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 속 화학물질이 일으켰던 재앙과 친환경 화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토양오염
2.1. 토양오염의 의미
2.2. 토양오염의 특성
2.3. 토양오염의 주요 원인
3. 수질오염
3.1. 수질오염의 의미
3.2. 수질오염의 특성
3.3.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
4. 대기오염
4.1. 대기오염의 의미
4.2. 대기오염의 특성
4.3.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5. 가습기 살균제 사례와 시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5.1. 화학물질의 위험성
5.2. 한국사회의 위험한 구조
5.3. 가습기 살균제 피해 규모
5.4. 기존 사례와 교훈
6. 친환경 소비와 지속가능한 농업
6.1.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6.2. 바람직한 소비생활의 실천 방법
7. 오염 저감을 위한 대책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960년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을 통해 화학물질의 위험성이 전 세계에 알려진 이래 세계적으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화학 사고들이 일어났었다. 그리고 2011년 한국에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고가 발생했다. 2011년 11월 4일 보건복지부가 동물독성실험결과 가습기 살균제와 원인미상 폐질환과의 관련성이 인정된다고 공식 발표한 이후 2017년 9월 현재까지 신고?접수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5,800여 명, 세상을 떠난 사람도 1,200명이 넘는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 중 유해정보가 확인된 물질은 15%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화학물질로 인한 사고는 언제든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습기 살균제 사고는 충격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화학물질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산업현장이 아니라 일상에서 무심히 사용하는 생활용품으로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니 말이다. 충분하지 않더라도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작동되고 있리라는 순진한 믿음이 여지없이 무너져 내리는 공포였다. 인체에 무해하다는 광고문구로 판매되었지만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았던 가습기 살균제였기에 더욱 그러하다. 지금까지 발전해온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단면을 들여다보며,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이와 연관 지어 생각해보기로 한다.
2. 토양오염
2.1. 토양오염의 의미
토양오염이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여러 가지 물질이 토양에 들어감으로써 토양이 환경구성 요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토양 오염은 사람이나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폐기물 및 대기 오염 물질들이 토양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한다. 탄화수소나 농약과 같은 유기 화학물질, 셀레늄, 카드뮴, 니켈, 납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물질들이 토양 오염물로 작용한다"" 세립 점토 입자를 가진 토양은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는 독성 물질을 끌어당기고 흡착, 고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2.2.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오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공업화에 의해 방출되는 중금속 등의 무기성분은 농경지 토양을 오염시키고 농작물의 생육장애를 초래하며, 먹이연쇄계를 거치는 동안 사람과 가축에까지 해를 끼친다. 구리·망간·비소 등과 같은 원소들은 식물의 생육에서 다른 영양소의 결핍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며, 크롬·니켈·아연·몰리브덴·납·셀렌·바나듐·비소·스트론튬 등은 식물의 세포에 직접 해를 끼친다.
농약의 살포로 인한 토양오염도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살포한 농약은 휘산(揮散)에 의해 기권(氣圈)으로 옮겨지고, 용탈에 의해 수권(水圈)으로 이동되며 특히 PCB, 유기염소계 농약, ABS 등과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하지만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이 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다는 점이다. 같은 분해되지 않는 유해 물질과 합성수지류에 오염되면 회복되기 어렵다.
즉, 토양오염의 특성은 간접적이고, 만성적이며, 개선(또는 복원)의 어려움(시간적, 경제적)의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2.3. 토양오염의 주요 원인
토양오염의 주요 요인으로는 농약, 생활하수, 비료, 공장폐수 등이 있다. 토양오염은 대체로 지하자원의 이용으로 암석 중의 무기성분이 지표에 쌓이게 되거나, 농약에 의해 합성유기염소계 화합물 또는 알킬수은화합물 등이 축적되어 발생하며, 공업단지와 도시 매연가스에 의한 산성비, 식품포장 폐기물, 시설축산의 폐기물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토양은 오염물질을 자연저감 시킬 수 있는 유기물 또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토양 내의 오염물질과 토양의 생화학적 과정에 의해 분해되었던 물질들이 식물 안에 농축되거나 대기 또는 지하수계로 이동한다면 생태계와 인간에 독성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지상에 떨어져 토양 오염을 야기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황산염과 질산염이 비와 반응하여 내리는 산성비가 있다. 이들은 이산화황 또는 질산화황물이 태양광선을 받아 대기 중의 다른 기체와 광화학 반응을 할 때 발생한다. 황산과 질산 형태의 황산염은 이런 과정으로 비가 내릴 때 산성비를 만드는 성분이 된다.
3. 수질오염
3.1. 수질오염의 의미
수질오염이란 인간의 활동결과 발생한 폐수가 호수, 강, 해양, 지하수 등에 유입되어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 활동으로 인해 물의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악화되어 정상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이때 악화란, 물의 특정한 용도, 정상적인 값으로부터의 변화, 공중보건과 생태적 영향 등에 따라서 판단된다.
수질 오염은 직접·간접적으로 인간의 건강과 생활 환경의 수준을 저하시켜, 수산업 등의 피해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현대에는 피해가 현저하지 않아도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높은 현상도 포함된다. 수질오염이 생기면 한 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낙동강 페놀유출 사건으로 인해 영남지방 거주민의 수돗물에 악취가 풍기게 되었다. 이처럼 수질오염은 한곳에 국한된 것이 아니...
참고 자료
안종주(2016). 빼앗긴 숨-최악의 환경 비극, 가습기살균제 재앙의 진실. 한울
안종주(2012). 위험증폭사회. 궁리
이규연(2016). 가습기 살균제 리포트. 중앙북스
강은주(2015). 비보호 좌회전-알아서 살아남아야 하는 위험사회 한국의 민낯. 동녘
이필렬 경향신문 칼럼
YTN 2017.10.01. 빼앗긴 숨...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절규
아시아경제 2017.10.07. 생리대까지 이어진 ‘케미포비아’
한국일보 2013.03.27. 가습기 살균제가 사망원인 의심사례 11건 접수
이동근, 김둘선, 『환경오염과 지구』, 2017
류대성, 『소비와 환경에 대하여』, 2018
공용, 2019, 농축산환경학, 농업생산 환경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오염종류
김범철, 2018, 동아닷컴, 퇴비 쓰는 유기농, 수질오염 대책 세워야
반기성, 2016, 케이웨더, 최악의 생존 위협으로 다가오는 대기오염
농축산환경학, 고한종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농업환경학, 양재의 외., 씨·아이·알, 2008
환경부, 토양정화체계 개선방안 연구, July, 2012.
Edward A. Keller (2012),『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Geology』, EARSON, p.466-499.
Simonlong, View of polluted river in the forest. http://www.gettyimages.com/license/85883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