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실습 교과목 지역사회간호학 실습1
1.1. 사례 개요
78세 김○○ 할머니는 지난 해 길을 가다 hip fx를 입어 Rt. THR과 BOTH TKR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를 받고 퇴원하였다. 현재 오른 쪽 다리의 감각둔화, 저리는 통증호소, 거동 불편으로 보호자 도움 없이는 움직이기 힘든 상황이다. 하루 20분~30분 정도의 물리치료를 받고 있으며, 1남 2녀를 두고 있고 대상자의 간병은 둘째 딸이 1년동안 전담하고 있다. 간병비와 병원비는 아들이 부담하고 있다. 며느리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간병할 수 없는 상황이다. 첫째 딸은 외국에 살고 있어 간병할 수 없고, 모든 간병을 도맡아 하는 둘째 딸은 1년 전에 이혼하여 혼자 지내는 상태라서 간병이 가능하고 건강 상태 또한 좋아 집에서 환자의 보호자 역할을 도맡아 한다.
1.2. 간호문제 도출 및 진단
건강문제 사정자료와 간호진단을 통해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도출하고 진단하였다.
건강문제 사정자료를 살펴보면, 대상자는 현재 오른쪽 다리의 저리는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거동이 불편하여 보호자 도움 없이는 움직이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오른쪽 다리의 감각 둔화가 있고, 과거에 오른쪽 고관절 골절을 입었다. 한편 간병을 담당하는 둘째 딸이 이혼 후 혼자 지내는 상황이라 간병에 대한 불만족감을 보이고 있다.
이를 오마하 분류체계에 따라 간호진단하면 다음과 같다. 수준1 영역 "생리"의 22. 동통 문제와 25. 신경근-골격-기능 문제, 수준1 영역 "심리사회"의 13. 돌봄/양육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 중 동통의 표현이 가장 심각한 간호문제로 판단되며, 이동곤란과 책임에 대한 불만족 또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통증은 그 자체로 간호문제이며 생리적,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심각한 통증은 전문적인 치료를 요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통증 관리로 치유촉진, 합병증 예방, 고통경감 및 난치성 통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거동불편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일상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노인들에 대한 보조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대상자는 보호자 도움 없이는 부동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관련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인 인구 부양에 대한 젊은 세대의 부담이 증가하면서 노인에 대한 가족의 돌봄 책임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대상자와 관련된 가족구성원의 책임 불만족감이 문제로 대두된다.
1.3. 간호계획
1.3.1. 목표설정
대상자는 1개월 이내로 통증척도점수가 6점에서 3점으로 내려갈 것이다. 이를 위해 대상자는 1개월 이내로 대상자의 오른쪽 다리가 저리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비약물요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는 1개월 이내로 강남구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통증 완화관련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규칙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는 1개월 이내로 통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3.2. 수행계획
목표1. 대상자는 1개월 이내로 대상자의 오른쪽 다리가 저리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비약물요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심상 요법은 경험을 시각화하여 유쾌한 기억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도록 돕는다. 유도심상을 이용하여 간호사나 주변 사람들이 숲 속을 걷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사용하도록 제안하거나 그러한 경험을 감각적으로 상세히 묘사해줌으로써 대상자의 의식수준에 변화를 주어 통증과 같은 불쾌한 경험을 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어 신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정서적인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명상은 마음을 고요하게 단어나 생각에 집중하게 하여 혈압과 맥박을 낮추고 이완된 상태를 경험하게 한다. 대상자는 '사랑'이나 '평화'와 같은 용어를 조용히 반복하거나 개인적인 종교적 신념을 나타내는 구절이나 기도를 이용하여 명상을 할 수 있다.
3. 전환 요법은 주의를 의도적으로 다른 곳으로 돌려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