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사 학교폭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교폭력의 원인
2.1. 가해자 요인
2.2. 가정적 요인
2.3. 학교 요인
2.4. 피해자 요인
3. 학교폭력 해결방안
3.1. 학교폭력 피해 사실 즉각 신고
3.2. 학생 간 학교폭력 상황 적극 제재
3.3. 학생 인권 교육 강화
3.4. 부모 교육 강화
4.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대책
4.1. 학생 대상 학교폭력 인식 개선 교육
4.2. 정기적인 학생 상담 실시
5.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에 따르면 학교폭력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2021년 교육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학생 천 명당 언어폭력을 당한 인원은 7.4명, 집단 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는 인원은 2.6명, 신체 폭력을 경험한 인원은 2.2명으로, 적지 않은 건수를 나타내고 있다. 2020년에는 학교 폭력으로 검거된 건수가 줄어들었지만, 이는 코로나19로 인하여 학교생활이 온라인으로 행해졌기 때문에 학생들 사이의 접촉이 이전보다 감소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 학교 폭력이 개선되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 3년간 신체적인 폭력은 감소했지만,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형태의 사이버 폭력, 성범죄 등의 주변인이 알아차리기 힘든 폭력의 형태로 학교 폭력의 추세가 변하고 있다는 것은, 학생들의 정신 건강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 폭력의 원인을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학교 폭력의 원인을 사회적 능력이나 자존감과 같은 학생의 심리적인 부분에서 찾는 연구자도 있는가 하면, 학생 주변의 가정이나 학교, 혹은 사회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보는 연구자도 있다. 예비사회복지사로서, 학교 폭력은 이 모든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서 일어나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견해에 동의하는 바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분위기부터 학교와 학생들 간의 관계, 더 나아가 학생의 성장 배경, 즉 부모의 영역까지 복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2. 학교폭력의 원인
2.1. 가해자 요인
기질적으로 타인에 대한 공격성이 강한 아이, 부모와의 안정적 애착관계 형성에 실패한 아이, 타인에 대한 지배욕이 강한 아이, 타인과의 공감 능력이 낮은 아이, 싸이코패스 및 히스테리성 장애를 가진 아이는 학교폭력 가해자가 될 여지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은 쉽게 타인에 대한 공격성을 드러내며, 부모와의 불안정한 애착관계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이 크고, 자신의 지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을 공격하려 하며,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지 못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병리적인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일수록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강해 학교폭력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2.2. 가정적 요인
부모자식간에 문제가 있어 심한 욕구불만에 휩싸인 아이, 강압적이고 독선적인 부모 밑에서 성장한 아이, 가정폭력이나 아동학대 경험이 있는 아이는 학교폭력 가해자가 될 여지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정에서의 부정적인 양육 환경은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발달에 악영향을 미쳐 학교폭력 가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이 과잉통제적이거나 학대적일 경우 아동은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며, 가정 내 폭력 경험은...
참고 자료
교육부(2021),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세종: 교육부.
이세연・유미숙(2010),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7): 101-128.
이창식, 박지영 and 장하영. (2016).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11), 37-44.
정석원, 현승숙. (2012). 청소년의 학생인권경험이 자존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보호지도연구, 18, 69-89.
곽수란, 송미옥 and 김영호. (2021).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ㆍ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9(1), 11-25.
정소희, Kyung Hee Lee. (2016). 부모의 과잉간섭과 과잉기대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우울, 공격성, 자존감,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2(0), 313-342.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정여주, 선혜연 외 5명 저 | 학지사 | 2018.07.30
김기환(1997), 「학교사회복지제도의 도입과 활성화 방안」, 『학교사회복지 대토론회 자료집』.
김은주(2012),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매일경제(2018.09.13)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578785
시사인천(2018.11.09)
http://www.isisa.net/news/articleView.html?idxno=112150
세계일보(2018.05.23)
http://www.segye.com/newsView/20180522002113
한국일보(2018.10.05)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0051410364686?did=NA&dtype=&dtypecode=&prnews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