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일본 전통의상 기모노
1.1. 기모노의 정의와 유래
기모노는 '입다'를 뜻하는 '기루'와 '모노'가 합성되어 생긴 말로, 의복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모노는 고소데라는 옷이 변화되면서 생겨났다. 고소데는 헤이안[平安]시대에 오소데[大袖:소맷부리가 넓은 옛날의 예복] 밑에 입는 통소매[筒袖]의 속옷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나중에 고소데를 겉옷으로 입기 시작하였고, 무로마치[室町]시대에는 그것을 길게 만들어 입기 시작한 것을 기모노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무로마치시대까지만 해도 기모노는 남녀구분이 없었으나 에도시대에 들어와서는 여성의 기모노가 화려해졌다. 이처럼 기모노는 일본 전통 의상의 대표적인 형태로, 그 정의와 유래가 고소데라는 옛 의복의 변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1.2. 기모노의 역사
기모노의 역사는 고소데라는 옷이 변화되면서 생겨났다. 고소데는 헤이안[平安]시대에 오소데[大袖:소맷부리가 넓은 옛날의 예복]밑에 입는 통소매[筒袖]의 속옷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나중에 고소데를 겉옷으로 입기 시작하였고, 무로마치[室町]시대에는 그것을 길게 만들어 입기 시작한 것을 기모노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무로마치시대까지만 해도 기모노는 남녀구분이 없었으나 에도시대에 들어와서는 여성의 기모노가 화려해졌다. 여성들의 기모노는 유녀(遊女)들에 의해서 다양하고 화려한 형태로 변했다. 남자들의 기모노는 형태, 염색 등을 신분계급에 따라 엄격히 구분하여 입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모노의 역사는 고소데의 변천 과정에서부터 시작되어 무로마치시대를 거쳐 에도시대에 이르러 그 모습을 갖추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3. 기모노의 기본 형태
현대 기모노의 기본적인 형태는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길이의 옷에 소매가 길고 넓으며, 목부분이 V자로 패여 있다. 단추나 끈이 없이 왼쪽 옷자락으로 오른쪽 옷자락을 덮어 허리에 오비(帶)를 둘러 묶는 형태이다. 옷감의 종류, 모양, 색깔, 입는 법 등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왔고, 기혼여성과 미혼여성, 정식 방문인지 가벼운 외출인지에 따라서도 옷 모양이 달라졌다. 이처럼 기모노는 시대에 따라 변화되면서 아름답고 우아한 옷으로 자리 잡아왔다"
1.4. 기모노의 구성요소
1.4.1. 오비
오비(帶)는 일종의 허리띠로, 작달막한 일본인의 체구를 눈가림하여 보다 예쁘게 보이기 위한 미적 욕구에서 비롯된 아이디어이다. 원래의 기모노는 좁다란 띠를 둘러서 앞에서 묶었으나, 임진왜란 무렵 일본인들이 한복의 넓은 옷고름과 선교사들의 사제복 허리에 새끼를 꼰 듯한 띠를 두르고 오른쪽 허리춤께에 예쁘장하게 매듭지어 늘어뜨린 모양을 접목시켜 오비가 퍼지게 되었다.
나고야 오비는 폭이 34cm, 길이가 356cm 이상으로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