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 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전문학의 역사적 발전
1.1. 원시시대의 구비문학
1.2. 고대 문학의 특징
1.3. 삼국시대와 한문학의 등장
1.4. 남북국시대와 문학의 변화
1.5. 고려시대의 문학 활동
1.6. 조선전기 한문학의 정착
1.7. 조선후기 민족문학의 발전
2. 고전문학의 현대적 변용
2.1. 고전문학 콘텐츠화의 의의
2.2. 콘텐츠화에 유리한 고전문학 작품의 특성
2.3. 매체별 고전문학 콘텐츠화의 방향
3. 고전문학 콘텐츠화의 과제와 방향
3.1. 원작 존중과 창의성의 균형
3.2. 질적 우수성 확보를 위한 노력
3.3. 대중성과 교육적 가치의 조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전문학의 역사적 발전
1.1. 원시시대의 구비문학
원시시대의 구비문학은 건국신화, 굿, 놀이, 연극 등으로 대표된다. 이 시기의 문학은 우리말로 된 구비문학이었고, 자기중심주의가 지배하는 사고가 특징이었다. 건국신화는 이전의 거인신화, 지모신 신화, 창세신화 등과는 구별되는 모습을 보였다. 국중대회에 대한 기록도 시대 변화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굿놀이의 내용은 크게 바뀌지 않았지만, 주최자가 마을 공동체에서 국가로 바뀌어 국중대회가 생겨났다는 점이 특징이다. 고조선의 단군신화는 최초의 건국신화로 볼 수 있다. 부여의 주몽 신화는 다른 나라에도 널리 퍼져 있어 하나의 큰 계열로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한의 나라들에서는 건국서사시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굿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에 건국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고대에는 연극의 역사가 시작되었는데, 건국신화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행사가 행해졌다. 중세 전기로 넘어가면서 신화시대가 지나가고 전설, 민담 시대로 바뀌었다. 구비문학과 함께 고대 시대의 악(樂)도 주목할 만하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향악을 중심으로 음악 문화를 발전시켰다.
1.2. 고대 문학의 특징
고대 문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건국신화가 나타난 것이 고대문학이 시작된 명백한 증거이다. 이 시기의 문학은 우리말로 된 구비문학이었고 자기중심주의가 이 시대의 이념이었다. 건국신화는 이제까지의 거인신화, 지모신 신화, 창세신화 등의 원시신화와 많이 달랐다. 국중대회에 대한 기록도 시대 변화를 말해준다. 굿놀이와 그 내용적 측면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따로 국중대회라고 이름 붙인 이유에 주목할 만하다.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점은 주최자가 마을 공동체에서 국가로 바뀌어 국중대회가 생겨난 것이다. 국중대회에서는 나라 무당이라 하는 사람이 행사를 주도하면서 건국 시조신의 내력을 서사시로 들려주었을 것이다. 고대의 고조선의 건국신화는 단군신화이며 최초의 건국신화로 볼 수 있다. 고조선은 국중대회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국중대회도 상상해 볼 수는 있다. 고조선 다음으로 등장한 나라는 부여이다. 부여의 건국신화는 주몽 신화인데 이런 부여계통의 신화는 여러 나라에 널리 유포되는 것으로 보아 하나의 큰 계열로서 전승되었던 것 같다. 부여의 국중대회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데, 영고라는 이름의 국중대회를 열어 남녀노소가 여러 날 동안 먹고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마한, 진한, 변한으로 이루어진 삼한과 가야, 탐라 등의 건국신화와 설화가 전해진다. 고대에는 굿, 놀이, 연극 등의 구비문학이 활발했는데, 이 시기 연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고대에는 연극의 황금기였다. 고대에서 중세로 이행하면서 신화시대가 끝나고 전설, 민담시대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등의 짧은 노래가 한역되어 전해지고 있다.
