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관찰할 때 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전체 관찰 집단을 모집단(Population)이라고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집단 모두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여 가설을 증명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집단 중 일부를 표본(sample)으로 삼는 표본 추출(sampling)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표본은 모집단의 하위 그룹(sub-group)으로서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연구와 관찰이 이루어지는 집단인 바, 일종의 준거 집단(reference group)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아래 본론에서는 표본을 형성하기 위한 표본추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표본추출의 개념
2.1. 표본추출의 의미
표본추출이란 전체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본 조사(sample survey)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전수 조사(census)와는 달리, 모집단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표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이다. 따라서 충분히 대표성을 갖고 있는 표본을 추출할 필요가 있는 바, 모집단의 일부를 표본으로 선택해내는 표본추출의 중요성이 높다"".
2.2. 모집단과 표본의 관계
모집단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표본은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일부 대상을 말한다"" 모집단과 표본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표본은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해야 하며, 이를 통해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표본 추출 시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선정해야 한다"" 만약 표본이 모집단을 충분히 대표하지 못한다면, 모집단에 대한 일반화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표본은 모집단의 속성을 최대한 잘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표본 추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표본추출의 유형
3.1. 확률표본추출
3.1.1. 단순무작위추출
단순무작위추출은 확률표본추출의 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모집단의 각 요소가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이 동일하도록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집단 내의 모든 개체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그 다음 난수표를 활용하여 무작위로 표본 크기에 해당하는 개체번호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된 개체가 다시 모집단으로 복원되지 않으므로, 복원추출법과 비복원추출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복원추출법은 한 번 선택된 개체가 다시 모집단으로 돌아가므로 중복 선택될 수 있지만, 비복원추출법은 한 번 선택된 개체는 더 이상 선택되지 않는다.
비복원추출법의 경우 모집단의 크기가 크지 않다면 복원추출법에 비해 더 효율적이며, 모집단의 크기가 크다면 복원추출법과 비복원추출법의 차이는 크지 않다. 단순무작위추출은 표본 추출이 용이하고 추출 과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모집단에서는 표본의 대표성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단순무작위추출은 표본추출 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각 개체가 동등한 확률로 선택되도록 하는 추출 방식이다. 이를 통해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대표적인 표본을 확보할 수 있다.
3.1.2. 체계적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