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삼성물산 건설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재무제표 분석
1.1. 분석대상 선정 및 분석기법
1.2. 비교 대차대조표와 비교 손익계산서
1.3. 공통형 대차대조표와 공통형 손익계산서
1.4. 유동성, 재무위험, 수익성, 성장성 분석
1.5. 결과 및 시사점

2. 삼성물산 기업 분석
2.1. 사업 영역 및 특징
2.2. 5 Forces 분석
2.3. SWOT 분석
2.4. STP 전략
2.5. 4P 마케팅 믹스
2.6. 결론 및 시사점

3. 삼성엔지니어링 기업 분석
3.1. 기업 개황 및 선정 사유
3.2. 사명과 비전
3.3. SWOT 분석
3.4. 사업전략 분석
3.5. 조직설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재무제표 분석
1.1. 분석대상 선정 및 분석기법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재무제표 분석을 위한 분석대상 선정 및 분석기법은 다음과 같다.

본 보고서에서는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재무제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선택 배경은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사회적 이슈에서 기인한다. 특히 도곡동은 우리나라 집값이 가장 비싼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지역에 자리 잡은 삼성물산의 타워펠리스와 동부건설의 동부센트레빌 아파트에 주목하였다. 이들 두 기업을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이용해 시계열적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여 차이점과 문제점, 시사점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개년의 회계감사보고서에 첨부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활용할 것이다. 두 기업 간의 비교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교대차대조표와 비교손익계산서를 작성하고, 공통형 대차대조표와 공통형 손익계산서로 재구성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변동액과 변동률분석, 요소 구성비율 분석, 재무비율분석 등 보편적인 재무제표 분석기법을 적용할 것이다. 또한 횡단면 및 시계열적 유동성 분석, 재무위험 분석, 수익성 분석, 성장성 분석을 통해 두 기업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두 기업 중 어느 회사가 보다 안전하고 수익성이 높은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투자 관점에서의 의견도 제시하고자 한다.


1.2. 비교 대차대조표와 비교 손익계산서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비교 대차대조표와 비교 손익계산서 분석이다.

먼저 삼성물산의 비교 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자산총계는 2005년 101,255억 원에서 2006년 99,915억 원, 2007년 99,814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동자산은 2006년 소폭 증가하였으나 2007년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유형자산은 2006년 감소하였다가 2007년 다시 증가하였다. 이는 삼성물산이 투자자산 위주의 자산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채총계는 2005년 55,082억 원에서 2007년 50,353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자본총계는 2005년 46,173억 원에서 2007년 49,461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삼성물산의 재무구조는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동부건설의 비교 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자산총계는 2005년 14,211억 원에서 2007년 16,084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동자산은 2006년 감소하였다가 2007년 크게 증가하였고, 비유동자산은 2006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하였다. 부채총계는 2005년 9,530억 원에서 2007년 11,856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자본총계는 2005년 4,682억 원에서 2007년 4,228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동부건설의 부채비율이 2005년 67.06%에서 2007년 73.71%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동부건설의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삼성물산의 비교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2006년 소폭 감소하였다가 2007년 2.46% 증가하였다. 매출총이익률은 2006년 8.87%에서 2007년 9.75%로 증가하였고, 영업이익률도 2006년 2.90%에서 2007년 2.90%로 유지되었다. 법인세차감전순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도 2006년 대비 2007년 각각 48.22% 및 158.60% 증가하여 양호한 수익성을 보였다.

반면 동부건설의 비교 손익계산서를 보면, 매출액은 2006년 9.57% 증가하였다가 2007년 14.49%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출총이익률은 2006년 7.79%에서 2007년 7.89%로 소폭 증가에 그쳤고, 영업이익률은 2006년 0.60%에서 2007년 1.21%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법인세차감전순이익률은 2006년 1.83%에서 2007년 -2.49%로 적자전환되었고 당기순이익률도 2006년 1.13%에서 2007년 -2.03%로 적자를 기록하여 수익성이 악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삼성물산은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우수한 수익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동부건설은 재무구조 악화와 수익성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공통형 대차대조표와 공통형 손익계산서

삼성물산과 동부건설의 공통형 대차대조표와 공통형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다.

삼성물산의 공통형 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2005년 유동자산이 34.42%, 비유동자산이 65.58%를 차지했다. 이후 2006년에는 유동자산이 35.59%, 비유동자산이 64.41%를 차지했고, 2007년에는 유동자산이 35.41%, 비유동자산이 64.59%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삼성물산의 자산구조는 2005년 이후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채 및 자본 구조에서는 2005년 부채총계가 54.40%, 자본총계가 45.60%를 차지했다. 이후 2006년 부채총계가 52.60%, 자본총계가 47.40%로 개선되었고, 2007년에는 부채총계가 50.44%, 자본총계가 49.55%로 더 개선되었다. 삼성물산은 2005년 이후 부채비율을 지속적으로 낮추면서 재무구조를 더욱 건전하게 관리해 온 것으로 보인다.

삼성물산의 공통형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2005년 매출원가가 90.40%, 매출총이익이 9.60%를 차지했다. 이후 2006년 매출원가가 91.23%, 매출총이익이 8.87%로 다소 하락했지만, 2007년에는 매출원가가 90.25%, 매출총이익이 9.75%로 개선되었다.

영업이익률의 경우 2005년 2.71%, 2006년 2.90%, 2007년 2.90%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당기순이익률은 2005년 0.85%, 200...


참고 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사이트 (dart.fss.or.kr)

2020년 사업보고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http://dart.fss.or.kr
삼성엔지니어링 홈페이지, http://www.samsungengineering.co.kr
투자자 참고자료, 삼성엔지니어링 IR 자료, 2021
2019년 삼성엔지니어링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삼성엔지니어링 홈페이지 등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