1.3. 삼국시대와 한문학의 등장
삼국시대는 한문학이 등장한 시기이다. 당시 삼국은 자기 나라로 백성을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이 백성을 위하는 왕이라는 점을 내세우곤 했는데, 이를 위한 수단이 금석문 등의 한문학 작품이었다. 이는 중세 문학이 시작된 증거로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외교문서를 전하기 위해 한문으로 쓴 국서 등이 한문학의 자료로 전해진다. 이 시기에 천자와 왕이 주고받은 외교문서는 특히 격조가 높고 수식이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한문 사용이 정착되면서 문과 함께 시도 함께 창작되었을 것이다. 시문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한문학을 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삼국시대의 한시는 주로 국가 대사와 관련된 경우에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현재 전하는 한시는 , 외 한두 가지에 불과하지만, 이른 시기의 한시는 많지 않다.
한문학의 범위를 넓게 보면 삼국시대 한문학에서 불교문학이 다른 분야를 압도할 수 있는 비중을 가졌다. 원효를 위시한 승려의 저술이 최치원에 이르러서야 격식과 규모를 갖추었다고 하며, 불교문학이 국제적인 평가를 누렸다.
삼국 전쟁을 치른 후 백제와 고구려를 아우른 신라가 한문학 발전의 주역이 되었다. 신라의 한문학은 통일 신라 시대 전성기에 이르러 왕실의 붕괴와 육두품 출신의 진출로 저변이 확대되었다. 이들 상당수가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에 급제했기 때문에 중국의 한문학을 빠른 속도로 수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 신라 시대에는 삼국시대와 달리 한시가 보편화 되기 시작했다.
1.4. 남북국시대와 문학의 변화
남북국시대는 676년부터 900년까지 고대와 중세의 이행기로, 동아시아 문학의 판도가 크게 변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한문과 한문학은 안정과 함께 일체감 조성에 결정적 구실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한자를 빌려 민족어 표기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발해는 당시 대조영이 나라를 세우면서 고구려 유민들의 항거가 일어나, 고구려 문학의 전통이 한편으로는 발해로, 또 한편으로는 통일신라로 이어지게 되었다. 신라의 경우 진덕여왕 때부터 당나라와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고, 육두품 귀족들이 당나라 유학을 열망하면서 문학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신라의 문학은 당나라와의 관계가 돈독하였던 성...
참고 자료
조은혜, (2010).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 방안 -『춘향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권유정, (2011).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소설로의 수용 양상 및 의미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Naver Blog; 斷想,「판소리 영화 ‘춘향뎐’」
https://blog.naver.com/mania4768/20016034818(2021.10.29.)
「‘도깨비’김은숙 작가“도깨비-저승사자, 재벌 10명 와도 못 이긴다”」,『뉴스 인사이드』, 2016년 11월 22일
http://www.newsinside.kr/news/articleView.html?idxno=435526(2021.11.15.)
「뮤지컬, 연극으로 끊임없이 부활하는 고전문학의 매력에 대하여」,『문화뉴스』, 2021년 2월 3일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054(2021.11.10.)
김민지, 오병근, (2019). 문화원형 스토리의 콘텐츠 활용 유형 -바리공주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5-56.
최선경, 길태숙, (2015). 고전시가의 문화 콘텐츠 소재로의 활용 사례 분석 -고려가요 <쌍화점>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48, 261-292.
웹툰가이드,「‘착한 아이’를 넘어서서-웹툰 <바리공주>」,
https://www.webtoonguide.com/ko/board/column_ks/10150(2021.11.15.)
김풍기, (2006), 고전문학 작품의 정체성과 그 현대적 변용 -<옥루몽>의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0, 13-35
이수곤, (2018),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상품’으로서의 문화콘텐츠 기획을 효율적으로 도와주기 위한 고전시가의 연구 방향, 한국고전연구학회, 43, 79-104
이희경, (2010),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재해석 -전승본과 김선우의 소설 「바리공주」비교, 영상, 게임, 무대예술로의 현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동서언론, 13, 147-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