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 속 화학물질과 친환경 화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주방세제의 종류와 특성
2.1. 주방세제의 종류 구분
2.2. 주방세제와 샴푸의 차이점
3. 환경호르몬의 문제점
3.1.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3.2. 생활 속 환경호르몬 예방 및 관리방안
4. 생활환경 및 직업환경의 유해인자
4.1. 대기오염 유해인자: 미세먼지
4.2. 생활화학제품 유해인자
4.3. 기후변화 유해인자
5. 유해인자 노출 저감을 위한 실천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화학물질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기업들은 친환경제품을 잇달아 생산해내고 있다. 특히, 주방세제의 경우 입속에 들어가는 식기류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종류와 성분을 제대로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주방세제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차이로 인해 다른 세제와의 용도가 구분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이비교는 샴푸를 대상으로 구분하고자 하며, 과제 수행 후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고자 한다..
2. 주방세제의 종류와 특성
2.1. 주방세제의 종류 구분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주방 세제는 채소나 과인을 씻을 수 없는 2종과 3종 주방세제와 채소와 주방세제를 세척 가능한 1종 세제로 구분된다. 2종 세제는 음식기, 조리기구 등의 식품용 기구(자동식기세척기용 및 산업용 식기류 포함)를 세척하는데 사용이 가능하고, 3종 세제는 식품의 제조장치 및 가공장치 등 제조, 가공용 기구 등을 씻는데 사용된다. 1종 세제의 경우 채소와 과일을 세척할 수 있지만 5분 이상 용액에 담궈놓으면 안된다. 세제 사용 후 음용이 가능한 물로 씻어내야 하며, 2종과 3종 세제는 채소와 과일에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식기류를 세척하는 데에만 사용해야 한다."
2.2. 주방세제와 샴푸의 차이점
샴푸와 주방세제의 주성분은 큰 차이가 없다. 둘 다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향료 등 부가적인 성분이 첨가된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옷감 염색 과정에서 개발된 것으로, 물의 표면 장력을 약하게 만들어 오염물질과 식기 사이에 잘 침투되도록 한다. 이는 신체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사용한도에 대한 별도의 기준이 없어, 샴푸에는 일반적으로 10~20% 첨가되지만 주방세제의 경우 0.15%~0.25% 가량 첨가된다는 차이가 있다.
샴푸는 계면활성제+물+양이온 계면활성제+보존제+점증제로 구성되며, 주방세제는 계면활성제+물+보존제+향료+점증제로 구성된다. 차이점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데, 이는 물질을 부드럽게 만들고 정전기 발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양이온 계면활성제 하나의 성분으로 용도가 구분되는 것이다.
샴푸의 경우 제품 표면에 성분이 매우 구체적으로 작성되어 있지만, 주방세제는 전성분 기입에 대한 강제성이 없어 구체적으로 작성되어 있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3. 환경호르몬의 문제점
3.1.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 교란물질이 정상적인 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거나 작용하는 것을 방해해서 사람의 건강과 생식작용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이다. 간단히 말하면 환경 중에 배출된 화학물질이 생물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호르몬 기능 이상이다. 비누, 치약, 샴푸 등의 제품에 사...
참고 자료
이데일리 "세척 전 주방세제 종류 확인하세요"
브런치, 이러한 주방세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오염원이 씻겨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 <샴푸와 주방세제의 유해 물질들>-★★★★ 안전한 계면활성제는 없는가??
매일경제 [생활 과학] 세제쓰면 깨끗해지는건 계면활성제 때문
네이버지식백과/ 우리 몸을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 (대한의사협회 환경건강분과위원회, 홍윤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76138&cid=63166&categoryId=58192
생활 속의 환경호르몬 (에너지단열경제, 정두수 2019)
http://kienews.com/news/newsview.php?ncode=1065585613787205
환경호르몬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박정규 1998)
환경호르몬의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장매화 2007)
우리 아이를 위한 생활 속 환경호르몬 예방관리 매뉴얼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2015)
김지영, 박봉균, “국민 모두가 누리는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 구현”,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환경부, 2022, p12~P.13
김규남, “세계인구 99% 초미세먼지 노출…대기오염 사망자 ‘700만명’”, 한겨례신문, 2023.03.09,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82804.html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미세먼지란?”, “환경유해인자-기후변화” 환경부, 2023,04.30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102/htmlCnView.do
남연희, “생활화학제품 안전성 조사 시 성분 및 사용 과정 발생 유해 물질 발생량 기준 안전
관리”, 메디컬투데이, 2023.02.24,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7186087014
기상학백과, “지구온난화”, 한국기상학회, 2023.04.3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2225&cid=64656&categoryId=6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