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장폐색 질환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폐색의 진단과 치료
1.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1.2. 장폐색의 정의와 원인
1.2.1. 기계적 요인
1.2.2. 신경성 요인
1.2.3. 혈관성 요인
1.3. 장폐색의 병태생리
1.4. 장폐색의 증상과 징후
1.5. 장폐색의 진단검사
1.5.1. 복부청진
1.5.2. 단순 복부 방사선 촬영
1.5.3. 바륨조영술
1.5.4. 혈액검사
1.5.5.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1.6. 장폐색의 치료
1.6.1. 내과적 치료
1.6.2. 수술적 치료
1.7. 간호중재
1.7.1. 증상관리
1.7.2. 수액 및 전해질 관리
1.7.3. 수술 전후 관리
1.8. 장폐색의 합병증과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폐색의 진단과 치료
1.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소화기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및 항문으로 이어지는 관으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및 배출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소화기계는 크게 상부 소화관과 하부 소화관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소화관은 구강, 인두,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구성되며, 이 부분에서는 주로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의 첫 단계가 이루어진다. 구강에서 씹기와 삼키기 동작이 일어나고, 타액선에서 분비된 타액은 음식물을 연화시켜 삼키기 쉽게 만든다. 식도에서는 연동운동에 의해 음식물이 위로 내려가며, 위에서는 위액에 의한 화학적 소화가 이루어진다. 십이지장에서는 췌장액과 담즙이 첨가되어 음식물의 소화가 더욱 진행된다.
하부 소화관은 공장, 회장,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성되며, 이 부분에서는 주로 영양분의 흡수와 잔여물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소장에서는 장 융모에 의해 영양분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며, 대장에서는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나고 잔여물이 축적되어 배출된다.
소화기계는 소화뿐만 아니라 호르몬 분비, 면역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소화기계는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긴밀한 상호작용 속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증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장폐색의 정의와 원인
1.2.1. 기계적 요인
기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장폐색의 경우 장 내강의 폐쇄나 장관의 운동 장애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장관 내용물의 흐름이 방해받는 것이다. 이는 주로 유착, 탈장, 장 염전, 장중첩증, 종양 등이 원인이 된다.
유착(adhesion)은 소장과 대장의 폐색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복부 수술 후나 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기도 한다. 수술 후 복강 내에 남아 있는 자극물이 유착을 촉진시키며, 흉터 조직의 섬유성 띠가 장 일부에서 고리를 만들어 장을 꼬이게 하거나 외부의 압력에 의해 장을 기계적으로 폐색시킬 수 있다. 유착이 다발성으로 나타나거나 심한 경우 장폐색의 가능성이 높다.
탈장(hernia)의 경우 탈장 환의 크기에 따라 폐색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꼬인 탈장(strangulated hernia)은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장이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폐색이 나타난다.
장 염전(volvulus)은 흔히 복강 내에 정체된 병변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장의 꼬임으로, 소장이나 대장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 가능하며 장에 경색을 일으킨다. 장 튜브 삽입을 통한 감압으로 외과적 중재 없이도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장중첩증(intussusception)은 장의 어느 한 부분이 다른 한쪽으로 포개어져 들어간 상태로, 대장에 종양이 있는 경우 발견할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연동운동으로 인해 근위부의 장부분이 원위부 안으로 포개어져 들어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종양(neoplasm)은 대장 폐색의 주원인이 되며, 장의 관강이 넓기 때문에 폐색의 진행이 서서히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변 덩어리가 협착 부위를 막기 전까지 종양이 계속 커져 나중에는 급성 폐색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소장에서 발생하는 폐색 증상은 종양을 암시하는 첫 번째 증상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기계적 요인으로 인한 장폐색은 다양한 원인들이 작용하며, 적절한 시기에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다.
1.2.2. 신경성 요인
신경성 요인으로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색(paralytic ileus)은 장의 운동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연동운동의 결여로 생기는 것이다. 마비성 장폐색은 복강 수술 후에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며, 이는 마취 및 수술로 인해 장의 운동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으로 수일 이내에 원상태로 회복된다. 치료는 장이 다시 기능을 시작할 때까지 위액을 흡인해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전해질 및 대사작용 이상이 있을 때에도 마비성 장폐색증이 잘 발생하며, 아편류나 항콜린성약 등에 의해서, 또는 척추수술이나 외상 및 염증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연동운동이 억제되고 폐색이 발생한다.""
1.2.3. 혈관성 요인
혈관성 요인으로 인한 장폐색은 장으로 가는 동맥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하며, 이는 완전 폐색과 부분적 폐색으로 나뉜다""
완전 폐색(장간막경색, Occulusion)은 장간막 혈전증과 같이 장으로 가는 동맥 혈액 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장 기능이 정지되는 경우이다"" 이는 대부분 색전이 원인이며, 폐색된 혈관의 크기, 혈관 공급을 받지 못하는 장의 범위, 폐색이 일어나는 속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급성 폐색은 장폐색의 증상 없이 격심한 복통을 초래하며, 이는 폐색 자체보다 조직에 혈액 공급이 안 되어 발생한다"" 폐색이 진행됨에 따라 발열, 백혈구 증가, 쇼크와 장 괴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급성 장간막 폐색은 응급 수술을 요하며 사망률도 약 75%로 높다""
부분적 폐색(복부허혈, Abdominal angina)은 장간막동맥의 죽상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며, 초기에는 식사 후 15~30분 지나 통증이 유발되지만 점차 소량 ...
참고 자료
조경숙 외 (2018),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조경숙 외 (2018),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9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67
MSD매뉴얼
Search results for: 장폐색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msdmanuals.com)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고일선 외. (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메디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권소희 외. (2019). 『건강사정』. 수문사
허제은 외. (2017). 『기본간호학 이론』. 수문사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 약물(약물명)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E%A5-%EC%9D%91%EA%B8%89%EC%83%81%ED%99%A9/%EC%9E%A5%ED%8F%90%EC%83%89 MSD매뉴얼_장폐색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19 서울대학교병원_장폐색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24&CONT_SRC=CMS&CONT_ID=3084&CONT_CLS_CD=001020001012 삼성서울병원_장폐색
http://yonseilove.co.kr/bbs/board.php?bo_table=info_ds&wr_id=119&sca=%EB%B0%B0&sfl=&stx=&sst=wr_1&sod=desc&sop=&page=1 연세사랑병원_장폐색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네이버 지식백과] 소장 [small intestine, 小腸]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4117&cid=40942&categoryId=32319
[네이버 지식백과] 장폐색 [intestinal obstru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94&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67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탈장 교정 수술(Herniorrhaphy)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충수절제술(Appendectomy)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68
[네이버 지식백과] ABO식 혈액형 [ABO blood type system]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987&cid=63057&categoryId=63057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전혈구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26
[네이버 지식백과] 혈액 응고 검사 [blood coagulation test]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58&cid=51007&categoryId=51007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