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장품 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도 화장품 시장 분석 및 진출방안
1.1. 인도 화장품 시장 현황
1.1.1.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
1.1.2.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배경
1.1.3.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
1.2. 인도 화장품 시장 조사
1.2.1. 경제 환경 조사
1.2.2. 사회-문화 환경 조사
1.2.3. 정치-법 환경 조사
1.2.4. SWOT 분석
1.3. 마케팅 전략
1.3.1. 4P전략
1.4. 진출방안
1.5. 결론
2. 한국의 명품소비 현황
2.1. 한국의 명품 소비 현황
2.2. 한국 소비자가 명품에 열광하는 이유
2.2.1. 문화적 측면
2.2.1.1. 한국인의 집단적 특성에서 바라본 관점
2.2.1.2. 명품에 열광하는 동아시아 전체적 관점
2.2.2. 개인적 측면
2.2.2.1. 개인의 소비 욕망
3. 1920년대 여성의 소비 분석
3.1. 1920년대 모던걸의 소비양상 분석
3.2. 1920년대 모던걸의 소비가 현대 여성에게 미친 영향
3.3. 결론 및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도 화장품 시장 분석 및 진출방안
1.1. 인도 화장품 시장 현황
1.1.1.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
2013년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는 85억 276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약 18%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 화장품 시장 중 바디케어 부문이 전체의 33.7%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그 뒤를 헤어케어(26.51%), 스킨케어(23.12%) 부문이 잇고 있다. 남성용 제품 부분도 9.38%로 높은 점유율을 보인다. 향수 부문이 28.0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그 뒤를 데오드란트(27.98%), 메이크업(25.86%)이 잇고 있다.
1.1.2.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배경
현재 인도의 화장품 시장은 급성장을 하고 있다. 인도 국민의 1인당 화장품용 지출액이 2-3년 이내에 중국과 동등한 수준으로 증가될 예정이다. 인도 화장품 시장이 근년에 활성화 되면서 해마다 15~20%의 고도 성장추세에 있으며 특히 앞으로 2-3년 내에 화장품 지출이 현재의 9억 5천 달러에서 14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인도는 높은 시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인도 경제의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외부적 상황으로 보자면 인도의 GDP(2009)는 1조4300억2000만 달러로 세계 1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인당 GDP(2009)는 1176 달러로 132위이다. 맥컬리 증권은 인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10년 7%, 2011년 8%, 2012년 8.5%로 전망하였다. 시장 진출 장소로서의 인도는 매우 쾌적하며 잠재적인 수요층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사업진출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도의 고성장으로 자국 내 물가가 상승하면 수입이 증가하므로 이 점 역시 진출에 상당히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내부적 상황으로 보면 고 성장의 인도경제로 말미암아 지난 10여 년 동안 인도 가계의 수입이 대폭 늘었다. 이로 인해 중산층의 수도 증가하였는데, 국 내외 미디어에서 이런 인도 중산층이 2억 내지 2억 5천명이라고 추산하였다. 또한 인도 소비재 시장 소비자층은 경제성장에 따라 해가 갈수록 빈곤층이 감소하고 있으며, 중산층과 상승 열망층을 중심으로 구매력을 지닌 잠재 소비자층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인들의 소득증대, 구매력을 지닌 중산층의 증가, 도시화, 여성의 노동참여, 수요에 있어 브랜드의 중요성 확대 등 수많은 요소들을 통해 인도 화장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인도 화장품 시장은 매력적인 신규 진출 대상지라고 볼 수 있다.
1.1.3.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인도에서는 허벌(herbal)화장품의 인기가 대단하다. 인도는 허벌 화장품에 대한 역사가 깊다. 오래 전부터 인도 사람들은 약초로 유명한 헤나나무 잎을 피부와 머리, 손톱을 염색하는 화장품 염료로 사용해 왔다. 헤나는 축제, 종교의식, 결혼식 등 다양한 행사에 있어 필수 메이크업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카잘(Kajal), 시르마(sirma), 사르마(Surma), 카투카(Katuka), 콜(Kohl) 등 어두운색의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눈매를 강조하는 화장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금값보다 비싸다는 샤프론(shaffron)은 피부 세안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인도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미용을 위해 다양한 천연원료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허벌 화장품에 더욱 친근감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 한방 화장품이 있다면 인도에는 아유르베다 화장품이 있다. 인도에서는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를 바탕으로 자연에서 피부를 치료하는 허벌 화장품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현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허벌 화장품 브랜드에는 히말라야허벌스(HimalayaHerbals), 로터스허벌스(LotusHerbals), 카디내추럴(KhadiNatural), 바디허벌스(VaadiHerbals), 저스트허브스(Just Herbs)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저스트허브스는 자사 제품에 대해 전체 화장품 성분을 공개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다.
