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생활한복에 관한 연구
1.1. 한국의 문양
1.1.1. 문양의 정의와 특징
문양이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으로, 문자와 마찬가지로 사용 주체인 민족과 그 민족이 처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 전통문양은 사물을 자유분방하게 추상화한 형태로, 선조들이 평소 생활 속에 꿈꾸어온 낙원사상을 엿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국적인 산수의 온아한 풍경을 반 추상적인 표현으로 묘사한 창조성은 한국 문양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멋과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 전통문양은 '선(線)의 마술사'라 할 만큼 아름다운 선을 조화롭고 자유분방하게 구사하였으며, 시각적인 외형미, 장식미 이상의 상당한 의미와 상징이 담겨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1.1.2. 한국 전통문양의 기원
한국 전통문양의 기원은 선조들이 평소 생활 속에서 꿈꾸어온 낙원사상을 엿볼 수 있을 만큼 자유롭고 추상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이다.
우리의 전통 작품에서 한국적인 산수의 온아한 풍경을 반 추상적인 표현으로 묘사한 창조성은 한국 문양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멋과 아름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이다.
1.1.3. 한국 전통문양의 표현기법과 종류
한국 전통문양의 표현기법과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통문양의 표현기법은 문양이 어떻게 결합되어 표현되는지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단독문양은 식물이나 동물 문양 등의 문양을 단독으로 배치하는 기법이다. 둘째, 연속문양은 식물이나 동물 등의 한 문양을 연속으로 전개시켜서 구성하는 기법이다. 셋째, 기하학문양은 번개문(雷文), 소용돌이문(渦文), 동심원문(同心圓文), 톱니문(鋸齒文) 등 기하형태를 기본으로 한 단순한 문양으로 구성된다. 넷째, 복합문양은 동물, 식물, 기하문 등의 문양들을 혼합하여 특출한 형태를 이룬 것이다. 예를 들어 동물·식물 형상을 구름 문양처럼 전개시켜 덩굴무늬 형태로 구성한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1.1.4. 한국 전통문양의 나타나는 곳
한국 전통문양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문양들은 단순히 장식적 기능뿐만 아니라 민족의 신앙, 염원, 미적 가치관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 전통문양들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 주변과 더불어 사찰, 궁궐 등 다양한 공간에서 발견된다"
정겨운 우리의 고유문양들은 골무, 주머니, 보자기, 옷감, 도자기, 떡살, 기와 등 의·식·주를 망라한 옛 조상들의 생활주변 구석구석 모든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상의 생활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사찰과 궁궐에서도 역시, 거의 문양의 전시장이라 할 만큼 우리 전통문양의 진수를 감상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 전통문양은 단순한 장식적인 기능을 넘어 우리 민족과 문화의 깊은 맥락을 담고 있는 귀중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양들이 다양한 공간과 생활용품에서 발견되는 사실은 우리 조상들의 일상생활과 문화가 얼마나 예술성과 창의성을 내포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1.2. 한국의 선
세계의 각 나라들은 모두 제각기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독특한 의상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반만년의 무구한 역사에 한복이란 아름다운 복식을 가지고 있다. 한복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반영한 깊은 역사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복에서 나타나는 "선의 미"는 매우 독특하다고 볼 수 있다.
한복을 입은 모습을 보면 다소곳하면서 단정하고 기품이 흐른다. 곧게 다려진 하얀 동정은 곧은 성품을, 저고리와 치마에 흐르는 부드러운 선은 온화함을, 버선의 날렵한 코는 또 다른 매력을 풍긴다. 이처럼 한복에서 나타나는 선의 미 중 하나는 직선이다. 곡선이 많은 한복에서 직선은 절제되고 정돈된 느낌을 부여한다.
화려한 한복이든, 소박한 한복이든 동정은 모두 흰색이다. 깊게 파여진 하얗게 눈부신 곧게 뻗은 동정은 빳빳하게 다려져 청아한 아름다움을 보인다. 저고리에서 살짝 묶여서 치마단 까지 내려오는 고름도 직선이다. 옛 삼국시대에 고름은 옷을 여미는 기능이 중시되었었지만, 고름은 단순한 저고리를 여미는 기능에서 멈추지 않고, 옷을 장식하는 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고름은 화려한 색을 쓰지는 않지만 이것은 한복을 서정적으로 보이게 한다.
두루마기에 전체적으로 흐르는 선도 직선이다. 두루마기는 외출 시나 예를 차릴 때 입는 검은 색의 겉옷인데, 자칫 화려해진 한복을 직선적인 선으로 단정하게 정돈한다. 특히 남성의 옷에서 직선의 미는 더욱 표현된다. 수직으로 내려오는 포의 주름이 그렇다. 이렇듯 예부터 우리 민족은 곧은 정신을 숭상했다.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하고, 그릇된 일을 하느니 차라리 목숨을 끊어 버리는 선비 정신도 이와 같다.
이처럼 한복에 나타나는 선의 미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깊게 결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단정하고 절제된 직선의 형태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이 투영되어 나타나며, 이는 한복만의 독특한 미적 특성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1.3. 한국의 색상
한국의 색상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전통 속에서 형성되어 왔으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인들은 자연을 숭배하는 정신적 경향으로 인해 자연의 아름다운 색상들을 선호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한국의 색상은 자연스럽고 따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색으로는 청색,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