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의 목적과 준비
1.1. 실험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다.""
1.2. 실험 준비물
실험 준비물은 Function generator 1대, DC Power Supply(Regulated DC Power Supply(Max 20V 이상)) 1대, Digital Oscillo(오실로스코프, Probe 2대 포함) 1대, Digital Multimeter(DMM, 220V 교류전원 사용) 1대, 40cm 연결선: 빨간 선 4개, 검은 선 4개(한쪽은 계측기에 꼽을 수 있는 잭, 다른 쪽은 집게), Breadboard(브레드보드, 빵판) 1개, 점퍼와이어 키트 1개 등이다.""
2. 고정저항 측정
2.1. DMM을 이용한 저항 측정
DMM을 이용한 저항 측정은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주어진 상황에서는 DMM을 사용하여 고정저항(10kΩ, 1/4W, 5%, 30개)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이 목표이다.
DMM을 이용한 저항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DMM의 측정단위를 저항(Ω)으로 맞춘다. 그 다음 하나의 도입선은 DMM의 "V Ω mA" 단자에, 다른 하나의 도입선은 "LO" 또는 "COM" 단자에 연결한다. 이후 측정하고자 하는 저항의 양단에 도입선을 연결하고, 측정범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며 저항값을 확인한다. 이때 저항이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면 다른 경로로도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저항을 회로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렇게 30개의 고정저항을 측정한 결과, 평균값은 9.844kΩ이며 표준편차는 0.030kΩ으로 나타났다. 오차의 예상 분포도를 분석해보면, 오차가 ±0.4kΩ 범위 내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저항의 허용오차가 5%이므로 거의 대부분의 저항이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DMM을 이용한 저항 측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2.2. 저항 측정 결과 분석
주어진 상황에서는 DMM을 이용해 저항(10kΩ, 1/4W, 5%, 30개)을 측정하고 있다. 먼저 30개의 저항을 개별적으로 측정한 결과, 평균값은 9.844kΩ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칭 저항값 10kΩ에서 약 1.56% 정도의 오차가 발생한 수준이다. 정규분포를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오차 분포를 도식화하면 정규분포 형태를 띠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