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초급 단원 구성 예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교육의 중요성과 변화
1.2. 교재 개발의 필요성
2.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개발
2.1. 한국어 교재의 정의와 기능
2.2. 한국어 교재 개발의 고려 사항
3. 세종한국어1(2022년 개정판) 교재 분석
3.1. 교재의 단원 구성
3.2. 교재의 장단점
4.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초급2)」 교재 분석
4.1. 교재의 단원 구성
4.2. 교재의 장단점
5. 교재 비교 및 발전방향
5.1. 두 교재의 비교 분석
5.2. 한국어 교재의 발전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교육의 중요성과 변화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며 국가 간, 개인 간 단절을 심화시키는 와중에도 국내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현재 대학 학위 과정을 수행 중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2019년 100,215명에서 2021년 113,003명(한국교육개발원 통계)으로 매년 증가 중이며, 국외에서도 대표적인 한국어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의 수강생이 2019년 72,713명에서 2021년 81,476명으로 증가하는 등(세종학당재단 발표)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학습자의 증가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기관의 증설로 한국어교육이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이제는 질적인 발전도 이뤄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국외 학습자의 경우 한국 문화 콘텐츠에서 유입된 경우가 많아 그 관심을 지속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유입된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한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과거와는 달리 국외 학습자의 학습 환경과 목적, 그리고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한국어교육 학습 역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1.2. 교재 개발의 필요성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며 국가 간, 개인 간 단절을 심화시키는 와중에도 국내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현재 대학 학위 과정을 수행 중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2019년 100,215명에서 2021년 113,003명(한국교육개발원 통계)으로 매년 증가 중이며, 국외에서도 대표적인 한국어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의 수강생이 2019년 72,713명에서 2021년 81,476명으로 증가하는 등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학습자의 증가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기관의 증설로 한국어교육이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이제는 질적인 발전도 이뤄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국외 학습자의 경우 한국 문화 콘텐츠에서 유입된 경우가 많아 그 관심을 지속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유입된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한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과거와는 달리 국외 학습자의 학습 환경과 목적, 그리고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한국어교육 학습 역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맞춤형 한국어 교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적으로 모든 변수를 충족할 수 있는 교재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전체적인 틀을 제공하여 다양한 환경의 교육기관에서 각 학습자들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등 맞춤형 교재 개발의 지향점을 찾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2.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개발
2.1. 한국어 교재의 정의와 기능
한국어 교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를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육 자료이다. 교재는 학습자와 교사를 이어주는 매개체이자 교수-학습 활동이 체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조직화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재의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을 위해 필요한 언어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둘째,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제공한다. 셋째, 한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어 기능을 통합적...
참고 자료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Young-Mee Cho, Carol Schulz, Lee Hyo Sang, Univ of Hawaii Pr , (2009)
세종한국어 입문, 누리세종학당
https://nuri.iksi.or.kr/e-book/ecatalog5.jsp?Dir=303&catimage=&callmode=admin
세종한국어1(2022).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세종학당. 세종한국어(2022) 학습. E-Book.
박진욱(2022). [개정]세종한국어 학습자 평가 문항 개발. 국립국어원.
이준호(2020). 2020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 인증제 운영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p228-233.
하채현, 이무조(2013).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논의. -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9권, 3호. p329-352.
이정희(2019). 세종학당 기본 교재 개정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김정숙, 이준호, 장미라(2011).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2011 46권, 46호. p19-44.
김정숙(2014). ‘세종한국어 1~8’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2014 57권, 57호. p25-48.
누리세종학당(2023). 세종한국어 교재 및 지침서 참고.
https://nuri.iksi.or.kr/front/cms/contents/layout2/learningsejong2022/contentsList.do
강남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배움 사이버평생교육원 강의교재.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외,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2(3판), 아카넷(2017)
국립국어원(2019), 증보판 「세종한국어 3」, ㈜도서출판 하우.
국립국어원 기획.이선웅 외(2019),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초급2)」, ㈜도서출판 하우.
김성희 외, 「서강한국어 워크북, 2A, 2B」, 서강대학교 국제교육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