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 생명윤리 기본원칙 실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 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1.2. 생명윤리 원칙의 필요성
1.3. 간호윤리 교육의 목적
2. 본론
2.1. 생명윤리의 기본원칙
2.1.1. 자율성 존중의 원칙
2.1.2. 악행금지의 원칙
2.1.3. 선행의 원칙
2.1.4. 정의의 원칙
2.2. 간호 윤리 사례
2.2.1. 여호와의 증인 환자의 수혈 거부
2.2.2. SBAR 의사소통 모델 활용
2.3. 의무론적 의사결정 방법
2.3.1. 의무론의 일반적 원칙
2.3.2. 의무론적 의사결정의 장단점
3. 결론
3.1. 간호윤리 실천의 중요성
3.2. 윤리적 판단력 향상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 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간호 윤리는 간호사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나 의무를 실천하는 것으로서, 법이나 어떤 규칙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의지로 이루어지는 실천 행위를 의미한다"" 간호는 본질적으로 윤리적, 혹은 도덕적으로 불확실한 요소를 지닌 이슈와 상황들을 다루기 때문에 간호사는 자신이 속한 상황이 윤리적이거나 도덕적인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챌 수 있어야 하고, 공인된 윤리원칙과 이론에 따라서 적절하고 논리적인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간호윤리는 간호 전문직업인이 지켜야 할 행동 규범으로서, 국가와 사회와 국민과의 관계 속에서 간호의 가치와 당위성, 그리고 공정성이 인정되는 존재방식을 실천하는 것이다"".
1.2. 생명윤리 원칙의 필요성
생명윤리 원칙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의료적 개입이 가능해지면서 생명 존엄성과 의료 윤리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과거와는 달리 생명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 문제와 딜레마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생명윤리 원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간호사는 임상현장에서 환자를 직접 대면하며 다양한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나이팅게일 선서나 간호 윤리 강령으로는 이러한 복잡한 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호사의 도덕적 사고와 판단을 돕는 생명윤리 원칙이 필요하다.
셋째, 생명윤리 원칙은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에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전문직 간호 행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 중심의 윤리적 간호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생명윤리 원칙은 간호사 개인의 가치관과 신념, 전문직업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간호사 스스로의 직업적 효능감을 높이고, 양질의 간호 수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생명윤리 원칙은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간호사가 직면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 중심의 전문적인 간호를 실천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3. 간호윤리 교육의 목적
간호윤리 교육의 목적은 간호사 개인의 도덕적 판단력과 윤리적 실천력을 향상시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높이고, 나아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호현장에서 겪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와 문제들에 대해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간호윤리 교육의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인간존엄성과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며, 둘째, 간호사 개인의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향상시켜 윤리적 실천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셋째, 간호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딜레마에 대한 적절한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도록 하여 간호대상자의 최선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간호사 개인의 전문직 정체성과 자긍심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적 향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처럼 간호윤리 교육은 간호사 개인의 도덕적 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간호 전문직의 발전과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 개인과 전문직, 나아가 의료 및 보건 분야 전체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2. 본론
2.1. 생명윤리의 기본원칙
2.1.1. 자율성 존중의 원칙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타인의 자율성에 대한 윤리적 의무를 나타내는 원칙이다. 자율성은 자기 통치를 의미하며, 거짓이나 억압, 강압으로부터 자유로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는 문제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나타낸다. 자율성 존중은 인격존중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존중은 단순한 태도뿐만 아니라 타인의 선택을 방해하지 않고 더 나아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타인의 능력을 배양하고 촉진하는 행위까지 포함한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는 네 가지 기초 요소가 포함된다. 첫째, 자율적인 사람은 존중받아야 한다. 독특한 인간성과 가치를 지닌 존재로 간주하는 것이 자율성 확보에 필수적이다. 둘째, 자율적인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목표를 결정할 수 있어...
참고 자료
책|Margaret A. Burkhardt, Alvita K. Nathaniel, 엄영란 강소영 공병혜 김기경 김민아 김상히 김지현 박미현 박은준 안성희 이승희 이여진 최귀순 한미현 홍성경 홍은영 「간호윤리학」, 정담미디어(2014년), 505쪽
책|정면숙 박광옥 고문희 김덕희 김세영 김은경 김종경 김진현 박은준 서문경애 조성현,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예비 나이팅게일을 위한 입문서’ 간호학개론 제2판」, 현문사(2015년)
책|하영수 이자형 김기련 김상돌 박금자 배경의 신동수 윤희상 정선영 정주연 최혜영 황혜영, 「간호학개론」, 신광출판사(2014년), 314쪽
책|Kay Kittrell Chitty, Beth Perry Black 염영희 강윤숙 김민아 안은경 이경혜 이미애 이승희 이정애 조미경 홍은영, 「간호학개론 PROFESSIONAL NURSING Concepts & Challenges」, 엘스비어코리아(2013년), 324쪽
책|퍼시픽 학술편찬국, 「간호학개론」, 퍼시픽북(2014년), 482쪽
책|고명숙 민순 염영희 윤숙희 이미애 정민 홍은영, 「간호학개론」, 수문수(2015년), 528
유명숙, & 박현숙. (2005).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8(2), 141-154.
주호노. (2017).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 생명, 윤리와 정책, 1(1), 5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