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교재와 교육과정의 관계
교재는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구현체이고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교재는 교육 목표를 구현하고자 교육 과정 내용을 문서 등의 매체로 작성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데 쓰이는 교육적 도구이다. 즉, 교재는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수단이자 도구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이 교재에 반영되어 학습자에게 전달되므로, 교재와 교육과정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1.2. 세종 한국어 시리즈의 개발 배경
세종 한국어 시리즈의 개발 배경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이들 기관은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을 위해 2013년에 처음 출판된 세종 한국어 시리즈를 개발하였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표준화와 함께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통일된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 간의 정보 공유와 의견 교환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2. 세종 한국어 1 교재 분석
2.1. 외적 특징
2.1.1.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 개발
세종 한국어 시리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교재이다.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이 시리즈를 만들었다.
세종 한국어 시리즈는 2013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되고 있다. 이 시리즈는 세종학당의 대표적인 통합 교육 목적의 교재로, 세종학당 수업에 직접 참가하기 어려운 학습자들도 온라인 강의를 통해 교재와 연계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세종 한국어 시리즈는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 한국어 교육의 표준화와 체계화를 위해 협력하여 개발한 교재라고 할 수 있다.
2.1.2. 온라인 자료와의 연계성
세종 한국어 시리즈는 온라인 누리-세종학당이나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비디오 강의를 접할 수 있어 세종학당 수업에 직접 참가하기 힘든 학습자들도 온라인 강의를 통해 단순히 교재가 아닌 시각적, 음성적 설명과 함께 스스로 공부할 수 있고 한국어 교사는 세종 한국어를 가르치는데 필요한 보조 자료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2.2. 내적 특징
2.2.1. 단원 구성
세종 한국어 1 교재의 단원 구성은 한국어와 한글 자모, 기본 표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3개의 예비단원과 기초 한국어에 다루는 12개의 단원, 그리고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4개의 문화 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1단원에서 10단원까지의 단원 구성은 학습 목표 제시, 대화 1, 어휘와 표현, 문법, 연습, 대화 2, 듣고 말하기, 읽고 쓰기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0단원과 11단원은 학습 목표 제시, 어휘와 표현, 문법 연습, 듣기 말하기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