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령환자들이 요양시설을 기피하는 원인 및 긍정적 마인드로의 변화를 위한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고령화 사회와 노인복지
1.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요성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요
2.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과 목적
2.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사 및 연혁
3.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1.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3.2. 외국 사례와의 비교 분석
3.2.1. 독일의 요양보험
3.2.2. 일본의 요양보험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4.1. 대상자 및 급여체계의 문제
4.2. 배송시스템의 문제
4.3. 재정 문제
5. 개선방안 및 대안
5.1. 제도적 대상 확대
5.2. 급여체계 개선
5.3. 분배체계 개선
5.4. 재정 확보 방안
6. 치매 노인가족의 부양부담과 스트레스
6.1. 치매 노인 부양의 어려움
6.1.1. 치매 노인 부양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
6.1.2.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6.1.3. 경제적인 문제
6.2. 치매 노인 가족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6.2.1. 부양가족의 자기관리 교육
6.2.2. 스트레스 경감 서비스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고령화 사회와 노인복지
고령화 사회와 노인복지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18년에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25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이 늘면서 장기요양병원의 입원 사용 증가와 더불어 진료비 증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가족들이 집에서 노인 환자를 돌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 노인복지 인프라가 갖추어지면서 가족 간병 부담이 줄어들고 사회적 경제 활동 참여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외국 사례와 비교했을 때, 국내 노인복지 서비스와 정책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노인복지는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국가와 사회의 의무이자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는 노인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장기요양예방사업 시행, 장기요양기관 확충 및 지원, 노인장기요양계획 수립 및 시행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1.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현재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18년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4%의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2025년에는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도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이 늘면서 장기요양병원의 입원사용이 늘면서 진료비가 크게 늘고 있다. 과거 집에 노인환자가 있을 때는 대부분 가족들이 집에서 노인환자를 돌보느라 애를 먹었다. 다만 지금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이 노인복지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가족 간병 부담을 덜고 사회적경제 활동을 할 수 있어 다행이다. 이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중요해지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지난 2008년 7월 전국적으로 시행됐으며, 노인성 질환과 치매 등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시기에 걸쳐 간호·간호·치료 등 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사회보험 방식이다. 즉 장기요양보험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기능활동을 상실한 사람을 보호·돌봄·돌봄하기 위한 보험으로 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에 이어 다섯 번째 사회보험으로 불리는 사회보장제도다. 이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돌봄 수요에 대응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요
2.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과 목적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노인성 질병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의존성을 낮추고 노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보험 제도이다. 이 제도의 목적은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병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및 가사활동 지원 등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있다.
2.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사 및 연혁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사 및 연혁은 다음과 같다.
2001년 8월 15일 노인수발보험제도 도입이 제시되었다. 2002년 7월 노인보건 복지종합대책에 공적노인수발체계 구축 및 시행이 제시되었다. 2003년 3월 17일 공적노인수발보장추진기획단이 설치 및 운영되었다. 2004년 11월 노인수발보장제도 도입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제도 운영체제의 검증을 위한 1차 시범사업이 실시되었다. 2005년 7월부터 2006년 6월까지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중 수발을 필요로 하는 적용대상자를 선정하여 2차 시범사업이 실시되었다. 2007년 4월 국회를 통과하였고,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이후 2013년 12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이 실시되었으며, 2014년 7월 장기요양 등급 체계가 3등급에서 5등급 체제로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장기요양보험법'이 개정되어 보다 포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고, 2019년에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운영 및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개정이 이루어졌다. 2020년에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상자 중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요양보험법 부칙'이 개정되었다.
3.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1.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노인성 질환과 치매 등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시기에 걸쳐 간호·간호·치료 등 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사회보험 방식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가입자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와 동일하지만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제외될 수 있다. 보험료는 지급되지만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한 장기요양보험료는 정부가 부담하고 65세 이상 노인, 64세 미만 노인도 신청할 수 있다. 국가와 지자체는 노인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장기요양예방사업 시행, 장기요양기관 확충 및 장기요양기관 설립 지원, 노인장기요양계획 수립·시행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장기요양이 인정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신청서를 제출해 신청자의 심신상태, 장기요양급여의 종류와 내용 등을 조사해야 하며, 6개월 이상 타인의 도움 없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결정한다. 수취인으로서 장기요양급여에는 재택돌봄급여, 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 등이 있으며, 이용자는 재택돌봄급여의 15%, 시설급여의 20%를 부담해야 한다. 의료급여를 받거나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금액 이하인 사람은 부담을 덜게 된다. 심의에는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산하에 장기요양위원회를 둔다.
3.2. 외국 사례와의 비교 분석
3.2.1. 독일의 요양보험
독일의 요양보험은 출산율 저하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 사회...
참고 자료
김근홍. 《한·독 노인복지의 이해》. ㈜학문사, 2001.
브레이크뉴스, 정춘숙 의원 "정부, 노인장기요양보험 수입 감소 대책 마련해야”2017.2.13.
초이스경제, 노인장기요양보험, 허울뿐이라는 비판 면하려면,2017.01.29.
이광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정책과정의 이해 : 한국·일본의 비교연구. 공동체, 2010.
권진희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10년과 그 이후’, 의료정책포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7
정영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현 연구’, 2016
정원기 기자 wonkong96@docdocdoc.co.kr “16%인 노인 인구,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의 43% 차지”, 청년의사, 2022.11.10.
김용하, ‘노인장기요양보험 수요 예측과 전망에 기초한 공/사 간 역할분담 방안’, 보험연구원, 2020
보건복지부, 요양보험제도-정책의 이해, http://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90301&PAGE=1&topTitle=, 2022-12-19
국가볍령정보센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B%85%B8%EC%9D%B8%EC%9E%A5%EA%B8%B0%EC%9A%94%EC%96%91%EB%B3%B4%ED%97%98%EB%B2%95, 법제처, 2023-06-22
박석돈,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수양재, 2020, p.504-518
석혜경·최정숙,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3호,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pp.499~523.
김소영,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과 부양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 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