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SWOT 분석
1.1. 강동구 보건소 SWOT 분석
강동구 보건소의 SWOT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동구 보건소의 강점(Strength)은 첫째, 적절한 식수 공급과 쓰레기 처리 등 청결한 생활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다양한 건강 분야의 수요에 맞는 4개의 건강증진과와 4개의 보건의료과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의료사업 수행이 가능하다. 셋째, 2015년~2017년 조직 개편을 통해 의료사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넷째, 강동구 주민들의 보건의료 접근성이 용이하며, 보건지소 설립으로 보건시설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강동구 주민의 걷기운동 참여율이 서울시 전체에서 가장 높은 것도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약점(Weakness)으로는 첫째, 진료 의사와 약사 등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둘째, 새로운 사업을 확대함에 따라 인력 및 예산 부족이 있다. 셋째, 노인인구와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넷째, 재건축과 신규 단지 증가로 교육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다섯째, 걷기운동 참여율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 여섯째, 외부 의료기관과의 연계사업이 미비하다. 마지막으로 순환보직으로 인해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이 낮아지고 있다.
기회(Opportunity)로는 첫째, 구민들의 보건의료(보건소)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둘째, 주변 행정구역의 의료보건 및 문화 인프라가 발달하고 있다. 셋째, 구민의 건강 수준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넷째, 인구 증가로 세입예산이 증가하고 있다. 다섯째, 구민들의 보건의료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높다. 여섯째,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협력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전년대비 사고 및 재난으로 인한 사망이 감소하고 있다.
위협(Threat)으로는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보건의료시설 이용 제한이다. 둘째, 해외유입 감염병(코로나 포함)에 대한 구민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 격차가 서울 25개구 중 가장 크다. 넷째, 자살사망률과 활동제약 비율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서울시 평균에 비해 비만 인구 증가율이 높다. 여섯째, 대기오염, 미세먼지 등 환경성 질환 감소가 더디다. 일곱째, 독거노인 세대수가 증가하고 있다. 여덟째, 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의료비 증가가 문제이다. 아홉째, 도시환경 문제(대기오염, 미세먼지) 해결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료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의 인지도와 인식이 부족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강동구 보건소는 청결한 생활환경, 효율적인 조직과 의료사업 수행 능력, 주민의 높은 만족도와 건강관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