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시대에 언어학자가 할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위스 언어학자 소쉬르
1.1. 구조주의 언어학
1.1.1. 이론적 배경
1.1.2. 역사적 배경
1.2. 소쉬르 언어이론과 이원적 대립
1.2.1. 공시적 언어학과 통시적 언어학
1.2.2. 언어기호
1.2.3. 언어 가치(Linguistic value)의 개념
1.2.4. 파롤과 랑그
1.2.5. 통합관계 및 연합관계
2. 우리말의 탄생
2.1. 서구 지식의 세례를 받다
2.1.1. 기독교와 조선어학회
2.1.2. 조선어학회의 해외 유학파들
2.1.3.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와 조선어학회
2.2. 민족이 곧 신앙
2.2.1. 대종교와 조선어학회
2.2.2. 주시경의 또 다른 모습들
2.3. 좌, 우파의 지지를 고루 받다
2.3.1. 독립운동 세력과 조선어학회
2.3.2. 이념을 넘어
2.4. 대중은 조선어학회를 어떻게 의미화했나
3. 한국어 교재의 문학 활용
3.1. 이화 한국어 1-1, 1-2 (초급)
3.2. 이화 한국어 2-1, 2-2 (중급)
3.3. 이화 한국어 3-1, 3-2 (고급)
3.4. 수준별 문학작품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위스 언어학자 소쉬르
1.1. 구조주의 언어학
1.1.1. 이론적 배경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소쉬르의 이론들은 당시에 시대를 앞선 혁신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역사주의 관점에 머물러있던 기존의 언어학자들에게 큰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소쉬르는 기존의 역사주의적 관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언어학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즉, 소쉬르의 이론은 언어학에 대한 혁신을 불러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소쉬르 이전에는 주로 언어의 논리성을 중시하였으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언어학 연구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언어를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연구하지는 않았다. 이에 소쉬르는 언어를 구조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이론 및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쉬르의 구조주의 이론은 "언어는 구조적이므로 언어 연구도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개별 언어 요소가 아닌 전체 구조를 통해 언어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역사주의적 관점에 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었다.
따라서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당시 역사주의적 관점의 언어학자들에게 언어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언어학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1.1.2. 역사적 배경
18세기에는 일반적으로 언어학의 논리성을 중시하였고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언어학으로써 연구를 시작한다. 하지만 19세기에도 역시 언어를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었기에 소쉬르의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이론 및 연구방법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금 더욱 기능적인 연구가 바탕이 되어 '구조주의'라는 하나의 혁신을 불러온 것이다. 대략적으로 구조주의는 '언어는 구조적이므로 마찬가지로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언어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개별적으로 언어를 파악하기보다 전체적인 구조를 통해서 언어를 파악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1.2. 소쉬르 언어이론과 이원적 대립
1.2.1. 공시적 언어학과 통시적 언어학
공시적 언어학(共時的 言語學)과 통시적 언어학(通時的 言語學)은 소쉬르가 구분한 언어학의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이다. 공시적 언어학은 특정 시점의 언어 체계를 연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시적 언어학은 언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뜻한다.
공시적 언어학에서는 언어의 현재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다. 특정한 시간이나 시기에 언어 체계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어의 문법 체계나 어휘 구조 등을 분석하는 것이 공시적 언어학의 관심사이다. 반면, 통시적 언어학은 언어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겪어왔는지에 주목한다. 특정 언어가 역사적으로 어떤 변화를 거쳐 왔는지, 그 변화의 양상이 어떠한지를 연구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모음체계의 변화 과정이나 한자어의 변천 과정 등을 살펴보는 것이 통시적 언어학의 관심사이다.
소쉬르는 언어학을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공시적 언어학을 중심에 두었다. 그는 언어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그 체계 내에서 언어 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를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언어의 역사적 변화보다는 현재의 언어 체계에 대한 분석에 주력했다. 소쉬르는 언어를 하나의 정태적인 구조로 파악하고자 했기 때문에, 언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다루는 통시적 언어학보다는 언어의 공시적 구조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공시적 언어학과 통시적 언어학은 언어 연구의 두 가지 주된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공시적 언어학은 특정 시점의 언어 체계에 주목하고, 통시적 언어학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에 관심을 둔다. 소쉬르는 이 두 가지 접근법 중에서 공시적 언어학을 중심에 두고 언어 연구를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1.2.2. 언어기호
소쉬르는 언어를 기호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그에 따르면 언어는 기표(기호의 표현)와 기의(기호의 내용)로 구성된 이원적 기호 체계이다.""기표는 언어의 소리, 기의는 그 소리가 뜻하는 개념이다.""언어 기호는 기표와 기의가 恣意的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독립적인 관계이다.""소쉬르는 언어 기호의 구조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언어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2.3. 언어 가치(Linguistic value)의 개념
언어 가치(Linguistic value)의 개념은 소쉬르의 이론에서 절대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언어 기호는 각각의 낱말들이 서로의 모순적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시차성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기호의 자의성에 따라서 선조성과 소극성에 의한 낱말의 대립적 관계에 의해 그 가치가 보장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언어 가치(Linguistic value)는 언어체계 내에서 하나하나의 낱말 단위들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 규정되는 단위의 논리적 의미라고 일컬을 수 있다"".
1.2.4. 파롤과 랑그
소쉬르는 모든 언어적 활동들을 '랑가주'라고 칭했고 이 랑가주를 크게 '랑그(Langue)'와 '파롤(Parole)'로 나누게 된다.
파롤(Parole)은 말하...
참고 자료
소쉬르 언어이론 및 한계에 관한 고찰=Etude sur la theorie linguistique de Saussure et la limite, 박진열(2002)
소쉬르 언어이론 연구: 언어기호 이론과 이원적 대립을 중심으로=Une e’tude sur la th’eorie saussurienne, 이금실(1992)
소쉬르(Saussure)의 언어·기호이론에서 문자의 표상성에 관한 논고, 이홍규(2008)
소쉬르 언어이론에 있어서 이원성원리 연구=Sur le principe de la dualite saussurienne, 장병기(1985)
구조언어학 모델 구성에서 은유의 역할: 소쉬르와 옐름슬레우의 언어이론을 중심으로, 신정애(2000)
언어와 언어이론(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 김진우, 한국문화사(2014)
일반언어학 간의, 페르디낭 드 소쉬르, 민음사(2006)
구조주의와 교육, Rex Gibson, 학지사(2018)
구조주의 혁명, 임봉길, 서울대학교출판부(2000)
“[이 아침의 인물] 근대 언어학 초석 다진 페르디낭 드 소쉬르”, 한국경제, 2016.11.25
“왜 ‘반공주의’는 성스러운 언어가 됐을까?”, 프레시안pick, 2018.03.26
“자연과학 ‘전통’에 언어학 접목...‘소쉬르 구조주의’ 빛보다”, 한국경제, 2011.12.02
류종렬(2011).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제 27회, 345-360.
장덕순(2006). 『구비문학개설』. 서울: 일조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한국어 1-1, 1-2, 2-1, 2-2,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