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내막증의 정의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궁 내막 조직은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영향을 받아 성장과 발달을 하므로,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고 질환자의 75%가 25~40세 사이의 가임기 여성이다.
자궁내막증은 골반 장기와 복막, 특히 난소(가장 흔하게 발견됨)를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다. 그 외에도 자궁인대, 직장, 질중격, 자궁, 난관, S자상 결장, 방광을 덮는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충수돌기, 외음부, 자궁경부, 난관 기시부, 림프절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견될 수 있다.
1.2. 자궁내막증의 원인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학설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월경 역류설"이다. 이에 따르면 월경 시 월경혈 및 자궁내막 조직이 난관을 통해 역류하여 골반 내에 직접 착상되어 자라난다는 설이다. 역류된 조직들은 주로 난소, 맹낭, 자궁천골 인대와 광인대, 자궁 후벽에 이식된다. 이 학설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월경 간격이 짧고 긴 여성이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 자궁내막증의 위험이 더 높다고 한다. 둘째, "체강상피화생설"이다. 이는 체강상피가 자궁내막조직으로 변형된다는 이론이다. 셋째, "유도설"이다. 이는 체강상피화생설의 연장으로, 내인성 생화학적 요인에 의해 미분화된 복막세포들이 자궁내막 조직으로 분화한다는 이론이다. 넷째, "혈행성 파종설"이다. 이는 월경 시 자궁내막세포가 자궁의 혈관 및 림프계를 통해 원거리 장기 및 장소로 전이된다는 이론이다. 이 외에도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내분비학적 호르몬 요인, 신체/환경적 요인 등이 자궁내막증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궁내막증은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잡한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2. 증상 및 진단
2.1. 자궁내막증의 증상
자궁내막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표적으로 진행성 월경통, 성교통, 불임 등이 있다.""
월경통은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주로 월경과 함께 또는 월경 직전에 동반되는 골반 통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통증의 정도는 자궁내막증의 정도와 상관없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의 유발 기전에는 유착, 반흔, 복막의 긴장, 골반 혈류의 변화, 골반 신경로의 침범 및 골반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관여한다. 자궁 천골 인대나 질 부위의 병변은 성교통이나 배변통을 일으킬 수 있다.""
불임은 자궁내막증의 또 다른 대표적인 증상이다. 정자 이동의 변화, 성교통에 의한 성교 횟수 감소, 황체화된 난포의 파열 불능, 기능적 황체기의 단축, 이입 자궁 내막에 대한 난자의 주화성 등의 이유로 난임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 월경 전 출혈, 맹낭의 경결, 자궁천골 인대의 결절, 고정되어 있는 난소의 종괴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2.2. 자궁내막증의 분류
자궁내막증의 분류는 미국 생식 의학회의 분류법을 사용하여 골반 내 자궁 내막증 병변의 양상과 크기, 복막 및 난소 병변의 깊이, 자궁 부속 기 유착의 특성과 범위, 맹낭의 폐쇄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
Stage I (minimal) : 병변이 작고 표재성이며, 유착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
Stage II (mild) : 병변의 깊이가 보통이거나 약간 깊고, 유착이 보통인 경우
Stage III (moderate) : 병변이 깊고 유착이 심한 경우
Stage IV (severe) : 병변이 깊고 광범위한 유착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자궁내막증의 분류를 통해 환자의 증상 및 불임 정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