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강 해부학
1.1. 구강
구강은 상·하악의 alveolar process(치조돌기)와 teeth(치아)에 의해 2부위로 구분된다. 구강은 크게 구강전정(oral vestibule)과 구강고유강(oral cavity proper)으로 나뉜다. 구강전정은 상·하악 치아와 위·아래입술 및 뺨 사이의 좁은 공간이며, 구강고유강은 위로는 입천장, 밑으로는 혀 및 혀밑부위, 후방은 목구멍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구강전정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은 발음, 저작, 연하 등의 구강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구강전정의 공간은 의치 장착 시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구강전정의 좁은 공간은 의치가 잘 맞도록 하고, 의치 주변의 근육 활동에 의해 의치의 유지를 도와준다.
한편 구강고유강은 발음, 저작, 연하 등 구강 기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입천장, 혀, 연구개 등 구강고유강의 구조물들은 발음과 연하 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구강저와 치조제는 의치 장착 시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의치 장착 시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의치 공간
의치 공간은 위, 아래 치조골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상악과 하악의 치조돌기 및 치아에 의해 구분된다. 이 좁은 공간 안에 의치가 위치하게 되는데, 저작이나 연하운동 시 주위 근육의 작용에 따라 의치 탈락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협측부와 혀 사이의 이 공간은 의치가 차지하고 있으며, 주변 근육의 작용에 따라 의치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연하운동 시 혀바깥근육인 mylohyoid m.과 hyoglossus m.이 의치 공간에 영향을 주어 의치 전위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저작 시 교근과 측두근이 압박하는 안면근육들이 의치 공간에 작용하여 의치 탈락을 야기할 수 있다.
의치공간과 관련된 다른 주요 근육으로는 genioglossus m., superior longitudinal m. of tongue, lingual transverse m., lingual vertical m. 등이 있다. 이들 근육의 수축 작용에 의해 혀의 모양이 변화되면서 상하악 의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총의치 제작 시에는 이와 같은 의치공간 주변 근육의 해부학적 위치와 작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의치상연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의치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의치 탈락
의치 탈락은 저작이나 연하운동 시 주위 근육의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구강 내 의치가 차지하는 공간인 의치 공간(denture space)은 주위 근육의 작용에 따라 의치를 탈락시킬 수 있는데, 이는 근육의 부착부위, 근육이 작용했을 때 작용범위, 근육이 작용했을 때 작용 방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 시 의치 공간 가까이에 부착한 안면근이 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저작근이 안면근을 압박하고 이어서 압박된 안면근이 의치 공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orbicularis oris m., buccinator m. 및 sup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이 서로 연결되어 릴레이식의 작용으로 의치 공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연하운동 시에는 혀 바깥기원 근육인 mylohyoid m., hyoglossus m.이 의치 공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의치 제작 시 총의치에 영향을 주는 근육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이를 고려하여 의치상연의 형태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4. 총의치에 영향을 주는 근육
1.4.1. 혀의 근육
혀의 근육은 크게 외인성 근육(extrinsic muscle)과 내인성 근육(intrinsic muscle)으로 구분된다.
외인성 근육은 기시부가 혀 외부에 있고 정지부가 혀에 부착되어 혀를 움직이는 근육이다. 이에 속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악舌골근(genioglossus muscle)은 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근육으로 혀를 앞으로 굽히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상악 총의치가 올라올 때 하악 전치부위의 설측 경계(lingual flange)를 압박한다.
둘째, 설골근(hyoglossus muscle)은 음식물 연하 시 하악 구치부위의 설측 경계(lingual flange)에 영향을 미쳐 의치가 전위되게 한다.
셋째, 봉갑설근(chondroglossus muscle)은 혀를 내리고 뒤로 당기는 기능을 한다.
넷째, 경설근(styloglossus muscle)은 혀를 뒤로 당기고 양쪽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내인성 근육은 혀 내부에서 기시하여 혀 내부에서 정지하는 근육으로 혀의 모양 변화에 관여한다. 이에 속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혀의 상부 종주근(superior longitudinal muscle of tongue)은 혀를 짧게 한다.
둘째, 혀의 하부 종주근(inferior longitudinal muscle)도 혀를 짧게 한다.
셋째, 혀의 횡주근(lingual transverse muscle)은 혀를 좁게 하면서 동시에 길게 한다.
넷째, 혀의 수직근(lingual vertical muscle)은 혀를 평탄하게 한다.
이러한 혀의 근육들은 총의치 제작 시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숙지하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1.4.2. 연구개의 근육
연구개의 근육은 soft palate를 움직이며 연하 및 연하운동에 관여한다. 연구개 근육에는 levator veli 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