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여성 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1.1. 외생식기
1.1.1. 불두덩(치구)
불두덩(mons pubis)은 일명 치구로 불리며, 외부생식기 중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다. 사춘기 이후에는 구불구불한 치모(pubic hair)가 생겨 이곳을 덮게 되며, 지방조직이 많이 발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아래쪽에는 기름샘(sebaceous gland)과 땀샘(sweat gland)이 있어 항상 약간 축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지방조직은 상처나 파열로부터 불두덩을 보호하기 위해 풍부한 혈액 공급을 받고 있다."
1.1.2. 대음순
대음순(labia majora)은 불두덩에서 회음부까지 양측 앞뒤로 길게 뻗어 있는 두꺼운 주름이다. 대음순은 지방조직이 많고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남성의 음낭에 해당되는 기관이다. 이들은 소음순, 요도, 질구 등의 외부생식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춘기 이후 외부생식기를 덮는 구불구불한 치모가 발달하는데, 이는 상처나 파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풍부한 혈액공급을 받는다. 따라서 대음순은 외부생식기를 감싸고 보호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1.1.3. 소음순
소음순(labia minora)은 대음순 안쪽에 위치하여 지방조직과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모낭이 없고 상단부에는 음핵 포피로 둘러싸여 있다. 소음순은 성적 흥분 시 붉어지는 기관으로, 대음순에 비해 얇고 가늘며 부드럽다. 소음순의 주된 기능은 소변과 월경혈 배출, 성교 시 자극 제공, 요도와 질구 보호 등이다. 소음순은 여성 생식기의 일부를 구성하며 개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크기, 모양, 색상 등에서 다양한 변이가 존재하며 대부분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소음순의 비대나 비대칭, 과다 발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미용적, 기능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소음순 성형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1.1.4. 음핵
음핵(clitoris)은 작은 발기성 조직(erectile tissue)으로 자극에 매우 민감한 기관이다. 남성의 음경에 해당하는 구조로, 치골결합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기는 2~3cm 정도이다. 음핵은 혈관 분포가 많고 혈액 공급이 잘되어 있어, 성적 흥분 시 발기하게 된다. 특히 음핵은 대음순에 의해 대부분 가려져 있어 직접적인 자극을 받기 어려운데, 이는 성적 흥분 시 음핵의 수축을 억제하여 직접적인 자극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1.1.5. 전정
전정(vestibule)은 좌우 소음순 사이의 함몰된 부위로, 상단에는 음핵, 하단에는 음순후연합부가 위치하고 있다. 즉, 전정은 음핵과 질구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전정에는 질구, 요도구, 스킨샘, 바르톨린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전정은 소음순에 의해 둘러싸인 부위로, 외생식기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전정은 흥분 시 붉어지며, 외부에서 직접적인 자극을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여성의 성적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전정은 자극에 매우 민감하여, 여성이 성적 흥분을 느낄 때 전정 부위가 충혈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전정은 외생식기 중에서도 가장 중추적인 부위라고 할 수 있다."
1.1.6. 음핵포피
음핵포피(prepuce of clitoris)는 음핵 전방에서 음핵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주름을 말한다. 이 피부주름은 음핵을 덮고 있으며, 음핵 아래에서는 음핵소대를 형성한다. 음핵포피는 음핵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성적 흥분 시 확장되어 음핵을 노출시키게 된다. 특히 카테터 삽입 시 음핵포피 부위가 방해가 되어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음핵포피는 음핵을 둘러싼 피부주름으로, 음핵의 안전성과 민감성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다.
1.1.7. 질구
질구(vaginal orifice)는 요도구 밑에 있는 약간 큰 구멍으로, 여성 생식기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질구의 입구에는 처녀막이 위치하고 있다. 질구의 길이는 약 4~5cm 정도로, 남성의 요도에 비해 매우 짧은 편이다. 이로 인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요로감염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질구는 질과 연결되어 있으며, 성교와 출산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교 시 질구를 통해 성기가 삽입되고, 출산 시에는 태아가 질구를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월경혈이 질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질구 주변에는 여러 부속기관이 존재한다. 질구 상방에는 음핵이, 하방에는 요도구와 바르톨린샘, 스킨샘 등이 위치하고 있다. 이들 부속기관은 질구의 기능 수행에 도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