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생학적 문식성의 의미 및 본인의 문자언어 지도방안 견해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발생학적 문식성의 의미
2.1. 발생적 문식성의 의미
2.2. 발생학적 문식성의 관점
2.2.1. 생애 초기부터의 문식성 발달
2.2.2.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발달
2.2.3.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학습
2.2.4. 발달적 과정으로서의 읽기와 쓰기
2.3. 발생학적 문식성의 기본 가정
3. 발생학적 문식성에 기초한 문자언어 지도방안
3.1. 총체적 언어 접근법
3.2. 균형적 언어 접근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유아기 문식성 발달 특징을 설명하는 용어로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발생적 문식성(emergent literacy)이다. 'emergent literacy'는 관습적으로 읽거나 쓰지 못하는 아동의 읽기·쓰기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 Clay(1966)가 처음 사용했고 Teale & Sulzby(1986)가 이 용어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1980년대 이후 등장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및 상호작용적 이론은 영유아들이 문자언어에 노출되어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읽기 행동이 매우 일찍 출현한다고 했다. 문자언어에 노출되는 과정 자체가 문자언어 발달에 중요하기 때문에 읽기를 위한 준비도 같은 것은 없다고 보았다. 이는 읽기 전에 쓰는 유아가 있다는 연구 등이 발표되면서 영유아의 읽기, 쓰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지지를 받았다. 발생학적 문식성 관점에서는 영유아가 읽고 쓸 수 있게 되는 것이 직접적인 교수에 의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가 스스로 읽기와 쓰기에 필요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여 내면화한다고 본다. 따라서 영유아의 읽기, 쓰기 발달에서 문자가 풍부한 환경의 역할을 강조했다.
2. 발생학적 문식성의 의미
2.1. 발생적 문식성의 의미
발생적 문식성이란, 영유아기 문자언어발달의 특징과 이 시기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잘 반영하는 용어이다. '발생적'이란 용어는 유아기 읽기·쓰기 행동 및 이와 관련된 지식이 유아기 이후의 읽기·쓰기 학습을 위한 예비과정이나 사전과정이 아님을 강조하고자 하는 표현이다. 즉, 읽기·쓰기는 영아기 의사소통능력의 발달에 기초해,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주변 환경의 인쇄물을 접하는 경험을 통해 스스로 구성해 가는 능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문식성'의 사전적 의미는 읽고 쓰는 능력으로 읽기와 쓰기를 모두 포함하며, 이는 읽기와 쓰기가 순차적으로 발달하는 독립적인 능력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함께 발달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2.2. 발생학적 문식성의 관점
2.2.1. 생애 초기부터의 문식성 발달
생애 초기부터의 문식성 발달은 영유아가 문자언어에 노출되어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읽기 행동이 매우 일찍 출현한다고 보았다"이다. 문자언어에 노출되는 과정 자체가 문자언어 발달에 중요하기 때문에 읽기를 위한 준비도 같은 것은 없다고 보았다. 이는 읽기 전에 쓰는 유아가 있다는 연구 등이 발표되면서 영유아의 읽기, 쓰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지지를 받았다. 발생학적 문식성 관점에서는 영유아가 읽고 쓸 수 있게 되는 것이 직접적인 교수에 의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가 스스로 읽기와 쓰기에 필요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여 내면화한다고 보았다"이다.
2.2.2.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발달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발달은 발생학적 문식성의 중...
참고 자료
강성화, 고선옥 외 1명 저, 언어지도, 동문사, 2022
민미희 저, 언어지도 (제4차 표준보육과정을 반영한), 학지사, 2022
이정아, 장석경 외 1명 저, 영유아 언어지도 (균형적 접근에 기초한, 제5판), 공동체, 2021
권민균, 김수향 외 3명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21
김정은, 한희정 외 3명 저, 영유아 언어지도, 동문사, 2021
서소정 저, 아동언어지도, 창지사, 2020
노명완, 이차숙(2006), 문식성 연구. 박이정.
이차숙(2004),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마쓰이 다다시(2012), 어린이와 그림책. 샘터.
구정아(2009), “가정 문식 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언어지도 교안(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유아발달에 따른 문자 언어 발달(wisdom0328.tistory.com)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