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일상생활에서의 치료적 의사소통
1.1.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의사소통 과정에서 말과 함께 이루어지는 다양한 신체적 표현을 의미한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음성언어, 문자언어 등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표정, 몸짓, 시선, 자세 등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언어적 의사소통에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이 포함된다. 말하기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고, 듣기는 상대방이 전달하는 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읽기와 쓰기는 문자언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이러한 언어적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말로 표현하지 않고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표정, 몸짓, 시선, 자세 등의 신체적 표현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하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경청하는 태도로 고개를 끄덕이거나 상대방을 바라보며 경청하는 모습은 상대방에게 관심과 이해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화가 났을 때의 찌푸린 표정이나 주저앉은 자세는 언어와 상관없이 부정적인 감정을 전달한다.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소와 긍정적인 어조로 상대방을 격려하거나, 기억해야 할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는 몸짓과 함께 명확하게 전달하는 등의 방식이다. 이처럼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2.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강화하고 대상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이다. 이러한 기법에는 경청, 공감, 정보제공, 반영, 재진술, 개방형 질문, 관심 가지기, 수용하기, 동의하기 등이 포함된다.
경청은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감정과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그 사람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정보제공은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돕는 것이다.
반영은 대상자가 표현한 감정이나 내용을 재진술하여 확인하는 것이고, 재진술은 대상자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도모한다. 개방형 질문은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질문으로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관심 가지기는 대상자에게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신뢰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수용하기는 대상자의 현 상황을 판단하거나 비평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동의하기는 대상자와의 의견이 일치하도록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은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 정보 교환, 문제 해결 등에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치료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3. 비치료적 의사소통 행동
비치료적 의사소통 행동이란 환자나 대상자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방해하거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치료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중간에 끊는 행동,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인정하지 않는 행동, 상대방의 요구사항을 거절하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는 행동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환자가 자신의 불편함을 호소할 때 간호사가 "별로 아프지도 않은 것 같은데 뭘 그렇게 불편해하세요?"라고 말하는 것은 환자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그의 감정을 인정하지 않는 비치료적 의사소통 행동이다. 또한 의사가 환자에게 "이런 증상으로는 큰 문제가 없을 거예요. 당신이 걱정할 필요 없어요."라고 말하며 환자의 우려를 무시하는 것도 비치료적 의사소통에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