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에 약 200~400명의 어린이가 뇌종양 진단을 받고 있으며, 청소년 시기의 뇌종양은 생물학적인 특성의 어린이의 뇌종양에 가깝다.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생기는 외종양은 어른의 뇌종양과는 발생하는 원인이나 뇌종양의 종류 자체가 많이 다르며, 증상도 달라서 어른에 적용하는 진단과 치료방법으로는 접근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뇌종양을 가진 어린이와 청소년들에 대하여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우선해야 하며, 그들의 치료 후 삶에 대하여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학생은 영화 속 대상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뇌종양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뇌종양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질병의 원인과 병태 생리 및 그 간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문제에 중점을 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이 영화 속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게 되었다.
2. 전이성 뇌종양의 정의와 특징
2.1. 전이성 뇌종양의 정의
전이성 뇌종양은 두개강 내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의 하나로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이성 뇌종양은 다른 장기에서 시작된 암세포가 혈행성 전이 또는 림프행성 전이를 통해 뇌로 전이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원발성 뇌종양이 아니라 다른 장기의 암세포가 전이되어 뇌에 발생한 종양이다. 전체 뇌종양의 15% 정도가 전이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이성 뇌종양의 원발성 암으로는 폐암이 가장 흔하여 50% 이상을 차지하며, 이외에 유방암, 위암으로부터 전이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악성 흑색종은 발생빈도는 낮으나 뇌에 친화성이 높아 초기부터 뇌전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전이성 뇌종양의 발생 현황
전이성 뇌종양의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에 약 200~400명의 어린이가 뇌종양 진단을 받고 있으며, 청소년 시기의 뇌종양은 어른의 뇌종양과는 발생하는 원인이나 뇌종양의 종류 자체가 많이 다르다""고 한다. 또한 국립암정보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전체 뇌종양의 약 15%가 전이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이성 뇌종양은 두개강내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의 하나로, 최근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이성 뇌종양의 원발성 암으로는 폐암이 가장 흔하여 50% 이상을 차지하며, 이외에도 유방암, 위암으로부터 전이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악성 흑색종은 발생빈도는 낮지만 뇌에 친화성이 높아 초기부터 뇌전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전이성 뇌종양의 원인
전이성 뇌종양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두개강 내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의 하나로 발생빈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전체 뇌종양의 15% 정도가 전이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이성 뇌종양의 원발성 암으로는 폐암이 가장 흔하여 50% 이상을 차지하며, 남자의 경우 폐, 소화기계, 신장암이 80% 이상을 차지하나 여자의 경우는 유방암, 폐암, 소화기계 및 흑색종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뇌전이를 흔히 일으키는 종양으로는 융모상피암과 흑색종이며(40~90%) 폐암, 유방암, 신장암 등이 그 뒤를 따른다"". 전이성 뇌종양은 대부분 회백질의 경계부, 두개골, 경막에서 잘 발생한다"".
3. 전이성 뇌종양의 증상
3.1. 두개내압 항진증상
전이성 뇌종양 환자의 약 2/3는 증상이 있으며, 그 증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두개내압 항진증상이다.
두개내압 항진증상은 한정된 두개강 내에서 종양이 커지면 정상적인 뇌를 압박하여 두개내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로 인해 두통과 오심, 구토, 유두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두통은 대부분의 전이성 뇌종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이는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뇌실질과 경막의 신전으로 발생하며, 초기에는 간헐적이지만 점차 점증적이고 지속적인 양상으로 악화된다. 또한 기침, 굴곡, 기침 또는 Valsalva 동작 시 악화될 수 있다.
오심과 구토 역시 두개내압 상승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는 주로 기저핵과 시상하부에 위치한 화학수용체 유발대(chemoreceptor trigger zone)가 자극되어 발생한다. 오심과 구토는 잠복기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특히 아침에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유두부종은 시신경유두의 부종으로,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뇌척수액의 정체 때문에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시력 저하와 복시 등의 시력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처럼 전이성 뇌종양으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은 환자에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3.2. 국소증상
전이성 뇌종양은 다양한 신경학적 결손을 일으킬 수 있다. 종양에 의한 압박, 종양 주위의 부종 또는 종양 출혈 등이 원인으로 편마비, 시야결손, 실어증, 국소적인 간질 또는 보행 실조 등의 국소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국소증상은 전이성 뇌종양의 주된 증상 중 하나로,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이성 뇌종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국소증상으로는 편마비, 시야결손, 실어증, 국소적인 간질, 보행 실조 등이 있다"". 편마비는 종양이 운동피질이나 운동신경 경로를 압박할 때 발생하며, 시야결손은 시각중추나 시신경을 압박할 때 나타난다"". 실어증은 언어중추를 침범할 때 발생하고, 국소적인 간질은 특정 뇌 부위에 국한된 간대성 수축을 유발한다"". 또한 보행 실조는 소뇌나 소뇌로 가는 신경로가 압박될 때 발생한다"". 이처럼 전이성 뇌종양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전이성 뇌종양의 진단
4.1. 영상검사
4.1.1. MRI
MRI는 전이성 뇌종양의 진단에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이다. MRI 소견으로는 전이성 뇌종양의 특징인 다발성이면서 현저한 혈관성 부종 및 종괴 효과를 동반하며, 병변은 원형이고 뇌의 주변부(회백질경계부)에 있는 것이 확인된다. 종괴가 크면 중심부에 괴사를 동반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