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낭삼출 개요
1.1. 정의
심낭은 심장을 둘러싼 두 개의 막으로 이루어진 주머니이며, 이 주머니 사이에는 정상적으로 약간의 맑은 체액이 존재한다. 이 체액은 심장이 가슴 속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심낭삼출이란 이 정상 체액량을 초과하는 체액이 심장과 심낭 사이에 고여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인 심낭 내부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1.2. 원인
1.2.1. 질병
질병은 심낭삼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심낭삼출은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자가면역질환, 암, 갑상선 호르몬 수치 저하, 신장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자가면역질환으로 인한 심낭삼출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경화증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암 환자에서도 폐암, 유방암, 림프종, 백혈병, 중피종 등의 악성 종양이 심낭막으로 침범하여 삼출액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만성 신부전증 등의 내분비 및 대사 질환도 심낭삼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질병이 심낭삼출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원인 질병의 확인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1.2.2. 감염
감염은 심낭삼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감염성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결핵 등이 있다.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coxsackievirus, hepatitis viruses 등이 심낭삼출을 일으킬 수 있다. 세균성 감염의 경우에는 폐렴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Nisseria, Legionella 등이 심낭삼출을 유발할 수 있다. 진균 감염의 경우, Candida 등의 진균이 심낭삼출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결핵 감염 역시 심낭삼출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 외에도 메복, 기생충, 원충 등의 감염도 심낭삼출을 유발할 수 있다"."
1.2.3. 외상
심낭삼출을 유발할 수 있는 외상은 상해나 사고로 인한 심낭 손상이다. 심장막막은 심장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외부의 충격이나 압박으로 인해 손상을 입으면 심낭 내에 체액이 축적되면서 심낭삼출이 발생할 수 있다. 상해나 사고 외에도 심장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심낭이 손상될 경우에도 삼출액이 생길 수 있다. 손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외상이 지속되면 심낭 내압이 상승하여 심장 압박으로 이어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장눌림증(심장압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상으로 인한 심낭삼출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2.4. 기타
기타 심낭삼출의 원인으로는 신부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임신 등이 있다. 신부전증 환자에서는 요독증으로 인한 심낭 삼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도 점막부종으로 인해 심낭삼출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임신 중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