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문사인간성장발달 청소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간 발달의 생애주기
1.1. 신생아기
1.2. 영아기
1.3. 유아기
1.4. 아동기
1.5. 청소년기
1.6. 성년기
1.7. 중년기
1.8. 노년기
2. 한국인의 특성
2.1. 인성적 특성
2.2. 가치관적, 문화적 특성
3.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3.1. 감각운동기
3.2. 전조작기
3.3. 구체적 조작기
3.4. 형식적 조작기
4.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4.1. 기본 전제
4.2. 언어와 인지발달
4.3. 인지발달에 있어서 언어의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간 발달의 생애주기
1.1. 신생아기
신생아기는 생후 1개월까지로 분류하며 출생 이후 신생아의 신체 발달은 부모의 체격과 인종, 엄마의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출생 시 영아의 몸무게는 3.0~3.5kg 정도, 신장은 51cm 정도이다. 스스로의 힘으로 신체 각 부분에 혈액을 순환시키며 빨기, 잡기, 고개 돌리기 등 한정적인 신체 운동이 가능하다. 인지발달은 성인의 감각기관처럼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기초능력만 발달하여 눈은 출생 후 큰 물체를 볼 수 있고, 생후 4주 후에는 작은 물체를 보는 것과 함께 녹색과 적색 두 가지 색을 구별할 수 있고, 불빛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팔과 다리를 움직일 수 있지만 근육이 약하기 때문에 움직임은 부족하다. 이와 함께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손벽 소리와 같은 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생후 20일이 지나면 어머니의 목소리를 구별하여 들을 수 있고, 강한 맛을 구별할 수 있다. 촉각이 가장 많이 발달해 있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주변 사물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해 얼굴을 보고 응시하거나 일부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웃음을 내며 기쁨이나 불편함을 표현할 수 있고,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연결성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각종 감각을 발달시켜 주변 환경을 탐색하는 시기이고,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후 더 복잡한 동작 및 인지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성장과 경험이 필요하다.
1.2. 영아기
영아기는 출생 후 24개월까지의 시기로, 신체적 측면에서 가장 급격한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출생 시 몸무게의 두 배 정도가 되며, 첫돌이 되면 세 배 정도가 된다. 신장 또한 출생 후 12개월에 이르면 출생 시의 약 50%가 증가한다. 영아의 신체골격은 성인보다 크기가 작고 수도 적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유연하고 부드럽다.
두개골 뼈의 경우 영아기는 봉합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6개의 숫구멍이 남아 있으며 성장하면서 점차 닫히게 된다. 대근육의 발달은 1개월에 머리들기, 3-4개월에 목을 가누기, 4개월에 뒤집기를 할 수 있고, 6개월은 물건을 붙잡고 눈과 손의 협응이 가능하다. 12개월에 혼자서 설 수 있으며 16개월에 손잡이를 잡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
인지발달 측면에서는 감각운동기에 해당하며, 피아제의 이론에 따르면 반사운동기, 1차 순환반응기, 2차 순환반응기, 2차 도식의 협응기, 3차 순환반응기, 사고의 시작기의 6단계로 구분된다. 시각적으로는 2개월은 삼원색의 기본색 구분, 4개월에 붉은 계통과 푸른 계통의 색을 구분할 수 있다. 7개월 정도에는 3차원을 지각할 수 있고, 얼굴 중에서도 흑백의 대조를 이루는 눈을 가장 선호한다.
청각적으로는 3개월 정도에는 감정에 따른 목소리의 톤을 구별할 수 있고, 7개월된 영아는 소리를 이용해 거리를 가늠할 수 있다. 언어발달 측면에서는 생후 3-4개월 옹알이를 시작으로 12개월이면 한 단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며 24개월이 되면 단어를 연결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정서발달에서는 출생 직후에는 흥미, 불쾌, 혐오의 감정만 있다가 3개월이 지나면 슬픔, 분노, 놀람이 생기고, 7개월 이후에는 공포, 수줍음, 격노의 감정이 추가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생후 어머니와 함께 외부 활동이 많아 사람들을 자주 만나 낯가림이 적은 편이었다.
1.3. 유아기
유아기는 2세에서 6세까지로 분류되며 신장은 매주 5~7cm정도, 체중은 2~3kg씩 증가한다. 여아는 남아보다 지방조직이 많고, 남아는 근육조직이 더 많아진다. 남아가 여아보다 다소 큰 경향이 있고, 반복학습을 통해 신체운동발달이 진행되며 균형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하여 좀 더 정교한 동작을 완성할 수 있다.
2~3세 사이에는 색보다 모양의 개념을 더 일찍 획득하여 수 개념을 이해하는 비율 또한 증가한다. 하지만 아직 인지적으로 미성숙하여 세상을 보는 눈이 비논리적이다. 3세경 정도에 실제와 가상을 구별하지 못하지만 주변 환경과 사물을 탐색할 수 있는 감각이 발달하고, 인지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4세 경에는 성공과 성취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상상과 가상을 구별하여 현실을 인식하고 새로운 경험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 이때 감각을 통해 얻게 된 사고와 감정에 대해 표현하며 호기심이 많아 질문을 하게 된다. 5~6세경 다양한 정보에 관심을 갖고 사물의 사용, 문제해결에 관심을 갖고, 주변의 사물과 상호작용하여 현실을 인식하고 사물의 속성과 기능을 분류하고 범주화하는 능력이 있다.
3세에는 3~4개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을 사용하며 질문도 많아지고 어린 아이에게 말할 때 단순하게 말함으로써 아이의 연령에 맞는 대화 방식을 조정하기도 한다. 5~6세는 6~8개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을 사용하며 사회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유아기 시기의 형성된 정서 및 사회성 발달은 부모와 자녀와의 깊은 사회적 관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아이의 정서적 또는 성격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때 자율성이 생기는 시기이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스스로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하려고 한다.
3세경부터는 친구를 찾는 경향이 강해지고, 유치원과 같은 집단생활을 하며 같은 또래와 친하게 놀거나 싸움을 하며 여러 사회적인 교류를 하게 된다. 혼자 놀이에 익숙하지만 친한 또래와 병행놀이도 하며 집단 간의 규칙 또는 놀이 규칙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3~4세가 되면 다른 또래들에게 관심을 보이거나 좋아한다는 표현을 하고, 행동을 관찰학습함으로써 많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고, 성역할에 대한 인식이 시작되기도 한다. 5~6세경이 되면 친구들과 ...
참고 자료
아동발달 – 유효순, 최경숙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11)
아동발달 – 심성경, 김경의, 이효숙, 변길희, 박유미, 박주희 공저/ 학지사(2010)
인간의 성장과 발달 – 박성연, 백지숙 공저/ 파워북(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권인수/ 수문사(2017)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관계 연구 – 박유나(2016)
김영혜 외 7명, 『인간성장발달과 건강증진』, 수문사, 2006년, p82-291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 수문사, 2009년 2판 1쇄발행, p52-56
이민태, 『韓國人의 人性』, 교육과학사, 1998년 초판 1쇄 발행, p243-349
김숙현 외 6명,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년 초판 5쇄 발행, p64-139
임희섭 외 9명,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나남출판, 2004년 2쇄 발행, p93-18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최신 인간성장발달과 건강증진 : 김영혜 저 / 2017 / 수문사
아동간호학 1: : 윤희옥 외 저 / 2016 / 현문사
아동간호학 : 에듀펙토리 / 2020 / 필통
네이버 지식 백과