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마트팜의 필요성, 의의, 유형, 도입효과 등에 관하여 기술하여 제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농업경영 방안
1.1. 딸기 농업경영 사례
1.1.1. 딸기 농업의 선정 배경
1.1.2.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활용 사례
1.2.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분야 경영 방안
1.2.1.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1.2.2. 농업분야 빅데이터 활용 필요성
1.2.3. 농업분야 빅데이터 활용 방안
1.3. 농약 사용의 유익성과 유해성
1.3.1. 농약 사용의 유익성
1.3.2. 농약 사용의 유해성
1.4. 축산 스마트팜 모델의 단계별 특징
1.4.1. 축산 스마트팜 모델의 3단계
1.4.2. 스마트팜 도입 효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농업경영 방안
1.1. 딸기 농업경영 사례
1.1.1. 딸기 농업의 선정 배경
딸기 농업은 최근 수출 실적이 가장 높은 농산물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2021년 딸기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6,450만 달러를 기록하며 신기록을 달성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딸기 품종의 보급률이 96.4%에 달하며, 매향, 금실, 킹스베리 등의 수출용 품종이 개발되어 해외 시장에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딸기 농업에 활용할 경우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딸기 재배는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어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1.2.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활용 사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농업경영 방안의 우수사례로는 전남 함평군 이규식 농장을 들 수 있다. 이규식 농장은 총 온실면적 2,460㎡에서 딸기를 재배하는데, ICT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규식 농장은 온실 내부에 온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을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또한 천창제어, 스크린 제어, 난방제어, 이산화탄소 제어 등의 구동기를 통해 최적의 생육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규식 대표는 스마트팜 도입 전 10kg/평이었던 평당 연간 생산량이 도입 후 12kg/평으로 20%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팜앤딸기 농장 또한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인 사례이다. 팜앤딸기는 스마트팜 도입을 통해 평당 연간 생산량이 30% 증가했으며, 원격제어와 모바일 시스템을 활용하여 직접 온실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생육환경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물인터넷, 자동화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두며, 농업의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딸기와 같이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한 작물의 경우 스마트팜 기술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분야 경영 방안
1.2.1.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빅데이터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의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분석 역량을 넘어서는 규모의 데이터이다. 빅데이터의 중요한 특징은 3V로 대변되며, 이는 Volume(데이터의 규모), Variety(데이터 종류의 다양성), Velocity(데이터의 입출력 속도)를 의미한다.
첫째, 데이터의 규모란 축정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수직확장성의 물리적 한계를 초과하는 거대한 데이터를 뜻한다. 둘째, 데이터의 다양성은 다양한...
참고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원예경영과(2021). 시설원예분야 ICT융복합확산사업 우수사례집.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홍정민 외. 축산분야에 시작된 빅데이터·AI 바람. 농수축산신문. 2021년 6월 3일자. https://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352 (검색일: 2022. 9. 14.)
조영규 기자. 잘 나가는 딸기 수출, 아리향이 날개 달까. 한국농어민신문. 2020년 2월 15일자.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200 (검색일: 2022. 9. 14)
오은정 기자. 빨갛게 잘 익은 딸기 수확 로봇이 척척. 농민신문. 2019년 7월 10일자.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WLD/313243/view (검색일: 2022. 9. 14)
김경필, 구자춘, 안현진, 한정훈(2016), 농림업분야 빅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2013),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25(10), pp. 37-74
박경아, 이경계(2019), 「2019 농업전망: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이끄는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삼정KPMG(2020), 「스마트 농업과 변화하는 비즈니스 생태계」, 이슈모니터 제125호.
안문형,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TOE 프레임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농산업시스텝경영전공 박사학위논문.
이서구(2015),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마케팅적 접근」, 대한경영학회지, 28(1), pp. 21-35
이훈혜(2014),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KIET 산업경제, pp. 45-54.
정의진, 임현, 장제연, 정고운(2020), 「데이터 농업의 미래」,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 2020-3호.
채승병, 박성민(2013), 「스마트 뉴딜(New Deal): 공공데이터 개방과 기업의 활용」, CEO Information, 907호, 삼성경제연구소.
허철무, 안문형(2021), 『스마트팜 경영전략』, 청람.
McKinsey(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on, and productivity, McKinsey&Company.
농축산환경학 /고한종 외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
농약사용의 양면성 / 하영득 / 92농약품질관리 학술발표회 / 1992
국내토양오염 현황 및 대책방안 / 장순웅 / 한국방제학회지 / 2004
ICT 융복합 기술을 이용한 축산 스마트팜 연구 개발 및 추진 현황 / 권경석 / 한국농공학회 / 2017
유형별 스마트팜 선도사례. 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