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목표관리란 무엇이며, 목표관리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일상생활에서 이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목표관리의 중요성
1.2. 목표관리 이론의 등장
2. 목표관리(MBO)의 개념
2.1. 목표관리의 정의
2.2. 목표관리의 주요 특징
3. 목표관리의 과정
3.1. 목표 설정
3.2. 실행계획 수립
3.3. 진행과정 통제
3.4. 성과평가 및 보상
3.5. 피드백과 새로운 목표 설정
4. 목표관리의 장단점
4.1. 목표관리의 장점
4.2. 목표관리의 단점
5. 일상생활에서의 목표관리 응용
5.1. 개인 목표 관리
5.2. 그룹/팀 목표 관리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목표관리의 중요성
목표관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목표는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목표는 우리가 어떤 것을 달성하고자 하는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것을 향해 노력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목표 설정과 효과적인 관리는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조직 내에서 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는 조직의 목표와 전략을 더 명확하게 설정하고 실행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 중 하나로 활용된다.
효과적인 목표관리를 통해 조직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목표의 명확성 제고를 통해 조직과 구성원의 방향성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둘째, 목표와 성과 간의 직접적인 연계로 조직 전반의 성과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개인과 팀의 자기 책임감 향상으로 더 높은 동기와 효율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넷째, 상하간 협력과 목표 달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처럼 목표관리는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조직은 목표관리를 통해 구성원들의 역량과 동기를 높이고, 조직 전체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2. 목표관리 이론의 등장
목표관리 이론의 등장은 1945년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에 의해 제시되었다. 과거에는 조직의 목표를 최고경영자가 일방적으로 설정하고 부하 직원들은 그에 따라 정해진 표준작업규정에 맞춰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근로자들의 책임감과 동기부여를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근로자들이 최소한의 일만 하려는 무기력한 태도를 보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피터 드러커는 1945년 "목표관리법(MBO, Management by Objectives)"을 제안하였다. 드러커의 핵심 주장은 실제 비즈니스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조직의 목표 설정 과정에 조직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감독자와 부하 직원이 함께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근로자의 업무 의욕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드러커가 제시한 목표관리 시스템은 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경영기법으로,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목표관리(MBO)의 개념
2.1. 목표관리의 정의
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의 정의는 조직 내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철학 및 접근 방식이다. 이는 조직이나 개인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며, 그 과정에서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목표관리는 1954년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가 제시한 개념으로, 의도적인 관리 하에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경영활동 시 모든 분야에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목표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경영 관리의 관심 영역에 따라 경영 지휘, 시스템의 성과, 결과 관리, 전략적 계획 및 종업원의 만족, 성과 및 개발, 동기부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2. 목표관리의 주요 특징
목표관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설정이다. 먼저 목표관리에서는 조직이나 개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한다. 이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둘째, 계획 수립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개발한다. 이 단계에서 필요한 자원과 조직의 역할 및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한다.
셋째, 진행과 모니터링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진행 상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조직이나 개인은 문제를 조기에 인식하고 시정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넷째, 평가와 보상이다.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보상이나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는 동기 부여와 성과 향상을 촉진한다.
이처럼 목표관리는...
참고 자료
남영호, 「경영계획과 목표에 의한 성과관리」, 세명서관, 2014
박영배,김계수, 「경영학개론」, 청람, 2018
최중락, 「경영학개론」, 필통북스, 2015
이은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16
채은성, 「목표관리 특성이 세일즈엔지니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신장환, 「목표관리(MBO)의 특성이 목표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황경석의 경영세설(經營世說)] 피터 드러커의 목표관리 시스템
http://www.next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607
기계적 목표 관리제는 또 다른 관료주의 _ [송경모의 '드러커式 세상읽기']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27/2015022703378.html
[경영자의 MBO 기업인수] _ 김규진, 임우돈, 장훈 / 첨단금융출판사 2013
성과관리_[MBO란?] 서기원
https://blog.naver.com/jjskw1/222231399601
이정철, (2003). 목표관리(MBO) 시스템 운영과 효과성 : 목표설정과 목표수행 단계 중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69a45e89a112ade&keyword=%EB%AA%A9%ED%91%9C%EA%B4%80%EB%A6%AC
최재풍, (2007). 목표관리 효과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0802806
유승현, (2018). 리더십과 전문성이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성과정보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2(3). pp.137~166.
http://www.riss.kr/link?id=A1056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