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지역사회간호과정 평가계획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과정 평가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간호과정
1.1. 지역사회간호사정
1.1.1. 기존자료조사
1.1.2. 지리적 특성
1.1.3. 인구 특성
1.1.4. 건강 수준
1.1.5. 환경 특성
1.1.6. 교통 및 통신 공공 시설
1.1.7. 오락 휴식
1.1.8. 지역 사회 자원
1.2. SWOT 분석 및 전략
1.2.1. SWOT 분석
1.2.2.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1.3. 간호진단
1.3.1. 영역 문제 및 간호진단
1.3.2.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1.4. 간호계획의 목표설정
1.5. 간호 방법 및 수단 선택
1.6. 간호진단 수행계획서
1.7. 추진일정표
1.8. 평가계획

2. 산업간호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인구학적 특성
2.1.2. 산업장 특성
2.1.3. 건강수준
2.1.4. 산업장 환경적 특성
2.2. 간호진단
2.3. 간호목표
2.4. 간호중재 및 평가계획

3. 가족간호과정
3.1. 자료수집 및 분석
3.1.1. 자료수집
3.1.2. 자료 분석
3.2. 가족 간호과정
3.2.1. 가족 간호진단
3.2.2. 진단 우선순위
3.2.3. 가족 간호목표
3.2.4. 수행계획 및 평가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과정
1.1. 지역사회간호사정
1.1.1. 기존자료조사

기존자료조사에는 군포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지역사회건강통계, 통계청 및 군포시청 홈페이지 등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기존자료조사에서는 군포시의 인구통계, 건강수준, 환경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군포시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통해 군포시의 지리적 특성과 교통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2019년 지역사회건강통계 자료를 통해 군포시의 건강수준과 건강행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계청 및 군포시청 홈페이지에서 인구, 환경, 보건의료 관련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1.2. 지리적 특성

군포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북동쪽으로는 안양시, 남서쪽은 안산시, 동쪽은 의왕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주변에는 서울특별시, 수원시, 광명시가 위치하고 있어 수도권 배후도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군포시의 총면적은 36.42km²로 경기도 면적의 0.36%를 차지하며, 행정구역상 11개동, 337개통, 2313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포시 내에는 모락산, 수리산, 오봉산 등의 산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하철 1호선과 4호선, 신갈~안산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국도47호선 등이 지나가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볼 때 군포시는 수도권 배후 위성도시로서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1.1.3. 인구 특성

군포시의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군포시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2018년 기준 인구가 약 27만 7천명이다. 전체 인구 중 남성은 49.6%, 여성은 50.4%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30-49세가 32%로 가장 많고, 50-64세 24%, 20-29세 14%, 10-19세 11%, 0-9세 9%, 65세 이상이 11%이다. 즉, 군포시의 인구는 방추형 또는 항아리형의 피라미드 구조로, 30-49세의 경제활동 인구가 가장 많은 모습을 보인다. 이와 같은 인구 구조에 비추어 볼 때 군포시는 사회 및 경제적으로 생산 가능한 인구가 많고 급속한 고령화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전반적인 인구 추세는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는데, 2017년 약 28만 8천명에서 2018년 약 28만 4천명으로 감소하였다. 세대 수는 2017년 10만 6천 세대에서 2018년 10만 7천 세대로 증가하였지만 세대당 인구수는 3.0명에서 2.6명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외국인 인구는 2017년 6,783명에서 2018년 6,960명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 취약계층인 국민기초생활 보장 수급자 4,503명, 등록 장애인 11,213명, 한부모가정 268명, 독거노인 7,366명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군포시의 인구 특성은 전반적인 감소 추세 속에서도 생산가능인구가 많은 편이며, 사회 취약계층의 비중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1.4. 건강 수준

건강 수준은 군포시의 질병 사망률과 유병률, 건강행태 지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군포시의 신생물 사망률은 27.4%, 순환계통 사망률은 25.7%, 호흡계통 사망률은 11.8%로 나타났다. 특히 신생물(암)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혈압 유병률은 19.4%, 당뇨병 유병률은 8.4%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건강행태 측면에서 군포시의 고위험 음주율은 12.1%로 감소하였으나, 흡연율은 18.9%로 증가하였다. 걷기 실천율은 49.4%로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연자의 금연 시도율은 52.5%로 증가하였으나, 1개월 내 금연 계획률은 5.8%로 감소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군포시는 신생물, 순환계 및 호흡계통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고,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흡연율이 높고 신체활동 실천이 감소하는 등 건강행태도 부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보건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1.5. 환경 특성

군포시의 환경 특성은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 군포시의 주택보급률은 86%이며, 미세먼지 농도는 55㎍/㎥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상수도 보급률은 99.9%, 하수도 보급률은 99.8%로 매월 원수·정수장·약수터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군포시에는 하수처리시설 2곳과 폐기물처리시설 2곳이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군포시의 주택보급률과 상하수도 보급률이 높은 편이며, 주기적인 수질검사와 폐기물처리시설 운영 등을 통해 환경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미세먼지 농도가 경기도 평균 수준보다 높아 도시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6. 교통 및 통신 공공 시설

군포시의 교통 및 통신 공공 시설은 다음과 같다.

