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장포트폴리오 세가지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장포트폴리오의 개념
2.1. 시장포트폴리오의 정의
2.2. 시장포트폴리오의 구성
3. 시장포트폴리오의 특징
3.1. 다양한 자산군으로 구성
3.2. 장기적 수익률 우상향
3.3. 위험자산과 무위험자산의 낮은 상관관계
4. 시장포트폴리오의 대용치
4.1. 주가지수의 개념
4.2. 대표 주가지수: KOSPI
5. 포트폴리오 선정을 위한 지표
5.1. 샤프지수
5.2. 베타계수
5.3. 젠센알파 지수
6. 시장포트폴리오와 위험프리미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개인적으로 투자 자체에 관심이 있습니다. 자본소득이 항상 근로소득보다 많은 소득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금융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투자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 금융시장에는 항상 큰 리스크가 있고 투자 원금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워렌 버핏 같은 투자자들도 자주 실패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좋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지만 그만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시장포트폴리오의 개념
2.1. 시장포트폴리오의 정의
시장포트폴리오의 정의는 "주식투자란 주식회사의 자본구성요소 중 하나인 주식을 매입 또는 매도함으로써 투자수익을 얻는 방법이며, 시장포트폴리오는 개별종목보다는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수익률 변동성이 낮은 자산군들로 구성되어 있는 포트폴리오를 말한다."이다.
시장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위험자산과 무위험자산의 비중 결정, 기대수익률 수준 결정, 장기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 기간 결정, 자산군별 예상 평균수익률 추정, 분산투자효과 극대화를 위한 종목선택전략 수립 등을 고려해야 한다.
2.2. 시장포트폴리오의 구성
시장포트폴리오의 구성은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사는 과정에서 각각의 종목을 얼마나 매입할지가 전체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결정되는 자산 배분 방식이다.
각각의 주식이 전체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해당 주식의 주식수에 주가를 곱한 값(시가총액)을 모든 주식의 시가총액을 합한 값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에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두 기업의 주식만 거래된다고 가정하자. 현대자동차의 발행 주식이 100주이고 주당 가격이 100원이라면 시가총액은 100 x 100 = 10,000원이 된다. 삼성전자의 총 발행주식이 200주이고 주당 가격이 200원이라면 시가총액은 200 x 200 = 4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50,000원이 된다. 이때 현대자동차는 전체 주식시장의 20%, 삼성전자는 80%를 차지하게 된다.
만약 투자자가 5,000원의 여유자금으로 현대자동차 주식 10주와 삼성전자 주식 20주를 매수한다면, 이는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현대자동차 주식이 20%, 삼성전자 주식이 80%의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시장포트폴리오를 추종하는 것이 된다.
즉, 시장포트폴리오의 구성은 각 주식의 시가총액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이...
참고 자료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Frederic S. Mishkin, 성진미디어, 2015.07
금융시장과 금융투자의 이해, 박강우, 생능, 2016.01
금융시장과 금융투자의 이해, 박강우, 생능, 2016.0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Frederic S. Mishkin, 성진미디어, 2015.07
공명재(Kong, Myungjai), 김종권(Kim, Jongkwon). (2012). 주식시장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5(2): 953-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