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폭력의 실태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교폭력의 개념과 실태
1.1. 학교폭력의 개념
1.2. 학교폭력의 실태와 특징
1.2.1.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
1.2.2. 정서적 폭력의 증가와 폭력의 지속성
1.2.3.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 불분명
1.2.4. 학교폭력 발생 연령의 하향화
1.2.5. 중학교의 높은 학교폭력 비율
1.2.6.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의 낮음
2.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
2.1. 개인적 요인
2.1.1. 공격적 성격장애
2.1.2. 자기조절 능력 부족
2.1.3. 윤리의식 및 도덕의식의 결여
2.2. 환경적 요인
2.2.1. 유해매체 및 환경의 영향
3. 학교폭력 당사자 유형 분석
3.1. 피해자 유형
3.1.1. 수동적 피해자
3.1.2. 대리 피해자
3.1.3. 거짓 피해자
3.1.4. 지속적 피해자
3.1.5. 도발적 피해자
3.2. 가해자 유형
3.2.1. 적극적 가해자
3.2.2. 소극적 가해자
3.2.3. 순수 가해자
3.2.4. 가해 피해자
3.2.5. 방관자 집단
4. 학교폭력 관련 사례 분석
4.1. 운동부 내 학교폭력 사례
4.2. 집단 구타 및 사망 사례
5.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대책
5.1. 사회적 차원의 대책
5.2. 가정 차원의 대책
5.3. 학교 차원의 대책
5.4. 당사자 차원의 대책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학교폭력의 개념과 실태
1.1. 학교폭력의 개념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및 유인, 명예훼손 및 모욕, 공갈, 강요 및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 및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학교폭력의 개념에는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언어적, 심리적 폭력 등 다양한 유형이 포함되며, 피해 학생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불편함을 느끼는 모든 행위가 학교폭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2. 학교폭력의 실태와 특징
1.2.1.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이란 학교폭력이 점점 집단화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즉, 개인적인 폭력이 아닌 집단 간 폭력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 간 역할이 뚜렷하지 않고 순환되는 경우가 많다. 가해자 집단이 피해자 집단을 가해하다가 또 다른 집단의 피해를 당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폭력의 양상이 신체적 폭력에서 언어폭력, 집단따돌림 등 정서적 폭력으로 변화하고 있다. 셋째, 학교폭력이 저연령화되어 초등학교 단계에서도 집단 간 폭력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중학교 단계에서 학교폭력이 가장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은 폭력의 주체와 대상, 유형, 연령 등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학교폭력의 집단화 경향은 폭력의 양상과 가해자-피해자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개별적인 대응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폭력의 발생 및 해결 과정에 집단 역동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 마련 시 개인 수준의 접근뿐만 아니라 집단 간 관계와 역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2.2. 정서적 폭력의 증가와 폭력의 지속성
정서적 폭력의 증가와 폭력의 지속성이다. 학교폭력에서 언어폭력, 집단따돌림과 같은 정서적 폭력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피해자에게 지속적인 트라우마와 고통을 안겨준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폭력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온라인상에서 지속되는 모욕적 언행은 피해자의 자존감 손상과 심리적 고통을 가중시킨다. 또한 학교폭력이 반복되거나 장기화되면서 초기 피해자가 가해자로 전환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처럼 정서적 폭력의 확산과 폭력의 지속성은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피해자와 가해자, 때로는 피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등 역동적인 양상을 보이며, 이는 학교폭력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1.2.3.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 불분명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이 불분명"은 학교폭력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가해자와 피해자는 상황에 따라 그 역할이 뒤바뀔 수 있으며, 때로는 한 개인이 동시에 가해자이자 피해자일 수도 있다. 이는 학교폭력이 단순히 개인 간의 문제가 아니라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역동관계의 결과라는 것을 보여준다.
