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 가족치료모델을 인용하여 나의 부모님이 확대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1.2.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이 미친 영향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2.1. 자아 분화
2.2. 삼각관계
2.3. 핵가족 정서 세계
2.4. 가족투사 과정
2.5. 다세대 전수과정
3.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이 나에게 미친 영향
3.1. 조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부모의 경험
3.2. 외조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부모의 경험
3.3. 긍정적 영향
3.4. 부정적 영향
4. 보웬의 모델을 통한 이해와 적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가족의 정서적 기능과 관계 패턴이 세대를 통해 전달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모델은 가족 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정서적 연결을 이해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보웬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자의 역할과 기대는 가족의 역사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모는 자신이 경험한 확대가족의 영향을 자녀에게 투사하며, 이는 가족 내 정서적 역동성과 관계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1.2.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이 미친 영향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이 나에게 미친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아버지는 어린 시절 조부모와의 관계에서 강한 책임감과 성취에 대한 압박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아버지에게 성취 지향적인 가치관을 심어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나에게도 전달되었다. 아버지는 내가 학업과 커리어에서 높은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도록 끊임없이 격려했고, 이는 때로는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한편, 어머니는 외조부모와의 관계에서 감정 표현에 대한 억제를 경험했다. 외조부모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상황에 순응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것을 중요시했다. 이러한 가치관은 어머니에게 정서적 억제와 순응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자리잡았고, 이는 나에게도 영향을 미쳐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보다는 타인을 먼저 배려하려는 경향이 강해졌고, 이는 때때로 내 자신의 욕구를 뒤로 미루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부모님의 확대가족에서의 경험은 나의 정서적 발달과 행동 패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높은 성취 기준과 어머니의 타인 배려의 가치는 긍정적인 면이 있었지만, 때로는 심리적 부담과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내 행동과 사고 패턴이 세대 간에 걸쳐 전이된 가족의 정서적 유산의 결과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2.1. 자아 분화
자아 분화는 보웬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정신 내적 수준과 대인관계적 수준의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정신 내적 분화는 사고로부터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미분화된 사람들은 감정으로부터 사고를 구별하기가 어렵고, 객관적인 사고를 거의 할 수 없다. 이들은 감정에 압도되어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대인관계적 분화는 자신과 타인 간 분화를 의미한다....
참고 자료
이영하. (2013).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과 Life-script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김영숙. (201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을 적용한 가족관계 회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김호준. (2022).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으로 본 룻의 가족공동체 회복에 관한 목회상담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2009.08.15., Blue Fish
최규련, 가족상담 및 치료, 2019.02.20., 공동체
박정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15.12.05., 창지사
부모 애착불안을 경험하는 신혼부부에 대한 보웬의 다세대치료 적용사례 연구/안희상/단국대학교/2012
분노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중심으로/최천혁/서울대학교/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