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well bye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어회화 - 인사하기
2.1. 안녕하기
2.2. 정보 묻고 답하기
2.3. 안부 묻고 답하기
2.4. 안부 전하기
2.5. 연락 유지하기
3. 웰빙, 웰에이징, 웰다잉과 평생교육
3.1. 웰빙(Well-being)과 평생교육
3.2. 웰에이징(Well-aging)과 평생교육
3.3. 웰다잉(Well Dying)과 평생교육
4.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4.1. 사업 개요 및 기관 SWOT 분석
4.2. 사업의 필요성
4.2.1. 이론적 배경
4.2.2. 대상자의 욕구 및 문제점
4.2.3. 지역 환경적 특성
4.2.4. 경험적 근거
4.2.5. 관련 지역복지 자원 현황
4.3. 사업 수행 내용 및 계획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물질적인 풍요는 이루었으나 현재는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으로 급속한 고령화와 청년들의 만혼과 비혼 등으로 출산율은 낮아지고 있어 사회적으로 고령사회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사회적 변화와 장기적인 경제침체는 미래를 생각하며 현재를 희생하기보다 지금 잘사는 것에 더욱 집중하도록 삶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변모시키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사회분위기에 따른 웰빙(Well-being), 웰에이징(Well-aging), 웰다잉(Well Dying)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개념과 평생교육에 대하여 논술하도록 하겠다.
2. 영어회화 - 인사하기
2.1. 안녕하기
'안녕하기'는 영어회화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인사법 중 하나이다. 상대방에게 자신의 상태와 감정을 표현하고 서로에 대한 관심과 호의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영어로 표현하는 "안녕하기"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양한 어휘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Hiya, Greetings"는 친근한 분위기에서 상대방에게 안녕을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Hiya, chum. what are you doing?"과 같이 상대방의 근황을 묻는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You sure get up early"처럼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감탄을 표현할 수도 있다.
"Let's call it a day"는 하루를 잘 보냈다는 의미로 "it's been a long and productive day" 등의 표현과 함께 쓰인다. 이러한 표현은 하루를 마무리하며 서로에 대한 격려와 만족을 나타내는 것이다.
"I'll be saying good night. I had a wonderful time."처럼 작별 인사와 함께 그동안의 시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안녕하기의 한 방식이다. 이는 상대방과의 만남이나 대화를 즐겁게 여겼다는 뜻을 전하는 것이다.
"(I'm) delighted to make your acquaintance."나 "My pleasure"와 같은 표현은 처음 만난 사람에게 반갑고 기쁜 마음을 전하는 것이다. "Haven't I seen you somewhere before?"처럼 이전에 만난 적이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도 안녕하기의 한 방식이다.
이처럼 "안녕하기"는 상대방과의 관계, 만남의 정도, 대화의 분위기 등에 따라 다양한 어휘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에 대한 관심과 호의, 그리고 만남에 대한 만족감을 전달할 수 있다.
2.2. 정보 묻고 답하기
정보를 묻고 답하기는 상대방과의 원활한 대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상대방의 이름, 직업, 가족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묻고 대답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What do you do for a living?"이라고 상대방의 직업을 묻고 "I'm an accountant at a local firm."이라고 대답하면 서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Do you have any children?"이라고 가족에 대해 묻고 "Yes, I have two daughters."라고 대답하면 상대방의 개인적인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서로에 대한 정보를 묻고 답하는 과정은 대화를 이어나가고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단순한 정보 교환을 넘어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대화 방식을 조정할 수 있어 더욱 원활한 소통을 이루어낼 수 있다.
