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10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진단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진단검사의 이해
1.1. 혈액검사
1.1.1.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
1.1.2.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
1.1.3. 주요 혈액검사 항목
1.2. 소변검사
1.2.1. 소변검사의 종류와 목적
1.2.2.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
1.2.3. 주요 소변검사 항목
1.3. 대변검사
1.3.1. 대변검사의 종류와 목적
1.3.2.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
1.3.3. 대변잠혈검사
1.4. 객담검사
1.4.1. 객담검사의 종류와 목적
1.4.2.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
1.5. 특수진단검사
1.5.1. 흡인 및 생검검사
1.5.2. 전기생리적 검사
1.5.3. 내시경검사
1.5.4. 방사선검사
1.5.5. 영상의학검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진단검사의 이해
1.1. 혈액검사
1.1.1.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전혈구검사인 Complete Blood Count(CBC)는 가장 많이 처방되는 혈액검사 중 하나로, 적혈구(Red Blood Cell, RBC),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혈소판(Platelet)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질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색소(Hemoglobin, Hb)와 헤마토크릿(Hematocrit, Hct) 수치를 측정하여 빈혈 여부를 진단하고, 백혈구 감별계산을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화학검사인 Blood Chemistry는 혈청을 이용하여 전해질, 신장기능검사(BUN, Creatinine), 효소(LDH, CK, AST, ALT 등), 포도당, 호르몬,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대사 및 장기 기능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혈청전해질검사(Serum electrolytes)는 체내 전해질과 산-염기 균형을 평가하고, 혈청삼투질농도검사(Serum osmolality)는 혈액 내 용질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약물농도검사(Drug monitoring)는 약물의 치료적 농도를 확인한다.

당뇨검사로는 간이혈당검사(Blood glucose), 공복혈당검사(Fasting blood sugar test, FBS), 식후혈당검사(Postprandial sugar test, 2PP test), 당화혈색소검사(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test)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당뇨병을 진단하고 혈당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맥혈가스분석검사(Arterial blood gases analysis, ABGA)와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test) 등 다양한 혈액 검사법이 있으며, 각각의 검사 목적과 절차가 상이하다.


1.1.2.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

혈액검사의 검체수집 및 관리방법이다.

혈액 채취 시 특별한 준비사항 없이 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으로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채혈에 소요되는 시간은 1-2분 정도이다. 채혈 시에는 철저한 무균술을 준수해야 하며, 채혈 전에 대상자의 식이 섭취, 운동, 약물 복용 등에 대한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혈액 검체 수집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채혈 전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고 말린 후 알코올 젤로 소독해야 한다. 둘째, 혈액 순환을 위해 손을 충분히 비빈 후 손바닥부터 손가락까지 부드럽게 밀어준다. 셋째, 채혈침으로 손가락 가장자리를 찌른 후 혈액 방울이 적정한 크기가 될 때까지 손가락 끝 쪽으로 부드럽게 밀어주되, 손가락 끝을 세게 쥐어짜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조직액이 새어나와 혈액이 희석되면 검사 결과에 오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혈액 검체 관리 시에는 채혈 후 검체를 즉시 검사실로 보내 분석해야 하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 적정 온도에 유지해야 한다. 또한 혈액 검체의 오염이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검체용기의 뚜껑을 잘 닫아야 한다.


1.1.3. 주요 혈액검사 항목

혈액검사는 가장 많이 시행되는 진단검사 중 하나로, 전혈구검사, 혈청이용검사, 특수검사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된다.

전혈구검사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complete blood count (CBC)이다. CBC에는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red blood cell (RBC) 및 white blood cell (WBC) 등이 포함된다. Hb와 Hct는 빈혈 진단에 유용하며, RBC와 WBC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백혈구 감별검사를 통해 세부 백혈구 아형을 확인할 수 있다.

혈청이용검사에는 전해질, 신장기능, 효소, 당, 호르몬 등이 포함된다. 전해질 검사로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을 확인하고, 신장기능검사(BUN, creatinine)로 신장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효소검사(LDH, CK, AST, ALT 등)로 간 기능을 평가하며, 포도당과 당화혈색소(HbA1C) 검사로 당뇨를 진단한다. 또한 갑상선, 성선, 부신 등 내분비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 호르몬 검사를 실시한다.

특수검사로는 약물농도검사,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혈액배양검사 등이 있다. 약물농도검사는 투여된 약물의 치료적 농도를 확인하고, ABGA는 산-염기 불균형을 평가한다. 혈액배양검사는 균혈증 진단을 위해 수행된다.

이처럼 혈액검사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 검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항목이 선별적으로 시행되며, 결과 해석 시 환자의 임상 증상과 다른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1.2. 소변검사
1.2.1. 소변검사의 종류와 목적

소변검사는 비뇨기계와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는 검사이다. 소변검사에는 일반 소변검사, 청결 중...


참고 자료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202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