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직장-가정 갈등의 이해
1.1. 직장-가정 갈등의 정의
직장-가정 갈등이란 한 개인이 직장에서의 요구와 가정에서의 요구 사이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한 영역에서 요구가 다른 영역에서의 요구와 양립할 수 없는 역할 간의 갈등이고 이는 양방향에서 일어날 수 있다. Hammer & Thomson은 직장-가정 갈등을 일과 가정 중 한 영역에 대한 역할 요구가 다른 영역의 역할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발생하는 역할 간의 충돌로 정의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업무량과 야근으로 인해 가족과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경우와 육아과 집안일로 인해 업무가 지연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1.2. 직장-가정 갈등의 유형
직장-가정 갈등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시간 기반 갈등(time-based conflict)이다. 이는 일을 해야 하는 시간과 하루라는 제한된 시간 사이의 현실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갈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예상치 못한 회의로 인해 자녀를 학교에서 데려오지 못하거나, 아픈 자녀를 돌보기 위해 직장에서 일찍 퇴근해야 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스트레인 기반 갈등(strain-based conflict)이다. 이는 한 영역에서 경험한 좌절, 불만, 짜증 등의 스트레스가 다른 영역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육아 스트레스로 인해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가정 내에서 부부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셋째, 행동 기반 갈등(behavior-based conflict)이다. 이는 한 역할에서 요구 또는 기대되는 특성과 행동이 다른 역할에서는 부적절하거나 어울리지 않을 때 발생하는 갈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는 명확하고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지만, 가정에서는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며 미뤄주는 것이 필요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장-가정 갈등의 유형은 개인의 특성, 조직 환경, 가정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개인과 조직, 가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3. 직장-가정 갈등 발생 요인
직장-가정 갈등 발생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요인이다. 업무 압박으로 인한 직장 스트레스가 가정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는 집안의 긴장을 유발하거나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압력과 스트레스가 높고 직무 일정을 예측할 수 없는 직업은 직장-가정 갈등이 높다. 또한 근무시간이 길거나, 업무 요구가 지나치게 많거나, 이윤에 집중하는 회사의 직무 특성도 직장 갈등이 높게 나타난다. 자영업을 운영하며 일, 가정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나 학대적인 상사와 일하는 경우에도 직장-가정 갈등이 일어나기 쉽다. 반면 멘토링과 동료의 사회적지지 경험은 직장-가정 갈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요인이다. 개인적인 요인으로 자기 일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고 회사에 대한 몰입과 충성심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더 많은 직장-가정 갈등을 겪게 된다. 또한 자기 감찰(self-monitoring) 성향이 높은 사람은 자기 자신, 자기 수행과 타인의 시선을 강하게 의식하여 부정 정서가 높고 신경증성이 높아 갈등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로 인한 높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를 관리하지 못해 직장과 가정에서 갈등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한편 긍정정서와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직장-가정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 요인이다. 가정 요인으로 직장에서의 압박이나 스트레스를 가족 구성원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지원해 주지 못할 경우 갈등을 겪게 된다. 돌봐야 할 어린 자녀가 많을수록 가정 갈등이 높고 부부 문제나 배우자 스트레스, 가족 내 역할이 중요한 사람일수록 평균적으로 더 높은 직장-가정 갈등을 겪는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