
4.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장단점 분석
4.1. 지방자치제도의 장점
4.2. 지방자치제도의 단점
5. 지역사회복지와 지방자치제도의 연계
5.1.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의 관계
5.2.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역할 및 과제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어지면서 지방분권은 단순하게 정부의 기능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써 이관을 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지역사회 중심으로의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것으로 이는 공공과 민간,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진 지역복지의 통합체계의 구축을 의미를 한다. 이것은 사회복지영역의 확대와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강화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각기 지방자치단체는 과거의 중앙부처의 기획을 집행만을 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중심에서의 사회복지계획의 수립, 그리고 운영 및 이것에 필요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축과 자원의 발굴과 연계기능이 중요한 지방자치체의 과제로 부각이 되었으며, 이것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구성됐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계획에서부터 지역사회보장계획으로 전환은 새로운 방향의 전환을 의미한다.
2. 한국의 지방자치제도 발전과정
2.1.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출범(1948-1987)
해방 후 한국은 1948년 7월 17일 제헌헌법을 통해 지방자치제도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독립과 해방의 열망과 함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지방자치의 이상이 헌법에 포함된 것이다. 제헌헌법 제8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치 권한, 지방의회 구성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49년 7월 4일 「지방자치법」이 제정·공포되어 지방자치제도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정치적 불안과 집권자의 정치적 계산으로 인해 지방의회 구성이 지연되는 등 지방자치제도의 실현은 쉽지 않았다. 또한 국토 분단, 경제개발 우선,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무지와 미성숙 등이 지방자치제도 실현의 현실적·환경적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1952년 최초로 실시된 지방자치제도는 1961년 중단되었고, 이후 30년 만인 1991년에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지방자치제도 출범기는 1948년 제헌헌법 제정부터 1987년까지로 볼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지방자치제도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중단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2.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외형적 성장기(1988-2003)
지방자치 재실시를 위한 논의는 1988년 노태우정부가 출범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됐다고 한다. 1991년 3월에는 시, 군, 구 자치구 의원선거가, 6월에는 시, 도, 의원선거가 실시되어짐으로써 지방자치가 30년 만에 부활하게 된 것이다. 이후 1995년 5월에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을 동시에 뽑는 4대 지방선거가 실시되어짐으로써 완전한 민선 자치시대가 막을 열게 됐다.
지방자치제의 이러한 외형적 성장은 주민들의 직접 선거를 통한 지방의회 구성과 단체장 선출로 이어지며, 정치적 민주화의 확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주민들은 스스로 선출한 대표자를 통해 지방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주민 ...
참고 자료
지역사회 복지론, 김범수, 2006년
지역사회 복지론, 김치영, 2009년
김병기, 지방자치법주해,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4.
이기우 외, 지방자치법, 대영문화사, 2007.
최봉석, 지방자치의 기본법리, 한국법제연구원, 2007.
김해룡,“지방자치권의 내용과 그 보장을 위한 법적 과제”, 지방분권의 공법적 과제, 한국공법학회학술발표회자료집, 2004.
조추용,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18.
이원주,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16
김종일, 지역사회복지론, 청목출판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