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1. 목적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목적은 체내에서의 수분이동과 조절기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체내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기록함으로써 환자의 수분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잠재적인 위험 상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배뇨습관과 비뇨기계 기능을 사정하고, 약물의 효과도 파악할 수 있다."
1.2. 적응증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수술 및 수술 후 금식, 정맥주입과 이뇨제 사용, 특수배액이나 흡인기구 설치 시, 심한 화상과 열로 인한 손상 등 수분손실이 과도한 경우, 탈수, 당뇨병, 핍뇨, 금식 등이다. 이러한 경우 체내의 수분균형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3. 준비물
준비물"은 수분섭취 배설량 기록지, 눈금 있는 계량컵, 대변기, 소변기, 저울, 기저귀, 채뇨 비닐 주머니, 병원 식사의 수분 함량표 등이다."준비물에는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용품이 포함된다. 수분섭취 배설량 기록지를 이용하여 섭취량과 배설량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눈금이 있는 계량컵은 액체 섭취량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대변기와 소변기는 각각 대변과 소변의 배설량을 모으는 데 사용되며, 저울은 기저귀를 이용하여 소변량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채뇨 비닐 주머니는 소변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병원 식사의 수분 함량표는 섭취한 식단의 수분 함량을 파악하는데 활용된다.이러한 다양한 준비물들은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하여 체액 균형과 수분 상태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준다.
1.4. 과정 및 간호
1.4.1. 섭취량 측정방법
섭취량 측정방법은 구강섭취와 비경구섭취로 나뉜다.
구강섭취의 경우 먼저 구강으로 섭취한 모든 음식물의 양과 종류, 섭취 시간을 기록한다. 밥, 죽, 미음 등 식사 종류에 따라 섭취량을 결정하며, 특별식이로 계산이 가능한 것은 용량을 직접 측정하여 기록한다. 또한 개별적으로 밥, 국 등을 기록하여 합산하거나 섭취 총량을 합산하여 기록한다. 모유수유의 경우 용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횟수로 기록한다.
비경구섭취의 경우 수액, 혈액의 종류와 주입된 양을 기록한다. 수액의 경우 종류와 양을 기록하며, 혈액은 종류와 주입된 수량을 기록한다. 경구섭취량과 정맥주입량을 따로 적고 합산한 양을 기록한다. 혈액과 교질성 용액은 구분하여 기록한다. 또한 항생제를 50cc 이상 희석하여 주는 경우에는 희석된 용액의 총량을 정맥 주입량에 포함하여 기록한다.
이처럼 섭취량 측정은 섭취의 모든 경로와 종류를 구분하여 자세히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1.4.2. 배설량 측정방법
배설량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소변은 눈금이 있는 소변기에 직접 받아 양을 기록한다. 대변은 횟수로 기록한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 소변의 경우 무게를 재고, 소변과 대변을 함께 본 경우는 무게를 잰 후 소변과 대변량을 합하여 기록한다. 일회용 배액관이나 drainage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량은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거나 병을 비울 때마다 기록한다. 구토나 그 외 모든 배출물도 기록한다. 이와 같이 배설량 측정은 소변, 대변, 기타 배출물 등 환자의 체외로 배출되는 모든 양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체액 균형과 수분 요구량을 사정하고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1.5. 기록방법
1.5.1. 목적
24시간의 모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함으로써 환자는 수분균형에 관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의 증가 또는 제한의 필요를 사정하며, 잠재적인 신체의 위험상태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1.5.2. 방법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록지는 정확한 년, 월, 일을 기록한다. IV란에는 처방된 수액을 순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