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독성 화학 물질
1.1. 트리클로산
1.1.1. 독성
트리클로산은 항생물질이자 방균제로, 치약 등 수많은 소비자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트리클로산은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서 지방 조직에 쉽게 축적되므로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트리클로산은 갑상선 호르몬을 방해하는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알려져 있다.
트리클로산 자체적으로도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동물실험에서 나타났다. 트리클로산이 동물실험 상 에스트로겐 유사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트리클로산이 혈액과 모유에서도 발견되어 태아와 유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트리클로산은 자외선과 반응하여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생성할 수 있다."
1.1.2. 환경오염과 생물축적
트리클로산과 그 분해산물들이 물과 토양에 축적되고 이를 통해 각종 해산물과 토양에서 자란 농산물, 그리고 섭취하는 인간에게 반복적으로 축적된다. 트리클로산은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서 지방 조직에 쉽게 축적되므로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이렇게 트리클로산과 그 분해산물이 물과 토양, 농수산물 등을 통해 생물 먹이사슬에 순환되면서 인체에 축적되는 것이 주요한 환경오염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트리클로산이 햇볕의 자외선과 반응하여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도 또 다른 환경오염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트리클로산은 환경 내에서 축적되고 다른 유해물질로 전환되어 인간에게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1.2. 다이옥신
1.2.1. 화학적 구조와 특성
다이옥신은 평면구조를 가지며 C-Cl결합이 일반 지방족의 C-Cl 결합보다 짧다. 이러한 짧은 C-Cl 결합은 방향족 고리에 전자 결핍을 만들며, 전자가 풍부한 화합물을 만나게 되면 결합의 가능성이 커진다. 다이옥신의 독성은 염소의 결합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PCDD와 PCDF 두 경우 모두 측면 위치인 2, 3, 7, 는 8의 위치에 염소가 결합되는 경우 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특히 2, 3, 7, 8의 모든 위치에 염소가 결합된 2,3,7,8-tetrachloro dibenzo-p-dioxin (2,3,7,8-TCDD), 1,2,3,7,8-pentachloro dibezo-p-dioxin(1,2,3,7,8-PCDD), 2,3,7,8-tetrachloro dibenzofuran(2,3,7,8-TCDF) 등이 독성이 매우 강하다. 다이옥신은 화학으로 안정하여 자연계에서 한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존재하게 된다.
1.2.2. 위험성
다이옥신은 지방조직에 쌓여 건강을 위협한다. 다이옥신은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지방에는 잘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체내에 들어온 다이옥신은 오줌으로 배출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