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신이 성장하면서 경험했던 청소년기 문제(어려움, 갈등)를 간단히 기술하고, 현재 언론 매체(신문, TV, 인터넷 등)에서 보도된 청소년문제 중 자신의 문제와 연관성이 있는 보도내용을 함께 소개하여, 이에 대한 원인과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방향을 논하세요. 게임중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기 문제의 이해
2.1. 청소년기의 특성
2.2. 청소년기 문제의 유형
3. 인터넷 중독과 게임 중독
3.1. 인터넷 중독의 개념 및 문제점
3.2. 게임 중독의 개념 및 문제점
4. 나의 청소년기 경험
4.1.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경험
4.2. 중독 문제의 영향
5. 청소년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관련 보도 자료
5.1. 청소년 인터넷 및 게임 중독 실태
5.2. 보도 자료 분석
6. 청소년 인터넷 및 게임 중독 해결방안
6.1. 가정에서의 개입
6.2. 학교에서의 개입
6.3. 지역사회에서의 개입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IT 강국이다.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물결로 인해 기술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PC를 비롯하여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들은 아주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 혁명이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인터넷은 사람들의 일상 속에 깊게 자리잡혀있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는 좋은 면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중독이라는 측면에서 부정적인 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은 그 심각성이 결코 가볍지 않은 사회 문제이다. 인터넷 사용이 단순히 과도한 정도가 아니라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독은 청소년의 학업과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학교생활의 부적응을 불러온다. 또한 청소년기에 이루어야 할 성취 활동에 의욕을 사라지게 만들고 대인관계를 맺는 경험을 하지 못하도록 함에 있어서 시간을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에 빠졌을 때 단순히 다그치고 막는 것보다는 원인과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처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청소년기 문제의 이해
2.1. 청소년기의 특성
청소년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다. 신체적으로는 2차 성징이 나타나고 내분비계의 변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정신적으로는 자아정체성 형성, 미래에 대한 준비, 가치관 정립 등이 이루어지며, 사회적으로는 가족으로부터 독립하고 새로운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로 인해 청소년기는 불안정성과 갈등이 높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기는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다. 청소년은 더 이상 아동이 아니지만 아직 성인이 되지 않은 과도기적 존재로서, 아동기의 특성과 성인기의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정체성 혼란, 행동상 문제, 성격적 불안정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청소년기는 의존성과 독립성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청소년은 부모나 가족에 대한 의존성과 더불어 자율성 및 독립성을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양가적인 특성으로 인해 가족 및 또래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기는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이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야 하는 청소년들은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우울, 공격성, 불안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다섯째, 청소년기는 개인차가 큰 시기이다. 동일한 연령대라도 각자의 성숙도와 발달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개인차는 청소년기 문제 해결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청소년기는 생애 주기상 과도기적 특성을 지니며, 급격한 변화와 불안정성, 스트레스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2.2. 청소년기 문제의 유형
청소년기 문제의 유형에는 다양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첫째, 정신건강 문제이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시기이지만 이 과정에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둘째, 비행 및 일탈 행동이다. 청소년기는 호기심과 충동성이 강한 시기이므로 음주, 흡연, 폭력, 도벽 등 비행 행동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가정 및 또래관계 문제이다. 부모와의 갈등, 또래 집단 내 왕따와 따돌림 등의 문제로 인해 청소년들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넷째, 학업 및 진로 문제이다.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에 대한 고민은 청소년들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다섯째, 인터넷 및 게임 중독이다.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게임 과의존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청소년기 문제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이며,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3. 인터넷 중독과 게임 중독
3.1. 인터넷 중독의 개념 및 문제점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등 컴퓨터를 사용하...
참고 자료
김준기(2003),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논문.
임병익(2013),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논문.
정영숙(201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경향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브릿지경제, 박종준, “[2019 국감] 10대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심각”,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91001010000268, 2019.10.01.
이수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17
김규종, 「사회복지실천론」, 공동체, 2010
성연 외, 「청소년복지론」, 창지사, 2017
최세영,최미경, 「청소년복지론」, 어가, 2020
성영모 외,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상담시스템의 구성요소 연구」, 청소년학회, 2012
박귀영 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성원, 2020
이현림 외, 「인간발달과 교육」, 교육과학사, 2016
김영화 외, 「현장과 함께하는 사회문제」, 양서원, 2011
박지영, 「함께하는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2020
이영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황성철 외, 「사회복지행정론」, 정민사, 2014
베론원격평생교육원 청소년복지론 교재
네이버 지식백과 청소년문제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C%86%8C%EB%85%84#%ED%8A%B9%EC%A7%95
조선 비즈 게임 중독 초등학생 100명 중 2.5명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06/2021040602015.html
네이버 지식백과 인터넷 게임 중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6448&cid=62841&categoryId=6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