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방안전관리자 특급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불 화재 사례 정리
1.1.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
1.2. 한국의 산불발생 현황
1.3. 한국 산불사례
1.3.1. 2022년 울진 산불
1.3.2. 2019년 고성-속초 산불
1.3.3. 2023년 강릉 산불
2. 한국타이어 화재 사례
2.1. 한국타이어 화재 과정
2.2. 한국타이어 화재 피해내역
2.3. 한국타이어 화재 발생원인
2.4. 한국타이어 화재가 미친 영향
2.5. 한국타이어 화재 대책
3. 안전보건경영체계와 위험성 평가
3.1. PDCA Cycle의 주요내용과 원활한 운영을 위한 노력
3.2. 화재 위험 장소의 체크리스트
3.3. 보호구 중 마스크의 종류와 밀폐공간 작업시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불 화재 사례 정리
1.1.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는 다음과 같다.
산불은 산림 안에 있는 가연물질이 산소와 열이 만나 발생하는 산화반응이다. 산불은 화원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하지만, 연료나 산악지형, 기상조건에 의해서 간접적으로도 발생한다. 산불은 지형적 경사도와 풍속으로 인해서 더욱 가속화된다.
한국의 지형 특성상 산악지대가 많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온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분다. 그래서 전국적으로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 강원도는 산간지대가 많기 때문에 봄철에 특히 많은 산불이 발생한다. 영동지역으로 고온건조하고 강한 양간지풍 때문에 대형 산불이 강원도에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지난 30년간의 기록을 보면 건조주의보의 발령 기준이 되는 실효습도가 35% 이하고 최대 순간 풍속이 초속 20m/s 이상의 조건이 영동지역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산불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동해안은 봄, 가을에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대형 산불이 빠르고 쉽게 확산된다. 산불 진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분석해야 하고 제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1.2. 한국의 산불발생 현황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한국의 산불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불의 발생 건수는 연도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012년에는 345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나, 이후 점차 증가하여 2017년에는 589건으로 가장 많았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551건과 515건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0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여 2021년에는 573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최근 10년간 연평균 500건 이상의 산불이 발생하고 있어 산불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산불의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대형산불(피해면적 100ha 이상)이 매년 2건 이상씩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7년에는 5건, 2020년에는 4건의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등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날씨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산불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인위적인 요인과 자연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인위적 요인은 논밭 태우기, 담배꽁초 무단 투기, 입산자의 부주의 등이 있으며, 자연적 요인으로는 뇌전, 낙뢰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발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불면서 야산의 마른 낙엽이나 나무 등이 쉽게 불이 붙어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계절별로는 봄철에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최근 10년 간 봄철(3~5월)에 전체 산불의 60%가 일어났다. 이는 낙엽과 가벼운 나뭇가지 등 가연물이 많은 봄철에 높은 기온과 강풍으로 인해 산불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여름과 가을에는 산불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여름철 폭염과 가을철 건조한 날씨로 인해 산불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처럼 최근 10년 동안 한국의 산불 발생 현황을 분석해보면, 발생 건수와 규모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 건조한 날씨와 강풍의 영향으로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산불 예방과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1.3. 한국 산불사례
1.3.1. 2022년 울진 산불
2022년 울진 산불은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이다. 이 산불은 2000년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로, 울진군을 중심으로 울진-삼척, 강릉-동해, 영월, 달성군 등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울진군의 경우 1만 4,701ha가 불에 타면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고, 동해와 강릉, 삼척, 영월 지역에서도 큰 면적이 소실되었다.
울진에서 시작된 이번 산불 진압을 위해 소방관, 군인, 공무원 등 1만 9천명이 투입되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넓은 면적의 산림이 불에 탔다. 이번 화재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온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해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울진 산불과 같은 대형 산불은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건조 현상과 강풍 등 기상조건의 악화로 점점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소방인력과 장비의 확충, 산림관리 강화, 기상정...
참고 자료
김지훈, 야간 산불진화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 회전익 항공이 운용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동해안 산불: 서울 면적 4분의1 '잿더미'...역대 두 번째 큰 피해, BBC 뉴스 코리아, 2022.03.07.
https://www.bbc.com/korean/news-60521574
박영서, 고성 대형산불 강풍 타고 속초 시내 위협…주민 대피령 확산(종합), 연합뉴스, 2019.04.04.
https://www.yna.co.kr/view/AKR20190404178500062?section=search
조승현, 헬기도 못 뜬 상황에 쏟아진 '단비'…강릉 산불 가까스로 진화, JTBC 뉴스, 2023.04.11.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21990
한국타이어 화재, 타이어 21만 개 소실/양보원/2023.03.13
대전 한국타이어공장 58시간의 화재…소방점검에서 불량 ‘수두룩’했다/유일지/2023.03.16
한국타이어, 화재로 21만개 전소… 1.7조 보험금에 손보사 촉각/김재홍/2023.30.13
'동그라미의 과학' 한국타이어 '화재의 과학' 오명/허송빈/2023.03.13
'대형화재' 한국타이어, 실적 기대감도 타버렸다/정재웅/2023.03.14
화재 난 한국타이어 인근 하천서 기준치 3배 이상 중금속 성분 검출/우정식/2023.03.17
[단독] 한국타이어, 화재 5분뒤 119 신고했다…"골든타임 놓친것"/신진호/2023.03.17
타이어공장 7곳 긴급 화재안전조사 실시/임동희/2023.03.17
산업안전, 권혁면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산업용 방진마스크 올바른 사용법-안전보건공단
https://www.youtube.com/watch?v=TkC5jOx0KDY&t=5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