따라서 영어 회화에서 정보를 묻고 답하는 것은 대화의 시작점이자 관계 형성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표현하고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2.3. 안부 묻고 답하기
''안부 묻고 답하기''는 인사를 나누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상대방의 안부를 물으며 반갑게 맞이하고, 자신의 안부도 전하며 상호작용하는 것은 관계를 돈독히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안부를 묻고 답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는데, 상황에 맞게 적절한 말투와 어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어떻게 지내?", "조금 전 너는 기분이 좋아 보였는데 혹시 뭔가 문제라도 있나?" 등의 표현으로 상대방의 안부를 물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는 "그럭저럭 잘 지내요", "괜찮아요, 힘든 일은 없었어요"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상적인 안부 묻기 외에도 보다 구체적인 질문으로 상대방의 안녕을 확인할 수 있다. "몸은 좀 괜찮니?", "최근에 무엇을 하고 있었어?" 등의 질문으로 상대방의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는 "별로 좋지는 않아요, 요즘 좀 피곤해요",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느라 바빴어요" 등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처럼 안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는 단순한 인사 이상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상대방의 감정과 상황을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돈독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2.4. 안부 전하기
""안부 전하기"는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관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우리의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돈독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통 지인을 만났을 때나 전화 통화 중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안부 인사를 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부를 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직접 만나서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랜만이에요.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라고 말하며 상대방의 건강과 근황에 대해 관심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집에서 잘 지내고 계신가요?" 등으로 안부를 전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편지나 카드를 보내 상대방...
참고 자료
권중돈, 노인복지론 5판, 학지사, 2012.
박영란,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정책 패러다임, 한국유럽학회, 유럽연구 31(1), 2013.4, 135-158(24 pages)
장영식, 「생애주기별 죽음교육 도입할 때 됐다」, 헬스포커스, 2019.06.10.
이보람, 「'웰에이징(Well-aging)'시대…액티브시니어 되는 방법 10가지」, 헬스조선, 2018.10.31
김주희, ⌜마니또 게임의 특성을 적용한 웹상에서의 학급구성원간 상호작용 증진에 관한 연구⌟, 2006년 2월
「백지숙, 한승희」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5년 2월
류시영·강방훈,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과 자아존중감,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제67호, 2012.11, 27-50 (24 pages)
강현주, 신인순 (2015).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5-48.
최미경, 「공감중심-학교폭력 예방교육을 통한 학교부적응청소년의 학교폭력인식과 태도변화에 관한 연구」 2014.8
황선익, 「청소년의 학교폭력 노출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017년 12월
곽금주(2005)등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KT&G 복지재단 연구보고서
양아기(2009), 전남대학교,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정선옥,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강기정·김혜숙·박경애·이서영·최덕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09년 02월 28일, p.287
천안교육지원청, 천안학교현황표, 2018년 3월 5일
정신이건강해야 삶이 행복합니다 저)대한신경정신의학회
또래애착이 초기청소년기 우정관계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저자)박미란, 이지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년
학교폭력의 문제점, 2016년 9월, https://blog.naver.com/imi99/220808606353
연합뉴스, “충남 학교폭력 13.3% 증가 예방대책 실효성 없어” , 2017년 11월 24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24/0200000000AKR20171124114300063.HTML?input=1195m
위키백과, 천안시 동남구 행정구역, 2011년 기준,
https://ko.m.wikipedia.org/wiki/%EB%8F%99%EB%82%A8%EA%B5%AC%EC%9D%98_%ED%96%89%EC%A0%95_%EA%B5%AC%EC%97%AD
중도일보, “천안학교폭력 입건자 200여명 중 학교밖청소년이 40%”, 2017년 2월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702260198
파이낸셜 뉴스, “지옥에 초대받은 10대.. ”죽고싶었다“
https://v.kakao.com/v/20180522165907947
청소년상담복지센터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36815
천안시 솔리언 또래상담자 연합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392304
천안동남경찰서
http://www.cnpolice.go.kr/SEO/DN/main.htm?Gubun=L03_02&kz=%B5%BF%B3%B2&kf1=sub&kf2=&kw=&bo=notify2&p=9&ku=14950&mo=v
천안교육지원청
http://m.daej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55914#07ld
충남청소년진흥원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054
꿈그린센터 http://www.ajunews.com/view/20170306093334201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 https://www.cncae.go.kr/main.php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8년 배분기준, 예산편성기준표 예시
http://www.chest.or.kr/03_distribute/intro/intro01.jsp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 2017 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주요 결과
https://www.kedi.re.kr/
교육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가해학생. 피해학생 조치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