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 정량분석

  • 1
  • 2
  • 3
  • 4
  • 5
  • 6
  • 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탄수화물 정량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탄수화물의 정량분석
1.1. 환원당과 비환원당
1.2. 환원당의 정량
1.2.1. DNS법
1.2.2. Bertrand법
1.2.3. Somogyi법
1.3. 시료 조제

2. DNS법을 이용한 탄수화물 정량분석
2.1. DNS법의 원리
2.2. DNS 시약 제조
2.3. 표준 검량선 작성
2.4. 시료 분석
2.5. 결과 분석

3. 탄수화물 정량분석의 고찰
3.1. DNS법과 PSA법의 비교
3.2. 비환원당의 정량 방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탄수화물의 정량분석
1.1. 환원당과 비환원당

환원당은 분자 내에 aldehyde기(-CHO) 또는 ketone기(-CO)를 가지고 있어 다른 물질을 환원시킬 수 있는 당을 말한다. 단당류인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등은 모두 환원당에 속한다. 이들은 알칼리성 용액에서 Fehling 용액을 환원시켜 적색의 산화구리(I) 침전을 생성한다. 반면 비환원당은 환원작용을 하지 않는 당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설탕(자당)과 전분 등이 있다. 이들은 산이나 효소 처리를 통해 가수분해하여 환원당으로 전환시켜야 정량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품 중 환원당의 함량은 당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비환원당의 경우 가수분해 후 환원당으로 전환하여 정량할 수 있다.


1.2. 환원당의 정량
1.2.1. DNS법

DNS법은 환원당에 의해 3,5-디니트로살리실산(3,5-Dinitrosalicylic acid, DNS)이 환원되어 생성된 3-amino-5-nitrosalicylic acid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환원당의 양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환원당은 알칼리성 용액에서 DNS의 두 개의 질소화합물(NO2) 기를 아미노기(NH2)로 환원시켜 적갈색을 띠게 한다. 이때 생성된 3-amino-5-nitrosalicylic acid의 흡광도를 측정하면 시료 중 환원당의 양과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표준 포도당 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중 환원당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DNS법의 장점은 조작이 간단하고 신속하여 많은 시료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의 종류와 반응 조건에 따라 환원력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인 양만을 측정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알칼리성 환경에서 반응시켜 발색을 증가시키며, 생성된 3-amino-5-nitrosalicylic acid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NaOH, Rochelle 염, Phenol 등의 시약을 첨가한다.

DNS법은 식품, 생물학, 생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환원당의 정량에 활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1.2.2. Bertrand법

Bertrand법은 환원당의 정량분석 방법 중 하나로, 알칼리성 Fehling 용액을 환원당과 함께 가열하여 생성되는 아산화동(Cu2O)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Fehling 용액은 염기성 구리 용액으로, 환원당과 반응하여 적색의 아산화동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아산화동의 양은 환원당의 농도에 비례하게 된다.

Bertrand법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Fehling 용액을 제조하는데, 이는 A액과 B액을 섞어 만든다. A액은 황산구리수화물(CuSO4·5H2O) 수용액이고, B액은 주석산 칼륨나트륨(Rochelle 염)과 수산화나트륨을 섞은 용액이다. 이렇게 제조된 Fehling 용액에 환원당 용액을 가하고 가열하면 적색의 아산화동이 침전된다. 이 침전물의 양은 환원당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침전물을 여과하여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면 환원당의 양을 알 수 있다.

또한 Bertrand법에서는 침전된 아산화동을 황산철(Fe2(SO4)3) 용액으로 산화시켜 생성된 이온화 구리의 양을 측정하기도 한다. 이 때 사용되는 KMnO4 용액의 소비량을 측정하여...


참고 자료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11016 당류
Daniel C. Harris, 최신분석화학, 제 5판, 자유아카데미, 2013년, p. 392-39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97010&cid=60262&categoryId=60262 총당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