군포시는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을 이용할 수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지하철 1호선에는 당정역, 군포역, 금정역이 있으며, 지하철 4호선에는 금정역, 산본역, 수리산역, 대야미역이 있다. 또한 신갈~안산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국도47호선이 있어 수도권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통신 공공 시설로는 우체국이 8개가 있으며, 금융기관이 28개 있다. 이외에도 경찰서 1개, 지구대 5개, 소방서 1개, 119안전센터 2개가 있어 공공안전 시설도 갖추고 있다.

이처럼 군포시는 지하철, 고속도로, 국도 등의 편리한 교통 인프라와 공공 시설을 갖추고 있어 수도권 내에서 교통과 통신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7. 오락 휴식

군포시의 오락 휴식 환경은 다음과 같다. 군포시에는 공공체육시설 28개, 도서관 6개, 공원 119개, 공공 공연장 3개, 영화관 2개, 시장 2개가 있다. 공원면적은 주민 1인당 9.4㎡로, 경기도 평균 14.6㎡에 비해 작은 편이다. 운동시설사업체수(인구 1000명당)는 0.5개소로 경기도 평균 0.6개소보다 적다. 사회복지시설(인구십만명당)은 13.9개소로 경기도 평균 14.7개소보다 적으며, 노인 여가복지시설(노인 인구 1000명당)도 2.7개소로 경기도 평균 4.7개소보다 적은 편이다. 시민 조사 결과(2019년) 편의시설 부족과 공원, 녹지, 산책로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군포시의 오락 및 여가 활동을 위한 편의시설과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이다.


1.1.8. 지역 사회 자원

지역 사회 자원은 군포시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군포시에는 종합병원 2개, 병원 3개, 특수병원 1개, 요양병원 6개, 치과 병의원 94개, 한의원 66개, 보건소 1개, 보건지소 1개가 있다. 인구 십만명당 병상 수는 887.6병상, 의사 수는 126명, 간호사 수는 215명으로 경기도 평균인 998.5병상, 의사 145명, 간호사 255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한 보건기관 이용률이 19%로 경기도 평균 19.4%보다 낮은 편이다. 따라서 군포시에는 의료기관과 보건기관이 충분하지 않고 주민들의 이용률도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급종합병원의 부재, 의료인력의 부족 등 의료자원의 확충과 더불어 주민들의 보건기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SWOT 분석 및 전략
1.2.1. SWOT 분석

SWOT 분석은 군포시의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건강 증진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강점(S)은 양호한 수준의 건강지표와 건강행태, 연간 사고 및 중독 경험률이 낮은 점, 교통의 편리성 등이다. 약점(W)은 상급종합병원 부재, 의료인력 및 시설의 부족, 보건사업 참여와 소통 부족, 공원면적과 운동시설 부족, 우울감 경험률 높은 점 등이다.

기회(O)는 금연 클리닉과 치매 안심센터 운영, 주요 신규 사업 추진 등이다. 위협(T)은 여전한 높은 비만율, 미세먼지 농도 증가, COVID-19 등 전염병 발생, 심뇌혈관질환 사망 증가 및 만성질환 관리 부족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수립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SO 전략은 보건기관 확충으로 의료 취약 지역의 의료서비스를 보장하고, 시민 참여가 가능한 클...


참고 자료

안옥희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2020)
⌜제7기 군포시 지역보건의료계획 2019년 ~ 2022년⌟(2019)
⌜(경기 군포시)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 시행결과 및 2차년도 시행계획⌟(2020)
⌜2019 지역사회건강통계 경기도 군포시⌟.(2020)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군포시청. https://www.gunpo.go.kr/www/index.do
군포시 보건소. https://www.gunpo.go.kr/health/index.do
금연두드림. https://nosmk.khealth.or.kr/nsk/user/extra/ntcc/68/services/nosmokeService/

김광숙 등, 자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원종순 등,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