최근에는 아유르베다 화장품 기업들이 허벌 화장품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천연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효과가 합성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점을 개선하여 제품을 수출한다면 현지 브랜드와 경쟁구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인도에서 뷰티살롱이 진화하고 있다. 뷰티살롱은 전통적인 미용실 형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들어 헤어 케어 뿐 만 아니라 스킨케어, 바디 케어 등 토탈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살롱이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와 현지 브랜드들은 자사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인도 전역에 프랜차이즈 형태의 헤어살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용에 관심을 갖는 남성들이 증가하면서 남성과 여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뷰티살롱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는 허벌 화장품과 아유르베다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토탈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살롱의 확산으로 요약할 수 있다.
1.2. 인도 화장품 시장 조사
1.2.1. 경제 환경 조사
FTA를 포괄하는 한-인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 발효는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제적 기준으로 볼 때 양국 상호간의 교역 증진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치, 외교적 기준에서는 정치적 우호 관계형성, 경제 관계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 아시아 역내(서남아시아 및 ASEAN)와의 관계 강화 측면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특히 "China Plus One" 전략에 따른 인도와의 경제협력 강화는 대중국 경제 의존도를 줄이면서 우리 경제의 토대를 강화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기도 하다.
한-인도 양국은 경제 협력 강화를 통해 Win-Win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FTA체결은 양국 경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국 간 통상관계, 상호보완적 산업 구조, 정치적 협력 등 전략적 중요성 등을 감안할 때, 한-인도간 포괄적 경제협력 협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편 인도의 도로, 철도 및 항만 네트워크는 매우 열악한 상태로 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항만 시스템의 경우, 민간 항만을 신규로 건설하는 등 일부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처리용량의 초과로 인해 인도에서는 상품통관에 평균적으로 한국 및 태국의 약 2배, 가장 효율적인 OECD 국가들의 약 3~4배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처럼 인도의 경제 환경은 한-인도 CEPA 체결로 인한 긍정적인 요인과 사회간접시설의 미흡한 상황 등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 시 이러한 경제 환경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1.2.2. 사회-문화 환경 조사
인도 화장품 시장은 사회-문화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참고 자료
http://blog.daum.net/hheeduck/99
인디아 익스프래스, 세이브 칠드런 보고서, 마노라마 연감 2010, 코트라 뭄바이KBC 종합 <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47381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12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18116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243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58678&searchNationCd=101074
http://www.business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3680
http://www.designdb.com/?menuno=783&bbsno=30481&siteno=15&act=view&ztag=rO0ABXQAND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gzIiBza2luPSJwaG90b19iYnMiPjwvY2FsbD4%3D
http://www.lovesbeaut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72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56420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4/07/07/2014070700099.html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77828/cat/10
https://blog.naver.com/jackiestory?Redirect=Log&logNo=221336905595
https://blog.naver.com/selina-lee?Redirect=Log&logNo=221216786504
blog.naver.com/ykim57/221236056052
https://blog.naver.com/kamaindiary/221142653051
https://blog.naver.com/popori0212?Redirect=Log&logNo=220893124076
박진아 (2010).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명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8), 1303-1318.
박주호, 이상호, 최자영 (2008). 명품브랜드를 향한 태도에 대한 소비가치 및 신념의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염동섭, 유승엽 (2012). 한국 소비자의 명품 소비행동은 어떠한가?: 동기, 혜택 및 손실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323-340.
유승엽, 염동섭 (2012).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 성향이 명품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광고 제작 시사점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1), 203-213.
윤성욱, 한지희 (2008). 고객 가치에 근거한 명품 소비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탐험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19(4), 135-159.
이가나, 신수연 (2012).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2012, 554-566.
이준영, 김난도 (2007), 명품의 소비 욕망: 심층면접을 통한 ‘욕망의 삼각형 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8(2), 41-58.
최상진, 박정렬, 이장주 (1997). 한국인의 우쭐심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91-400.
한세희 (2012). 한국 및 동아시아의 과시현상과 포스트모더니즘, 사회 이론, 101-117.
시사저널 (2010). 한국의 명품시장에 불황은 없다. 시사저널, 1057호, 경제면,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153.
아시아경제 (2012). 수입명품들, 한국정부도 우습게 보나. 아시아경제, 유통면,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91411154776671&nvr=Y
매일경제 (2012). [NIE 경제교실] `명품 광풍` 그속에 드리운 어두운 그늘, 매일경제, Retrieved May 09, 2012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81224
김은하, 「미혼 직장여성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한국방송교통공사, 2000.
서지영 외, 「소비하는 여성들: 1920-30년대 경성과 욕망의 경제학」, 『한국여성학』, vol.26, 한국여성학회, 2010.
신창순, 「한ㆍ중 소설의 여성형상 비교연구 -1920∼30년 작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정지미, 「여성의 경제활동과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 과시적 소비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유광렬 외, 「모던걸-모던보이-대논평」, 별건곤, 1927. 12..
이선희, 「女人命令」, 조선일보, 1937. 12. 28.
작가 미상, 「“데파트”의 悲哀」, 조선일보, 1931.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