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적 의사결정
1.1. 간호윤리
간호윤리는 간호현장에서 따라야 할 윤리규칙이나 함양해야 할 품성을 의미하며, 시대와 환경, 간호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간호사들이 일상적으로 지배하고 지도하는 "윤리규범과 윤리원칙"은 간호현장에서 실제 따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임상현장에서 환자를 중심축으로 하여 여러 가지 관계를 맺으며 간호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에 책임을 지고 있는 의사와 관계를 맺으며, 동료 간호사와 공동으로 환자를 돌보고, 다른 의료종사자들과도 관계를 맺게 된다.
간호윤리에서 강조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는 간호대상자를 간호의 전 과정에 참여시키며, 충분한 정보 제공과 설명으로 간호 대상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다. 이는 "알 권리 및 자기결정권 존중"에 해당한다.
둘째, 간호사는 간호의 전 관정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개인의 안전을 우선하여야 하며,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안전한 간호 제공"에 해당한다.
셋째,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대상자 보호"에 해당한다.
넷째, 간호사는 선의를 가지고 성실하게 간호대상자를 간호하여야 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간호대상자에게 최선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이는 "윤리적 간호 제공"에 해당한다.
다섯째, 간호사는 인권을 존중하고, 개별적 요구를 존중하며,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윤리는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관계를 맺으며 실천해야 할 윤리규범과 원칙을 의미하며, 이는 시대와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윤리이론
윤리이론은 가장 이론적이며 보편적인 수준의 윤리적 판단, 사고의 모체가 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윤리원칙과 규범의 근간을 이룬다. 대표적인 윤리이론에는 덕 윤리, 정의윤리, 통치윤리, 권리윤리, 의무윤리 등이 있다.
덕 윤리(virtue ethics)는 행동, 감정, 욕망, 태도 등을 양극단에서 적절한 조화로운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습득하는 윤리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용기, 지혜, 성실, 공정성 등과 같은 자질을 가진 사람이 도덕적인 행위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덕 윤리 관점에서는 간호사의 돌봄에 대한 윤리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정의윤리(justice ethics)는 모든 인간을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원칙에 기반한다. 이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배분 등에 있어 정의로운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통치윤리(rule ethics)는 개인의 자유가 이기적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규칙에 의해 사회가 통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권리윤리(right ethics)는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하고 이성적이며, 공동선을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며, 개인의 자유와 기본적 권리를 정부보다 우선적으로 인정한다.
의무윤리(duty ethics)는 칸트의 주장으로, 감정이나 욕망이 아닌 개인의 의무 또는 보편적 선을 행하고자 하는 준칙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본다. 감정적 동기보다는 합리적 의무가 도덕적 행위의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윤리이론은 각각의 관점에서 윤리적 행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간호현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윤리규범과 지침을 수립하고 있다.
1.3. 윤리원칙
윤리원칙은 의사들이 의료윤리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대표적인 윤리원칙에는 자율성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 있다.
첫째, 자율성의 원칙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과 의사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 스스로 자신의 치료에 대한 결정권을 가져야 하며, 강요나 속박 없이 자유로운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악행금지의 원칙은 고의적으로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의사는 환자에게 해를 끼치거나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셋째, 선행의 원칙은 환자에게 이익이 되는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는 환자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정의의 원칙은 모든 환자를 공정하고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는 환자의 성별, 나이, 인종, 경제적 지위 등에 따른 편견 없이 공정한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원칙은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 의사는 이 원칙들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환자를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
1.4. 덕 윤리
덕 윤리(virtue ethics)는 행동의 동기와 성품에 초점을 맞추는 윤리 이론이다. 덕 윤리에 따르면 개인의 도덕성은 그 사람의 성품과 품성에 달려있으며, 이상적인 도덕적 행위란 그러한 성품을 발휘하는 것이다. 덕 윤리는 의무론이나 결과주의와 달리 "좋은 삶"을 살아가는 것에 집중한다. 즉,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무) 또는 무엇이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가(결과주의)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아리스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