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보고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9.11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연구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1.3. 가설
1.4. 용어정의
1.5. 핵심어

2.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2.1.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2.2.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2.3.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
2.4. 임상실습경험의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2.5.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2.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전문직관의 차이 비교

3. 연구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
3.3. 연구 도구
3.4. 자료수집 방법
3.5. 자료 분석 방법
3.6. 연구의 제한점

4. 연구의 기대되는 효과
4.1. 간호 이론
4.2. 간호 실무: 임상, 교육
4.3. 간호 연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료계에서는 국민들의 건강서비스 전문화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질적 서비스를 요구하는 변화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간호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기대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전문직으로서의 간호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아개념이 형성되어야 하며 전공의 깊이있는 이해를 위한 전공만족도의 향상이 필요시 된다.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해 현재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학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전공만족도가 높을 경우 전공 몰입 및 임상현장에서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정적 관계성을 보이는 반면, 전공만족도가 낮을 경우 졸업 후 직업만족도가 낮거나 높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정서적 지각을 의미한다. 선행논문에 따르면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을 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더욱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증진과 질 높은 간호의 제공에 기여할 수 있었다.

이렇듯 전공만족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요소들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간호대학생,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경험의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전문직관의 차이 비교 등이 있다. 그러나 임상실습 여부를 변수로 하여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임상 실습은 학생간호사로 하여금 이론적인 간호학을 넘어 임상에서 적용되는 전공을 더욱 깊이 이해할 기회를 제공하며, 전문인으로서의 태도를 함양할 시간을 제공한다. 간호대학생들은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졸업시점까지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이렇듯 임상실습의 과정은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형성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므로 그 상관성을 파악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성과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 경험이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임상실습경험 유무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임상실습경험 유무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1.3. 가설

가설 1. 1000시간의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보다 전공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1000시간의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보다 전문직 자아개념 수준이 높을 것이다.


1.4. 용어정의

(1) 임상실습 - 이론적 정의 임상실습이란, 임상에서 행하는 교수ㆍ학습방법,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즉 이론 강의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단계를 말한다.

- 조작적 정의 간호교육 인증평가원의 인증항목 중 '임상실습교과목 운영 규정'에 따르면, 간호대학은 충분한 임상실습시간을 확보하고, 학습성과 달성에 적합한 임상현장에서 실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규정되어있다. 그리고 충분한 임상실습시간의 확보에 대한 기준은 1,000시간 이상(시뮬레이션 실습은 4학점 또는 12%를 초과할 수 없음)으로 규정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은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수료한 학생으로 정의하였고,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이란 임상실습이 전혀 없는 간호대학생으로 정의하였다.(2) 전공만족도 - 이론적 정의 전공만족도는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하나는 감정적 측면이고 또 하나는 인지적 측면으로, 전자는 개인이 소속한 전공학과에 대하여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의 즐거운 정도이고, 후자는 자신 또는 주위 사람들의 기대가 달성되었음을 지각하는 정도이다.

-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로, '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Lee(2004)가 Ha(2000)의 학과만 족 도구 35문항 중 전공만족 관련 18문항을 추출한 '전공만족도' 도구로 측정한 점수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1.5. 핵심어

'임상실습', '전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이다.임상실습은 이론적 간호학을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하고 전문직으로서의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에 따라 간호대학생들은 졸업 시점까지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된 전공을 평가하는 것으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에 대한 몰입도와 임상현장에서의 직무만족이 높아진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정서적 지각을 의미하며, 전문직 자아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을수록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향상되어 간호업무의 효율성 증진과 질 높은 간호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다.


2.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2.1.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이다.

Hwang(2018)의 연구에 따르면,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임상실습 전...


참고 자료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O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Master of Educational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doi: http://dx.doi.org/10.1016/S0260-6917(95)80004-2
Ha, H. S. (2000).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Hwang, H. M. (2018). The Effect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fter Clinical Practic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476-483.
Ji, E. M. (2013).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Korea.
Kang, H. S., Kang, Y. S., & Hong, H. H. (2015).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3(4), 495-503.
Kim, W. K.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Korea.
Kim, C. H., & Kim, J. Y. (2020).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belonging, satisfaction with major, and work value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6(3), 259-268.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3.25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Book(1st ed.).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Lee, D. J. (2004).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Noh, C. H. & Sohng, K. Y. (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94-106.
Park, M. S., Lee, M. H., & Gu, J. A. (2011). Clinical Competency,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2), 111-123.
Seo, W. H. (2006). Nursing college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eung, H. S., Jeong, W. L., & Chang, T. K. (2018).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on their Engagement in the Maj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7), 136-145. 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7.136
Sohn, S. K., Chung, B. Y., Chung, S. E., Park, J. M., & Lee, S. Y. (1997). A Study of the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3(1), 59-77.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doi: https://doi.org/10.1007/bf00292648
Woo, C. H. Speciality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The Korea Contents Societ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at comprehensive academic conference, 287-288.
Yang, Y. J. (2020). The Effects of Nursing Image,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