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날개 비평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상 「날개」의 등장인물과 자아의 분열
1.1. 들어가며
1.2. 등장인물의 세계와 자아
1.2.1. 등장인물과 세계
1.2.2. 등장인물과 자아
1.3. 나오며
2. 구비문학 작품 중 하나의 분석과 비평
2.1. 구비문학이란
2.2. 설화와 선녀와 나무꾼
2.2.1. 줄거리
2.2.2. 작품 분석
2.2.2.1. '하늘' 공간의 상징성
2.2.2.2. 보편적 욕망의 투영
2.2.2.3. 인간 세계의 확장
2.2.2.4. 하늘과 지상의 이동수단
2.3. 선녀와 나무꾼 비평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상 「날개」의 등장인물과 자아의 분열
1.1. 들어가며
이상의 「날개」는 프롤로그와 본 이야기 두 가지의 글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프롤로그에서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작가가 나타내고자 했던 모습을 본 이야기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작가는 등장인물인 '나'의 두 가지 모습을 대조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프롤로그에 나타난 '천재'의 모습과 본 이야기에 등장하는 '무능력한 지식인'의 모습은 서로 대립되며, 이를 통해 '나'의 자아가 분열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이상의 「날개」에서는 등장인물의 세계와 자아에 대한 작가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1.2. 등장인물의 세계와 자아
1.2.1. 등장인물과 세계
소설 「날개」의 등장인물은 '나'와 '나의 아내' 두 사람이다. '나'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으며, 폐쇄된 방안에서 무능력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반면 '나의 아내'는 내객과의 매춘을 통해 돈을 버는 삶을 살아간다.
'나'의 세계는 어린아이처럼 돋보기로 종이를 태워 연기를 내는 등의 행위를 반복하는 '상상계'와 같은 세계이다. 이는 현실의 원칙에 편입하기 이전의 단계로, '나'가 현실 세계로 들어가기를 부정하며 폐쇄된 방에 머무르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 '나의 아내'의 세계는 매춘과 같은 행위로 일하며 돈을 버는 '상징계' 즉 현실 세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 세계가 정상적인 세계로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아내의 '매춘'을 통해 찌그러진 현실 세계를 보여준다.
'나'는 찌그러진 현실 세계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계에 들어가기를 거부한다. 하지만 점차 아내의 세계인 현실 세계를 탐구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아내에게 받은 '돈'을 다시 아내에게 주는 것이나 아내와 같은 방에서 잠을 자는 모습을 통해 '돈'과 '성'에 대한 호기심을 보여준다. 또한 '외출'을 통해 폐쇄된 방안의 세계가 아닌 활동과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깥세계를 드나들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나'는 상상계에 머무르며 상징계를 탐구하는 인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내'는 '나'를 상징계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1.2.2. 등장인물과 자아
소설 속 '나'는 상상계에 머무르며 상징계를 탐구하는 인물로 볼 수 있다. 즉, '나'는 상상계에서의 '나'와 상징계를 탐구하고 있는 '나'로 구분...
참고 자료
김상환 외,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이학사, 2015.
구인환 외, 『문학개론』, 삼영사, 2012
권영민, 『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9.
김의숙 외, 『구비문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사상,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