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임신 후반기 임부는 출산과 어머니 역할을 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작용을 한다. 분만은 임신의 끝이라고 하지만 신생아는 자궁 밖 삶의 시작이 된다. 분만은 여성과 가족에게는 중요한 시기이며 기대되고 흥분되는 염려의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여성과 가족은 일생에서 가장 심오한 변화 하나를 경험하고 극적인 순간을 맞이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분만의 기본적인 요소와 분만과정에서 임부와 태아가 분만에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며 임산부와 가족에게 적당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산모와 가족들이 분만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통증 완화 및 지지적 간호를 수행해야 한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분만의 기본적인 요소와 분만과정에서 임부와 태아가 분만에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 가를 이해하며 임산부와 가족에게 적당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산모와 가족들이 분만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통증 완화 및 지지적 간호를 수행하고, 산모의 즉각적인 회복을 도모하며 모아유대, 모유수유 권장과 신생아 출생으로 인한 새로운 가족의 형성을 축하하고 수용하도록 돕는 것이다.
2. 제왕절개 분만
2.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이는 로마시대의 케사르(Cesar)가 산모의 배를 가른 후 꺼내졌다는 설에서 유래된 용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은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미국의 경우 2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제왕절개 분만이 태아나 산부의 안녕을 위협받을 때, 질식분만이 산부나 태아에게 위험할 때 신속한 분만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출혈, 마취 부작용, 장기 상해 등의 외과적 합병증과 더불어 부모 역할 적응의 부담, 모성사망률과 이환율 증가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은 위험과 장점이 공존하는 분만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2. 제왕절개 분만의 유형
제왕절개 분만의 유형은 크게 자궁하부절개(low segment)와 고전적 절개형태(classic type) 등 2가지 유형이 있다"
자궁하부 제왕절개수술은 치몽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자궁의 하질에 수평적 절개선이 만들어진다. 절개 부위가 쉽게 치유되며, 향후 임신 시 자궁 반흔이 파열될 위험이 적고 수술 후 복부 팽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고전적 제왕 절개술은 복부조직과 자궁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는 방법으로, 시간이 덜 걸리나 수술 후 유착, 누공 형성 등의 합병증이 많아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경부 제왕절개술, 복막 외 제왕절개수술 등 다양한 유형의 제왕절개 수술법이 있다"
2.3.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 및 금기증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은 아두 골반 불균형, 태위이상, 자궁기능 부전, 연조직 난산, 임신 합병증, 유도분만의 실패, 생식기의 성병 감염, 모성 합병증 등이 있다. 제왕절개 분만의 금기증은 태아사망, 미숙아 등이 있다.
아두 골반 불균형은 가장 흔한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이다. 태아의 크기와 골반의 크기가 맞지 않아 질식 분만이 불가능한 경우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하다. 태위이상에는 횡위, 둔위, 전액위, 후방 안면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태위이상의 경우 질식 분만이 어려워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한다.
자궁기능 부전은 비정상적인 자궁수축, 경부 개대 불능, 분만지연 등의 경우를 말한다. 이때 자궁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아 질식 분만이 어려워지므로 제왕절개 분만을 실시하게 된다.
연조직 난산은 이전 수술이나 상해로 인해 생식기 조직에 이상이 생겨 경부 강직, 질 협착 등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질식 분만이 어려워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하다.
임신 합병증에는 임신성 고혈압 등이 있다. 이러한 임신 합병증이 있는 경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하게 된다.
유도분만의 실패는 자궁경부가 옥시토신에 반응하지 않아 분만이 지연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에도 제왕절개 분만을 실시한다.
생식기의 성병 감염, 특히 산전에 발견된 질내 포진 감염의 경우 신생아의 눈, 피부, 제대, 상기도 등의 감염 위험이 높아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하다.
모성 합병증에는 심질환, 고혈압, Rh 부적합증, 지능 이상, 이전 질식수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모성 합병증이 있는 경우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 분만을 고려하게 된다.
한편, 제왕절개 분만의 금기증에는 태아사망과 미숙아가 포함된다. 태아가 이미 사망한 경우나 임신 기간이 너무 짧아 미숙아인 경우에는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에는 다양한 적응증과 금기증이 있으며,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2.4. 제왕절개 분만의 장단점
제왕절개 분만의 장점은 먼저 태아나 산모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와 이러한 위협이 분만지연으로 인해 고조될 때, 질식분만이 산모나 태아에게 위험이 있을 때 태아를 신속하게 만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출산의 고통이 없고 출산시간이 짧아 진통 중 아기가 위험에 처 했을 때 아기를 꺼낼 수 있으며, 자연 분만에 비해 요실금이 덜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