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의 증상 및 합병증
1.1. 전형적인 증상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폐렴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발열, 화농성 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폐 타진 시 탁음, 진동감 증가, 수포음(거품소리, crackles)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는 폐의 광범위한 염증 발생으로 인해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이 심각하게 장애되어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은 38.3°C 이상이며, 화농성 객담은 폐렴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이다. 흉부 통증은 호흡 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폐 타진 시 탁음과 진동감 증가는 폐실질의 경화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수포음은 폐포와 소기관지의 분비물이 풍부해져 발생하는 증상이다.
종합하면, 폐렴은 발열, 기침, 객담, 흉부통증, 폐 타진음, 호흡음 등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폐실질의 광범위한 염증과 그에 따른 폐 기능 장애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1.2. 비전형적인 증상
비전형적인 증상으로는 점진적인 시작, 건성기침, 폐 외 증상(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다"" 폐렴은 폐의 광범위한 염증 발생으로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여 호흡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비전형적인 증상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1.3. 폐렴의 합병증
폐렴의 합병증은 폐의 광범위한 염증 발생으로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며, 이로 인해 호흡부전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대표적인 폐렴의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흉막염이다"" 폐렴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폐렴 환자의 20-40%에서 나타나며, 보통 1-2주 내에 흡수되는 흉막삼출이 동반된다"" 또한 무균성 무기폐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이 중요하다""
둘째, 폐렴 치료의 지연으로 인한 합병증이다"" 염증이 지속될 경우 흉부 X선 촬영 시 경화 소견이 지속되며, 보통 2-4주 후에 증상이 호전되나 노인이나 알코올 중독증, 영양 장애,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는 치료가 지연될 수 있다""
셋째, 폐농양이다"" 폐렴의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에 의해 발생한다""
넷째, 심장막염이다"" 세균이 혈행성으로 전파되어 심장막에 염증을 일으킨다""
다섯째, 수막염이다"" 지남력 저하, 혼동, 기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한다""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은 수막염이 아닌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다""
여섯째, 심내막염이다"" 세균이 심내막과 심장 판막에 파급되어 발생한다""
일곱째, 패혈증과 세균성 쇼크이다"" 복부팽만, 마비성 장폐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팽만은 횡격막을 상승시켜 폐의 확장을 방해한다""
이처럼 폐렴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폐렴 환자 관리 시 이에 대한 철저한 사정과 예방적 간호가 필요하다""
2. 폐렴환자에게 사정해야 할 객관적 자료
2.1. 병력 사정
병력 사정은 폐렴 환자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우선적으로 증상과 지속기간을 파악한다.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발열, 화농성 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탁음과 진동감 증가, 수포음 등이 있다. 비전형적인 증상으로는 점진적 발병, 건성기침, 폐 외 증상(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호흡곤란과 흉통과의 관련 여부, 기침 및 가래 양상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화농성 기관 및 기관지 분비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만성 폐질환, 심질환 등의 과거력은 폐렴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평소 투약 약물과 알레르기 유무도 사정해야 한다.
이처럼 폐렴 환자의 병력 사정은 전형적/비전형적 증상, 호흡기 및 전신 증상, 기저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적절한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2.2. 건강 사정 자료
건강 사정 자료는 폐렴 환자의 객관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호흡곤란, 비정상적인 호흡음, 산소포화도 저하 등의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환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해야 한다.
폐렴 환자의 의식수준, 심박동수, 체온 등의 활력징후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피부색이나 점막 상태를 확인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특히 청색증, 창백함 등의 피부증상은 저산소혈증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객담의 양상, 냄새, 색깔 등을 관찰하여 분비물 변화를 파악하고, 흉부 X-ray나 CT 촬영 결과를 분석하여 폐렴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를 통해 백혈구 수치, CRP 등의 감염지표를 확인하여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폐렴 환자의 다양한 건강 사정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3. 폐렴환자를 위한 일반적인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3.1. 기도유지 간호
기도유지 간호란 폐렴 환자의 기도 개방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