학교폭력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가 모호한 특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은 특정 학생들로부터 폭력을 당하지만 동시에 더 약한 학생들을 괴롭히는 가해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학교폭력은 다수의 가해자와 다수의 피해자가 존재하는 집단적 양상을 띠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역할의 구분이 모호해지며, 가해자와 피해자가 뚜렷하게 구분되기 어려운 것이다.
이처럼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이 불명확한 것은 학교폭력의 특성상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고, 또한 가해자의 입장에서도 자신이 피해자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피해 학생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경우, 자신은 피해자라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가해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교폭력의 맥락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피해와 가해가 순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학교폭력에 대한 개입과 대처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가해자와 피해자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학교폭력 문제에 접근할 때는 개인의 역할보다는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전반적인 맥락과 집단 역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피해와 가해가 순환되는 악순환을 차단하고, 학교폭력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1.2.4. 학교폭력 발생 연령의 하향화
학교폭력 발생 연령의 하향화는 학교폭력의 심각한 특징 중 하나이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이 점점 더 낮은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는 0.4%, 고등학교는 0.2% 순이었다. 이는 학교폭력 문제가 초등학생 집단에서 더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학교폭력 연령의 하향화 현상은 여러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유해 매체 및 환경의 영향으로 어린 학생들도 폭력성향을 학습하게 된다. 둘째, 초등학생의 경우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하고 윤리의식 및 도덕의식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폭력행동을 제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에서의 양육태도나 부모의 역할 부재 등 환경적 요인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학교폭력 문제가 점점 더 어린 연령층으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초등학생 대상의 예방교육 강화와 더불어 가정과 사회의 역할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5. 중학교의 높은 학교폭력 비율
중학교의 높은 학교폭력 비율이다. 우리나라 학교급별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을 살펴보면, 초등학교는 2.5%, 중학교는 0.4%, 고등학교는 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교에서 가장 높은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학교가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또래 관계에서 오는 갈등이나 긍정적 자아 형성의 어려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학생들은 아직 감정 조절 및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하여 갈등상황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
참고 자료
김미예 외. 아동건강증진간호 중 “학교폭력, 56, 파주 : 수문사, 2018
정지선. (2021).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학교폭력 피해 유형, 부모방임, 외로움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1), 2645-2660.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734994&call_from=naver_news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권남영, ”학폭 끝 극단선택 소년… “나 안 괜찮아, 도와줘” 쪽지“ 국민일보, (2021-07-0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027696&code=61121211&cp=nv
윤근혁, ”학교폭력·집단괴롭힘 원인 자살자가 6년째 0명?“오마이뉴스, (2021.09.1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73386
서윤경, ”‘폭력·집단 괴롭힘’ 학생 자살 ‘0’명… 좋은교사, 교육부 통계 오류 지적“, 국민일보, 2021.09.21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284711&code=61221111&cp=nv
김예람,“학교폭력 실태조사 실효성 문제 알면서도 수년째 방관”, 한국교육신문, ( 2021.10.20.),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4809
노윤채(Yun-Chae Noh),신정숙(Jung-Sook Sin),and 박희서(Hwie-Seo Park).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자살충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17.8 (2012): 171-179.
이한주.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韓國學校保健學會誌 30.3 (2017): 274-283.
김영희 and 홍경선. (2018). 중학교 시기 학교폭력 경험이 고등학교 시기 학교폭력 경험 그리고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9(5), 1413-1426.
김세원. (2018).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경험이초기 성인기 발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54, 39-66.
Song, Y.-M. (2019). Bullying Experience of School Bullies on Convergence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349–35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2.349
Lee, Chang-Seek, Park, Ji-Young, & Jang, Ha-Young.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Human Rights Victimiz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7–44.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37
Lee, H. (2017).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3), 274–283.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274
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 허경미
청소년복지론, 나남출판, 이소희
현직 경찰관이 알려주는 학교폭력 대처법 (학교폭력의 도화선과 신호, 그리고 현명한 수습에 대하여) 이상희 저 | 굿위즈덤 | 2021.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